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진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새 문서: <b>안진전 (opsoclonus)</b> 은 saccadomania, 안진전-간대성 근경련, opsoclonus-myoclonus, 춤추는 눈과 춤추는 발, dancing 등 다양하게 불리며, "여러 방향...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안진전 (opsoclonus)'''{{신경안과}} 은 saccadomania, 안진전-간대성 근경련, opsoclonus-myoclonus, 춤추는 눈과 춤추는 발, dancing 등 다양하게 불리며, "여러 방향의 동향성 신속 운동으로 진폭이 크며 주시 유지, 원활 추종, 눈모음 등에 방해가 되고 주시를 다른 방향으로 옮기려고 할 때 잘 발생한다. 자는 동안에도 계속된다. 때로는 간대성 근경련을 동반하기도 한다. | |||
== 역학 == | == 역학 == | ||
조산아에서도 안진전이 발생한 예가 있었는데 전신적인 이상은 없었고 출생 6개월 후 정상화되었다. 건강한 정상 신생아에서도 발견된 바가 있어 일시적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안진전 환자에서 암 유무에 대한 검사는 꼭 시행해야 한다. | 조산아에서도 안진전이 발생한 예가 있었는데 전신적인 이상은 없었고 출생 6개월 후 정상화되었다. 건강한 정상 신생아에서도 발견된 바가 있어 일시적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안진전 환자에서 암 유무에 대한 검사는 꼭 시행해야 한다. |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자가 항체 == | == 자가 항체 == | ||
* 항 Ri 항체 : 유방이나 골반 장기의 악성 종양, 폐와 방광의 소세포암 등과 연관이 있다. | * 항 Ri 항체 : 유방이나 골반 장기의 악성 종양, 폐와 방광의 소세포암 등과 연관이 있다. | ||
* 항 Hu 항체 : 어린이의 경우 신경아세포종과, 어른의 경우 소세포 폐암, 부종양성 감각신경병증, 소뇌 변성 및 변연 뇌병증과 연관성이 있다.<br />진단을 위해서는 이러한 항체에 대한 검사보다 [[양전자 방출 | * 항 Hu 항체 : 어린이의 경우 신경아세포종과, 어른의 경우 소세포 폐암, 부종양성 감각신경병증, 소뇌 변성 및 변연 뇌병증과 연관성이 있다.<br />진단을 위해서는 이러한 항체에 대한 검사보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ET) 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 ||
== 조직병리 == | == 조직병리 == | ||
부종양성 소뇌 피질 변성과 유사한 변화가 나타난다고 한다. | 부종양성 소뇌 피질 변성과 유사한 변화가 나타난다고 한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40세 이상의 환자라면 악성 종양에 대해서, 젊은 환자라면 바이러스성 질환 병력이 있는지, 약물이나 독성 물질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 조사해야 한다. | 40세 이상의 환자라면 악성 종양에 대해서, 젊은 환자라면 바이러스성 질환 병력이 있는지, 약물이나 독성 물질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 조사해야 한다. | ||
== 치료 및 예후 == | |||
clonazepam, thiamine, baclofen 등 다양한 약제가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나 효과는 불확실하며, 예후는 일반적으로 좋지 않다. |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