수의 눈떨림: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의 눈떨림 (voluntary nystagmus)'''{{신경안과}} 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눈의 빠른 왕복 운동이며 수 초 정도 유지가 가능하다.
'''수의 눈떨림 (voluntary nystagmus)'''{{신경안과}} 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눈의 빠른 왕복 운동이며 수 초 정도 유지가 가능하다. 눈떨림이라는 용어는 느린 눈운동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용어이다.
== 역학 ==
== 역학 ==
전 인구의 약 5~8%에서 가능하고 가족에서 나타나기도 한다<ref>Zahn JR.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nystagmu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8 Jul;41(7):617-23. [https://pubmed.ncbi.nlm.nih.gov/690639/ 연결]</ref>.
정상인의 8% 정도에서 가능하고, 가족적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기전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f>Zahn JR.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nystagmu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8 Jul;41(7):617-23. [https://pubmed.ncbi.nlm.nih.gov/690639/ 연결]</ref>.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눈떨림은 3~47Hz의 진동수로 빠르게 왕복하는 신속 눈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진동수와 진폭은 반비례한다. 운동 방향은 대개 수평 방향이지만 수직<ref>Krohel G et al. Voluntary vertical nystagmus. ''Neurology''. 1979 Aug;29(8):1153-4. [https://pubmed.ncbi.nlm.nih.gov/572502/ 연결]</ref> 혹은 회선 방향도 보고되어 있다. 눈을 뜬 채로 또는 감은 채로, 명소와 암소에서 모두 유발 가능하고 한 눈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ref>Blair CJ et al. Voluntary nystagmus : EOG findings in 4 cases. ''Arch Ophthalmol''. 1967 Mar;77(3):349-54. [https://pubmed.ncbi.nlm.nih.gov/6019556/ 연결]</ref>.
양상은 매우 다양하며, 빈도는 4~28Hz (평균 15Hz) 진폭은 1~20˚ (평균 5˚), 지속 시간은 4~50초 (평균 22초) 정도이다. 운동 방향은 대개 수평 방향이지만 수직<ref>Krohel G et al. Voluntary vertical nystagmus. ''Neurology''. 1979 Aug;29(8):1153-4. [https://pubmed.ncbi.nlm.nih.gov/572502/ 연결]</ref> 혹은 회선 방향도 보고되어 있다. 눈을 뜬 채로 또는 감은 채로, 명소와 암소에서 모두 유발 가능하고 한 눈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ref>Blair CJ et al. Voluntary nystagmus : EOG findings in 4 cases. ''Arch Ophthalmol''. 1967 Mar;77(3):349-54. [https://pubmed.ncbi.nlm.nih.gov/6019556/ 연결]</ref>.


이 현상을 나타내는 환자는 전형적으로 진동 시각 (oscillopsia) 과 시력 저하를 호소한다. 이 환자들은 눈떨림이 나타나는 동안 눈꺼풀이 떨리고 표정이 긴장된다. 이 때 눈이 안으로 몰리는데 이는 이 현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눈모음 기전을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현상을 나타내는 환자는 전형적으로 진동 시각 (oscillopsia) 과 시력 저하를 호소한다. 이 환자들은 눈떨림이 나타나는 동안 눈꺼풀이 떨리고 표정이 긴장된다. 이 때 눈이 안으로 몰리는데 이는 이 현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눈모음 기전을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022년 6월 15일 (수) 14:59 기준 최신판

수의 눈떨림 (voluntary nystagmus)[1] 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눈의 빠른 왕복 운동이며 수 초 정도 유지가 가능하다. 눈떨림이라는 용어는 느린 눈운동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용어이다.

역학

정상인의 8% 정도에서 가능하고, 가족적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기전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2].

임상 소견

양상은 매우 다양하며, 빈도는 4~28Hz (평균 15Hz) 진폭은 1~20˚ (평균 5˚), 지속 시간은 4~50초 (평균 22초) 정도이다. 운동 방향은 대개 수평 방향이지만 수직[3] 혹은 회선 방향도 보고되어 있다. 눈을 뜬 채로 또는 감은 채로, 명소와 암소에서 모두 유발 가능하고 한 눈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4].

이 현상을 나타내는 환자는 전형적으로 진동 시각 (oscillopsia) 과 시력 저하를 호소한다. 이 환자들은 눈떨림이 나타나는 동안 눈꺼풀이 떨리고 표정이 긴장된다. 이 때 눈이 안으로 몰리는데 이는 이 현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눈모음 기전을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감별 진단

수의 눈떨림은 질병 상태가 아니지만, 후천 눈떨림이나 신속 운동 침입을 포함하는 질병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Zahn JR.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nystagmu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8 Jul;41(7):617-23. 연결
  3. Krohel G et al. Voluntary vertical nystagmus. Neurology. 1979 Aug;29(8):1153-4. 연결
  4. Blair CJ et al. Voluntary nystagmus : EOG findings in 4 cases. Arch Ophthalmol. 1967 Mar;77(3):349-5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