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 줄기세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b>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각막}}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 중 5~15%가 줄기 세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
== 조직병리 == | == 조직병리 == | ||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에 발현되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지표들이 있는데, p63, α-enolase, keratin 5/14,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등이 각막 상피보다 많이 발현된다. 또한 ABCG2가 윤부 줄기 세포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표면 표지로 추정된다. |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에 발현되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지표들이 있는데, p63, α-enolase, keratin 5/14,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등이 각막 상피보다 많이 발현된다. 또한 ABCG2가 윤부 줄기 세포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표면 표지로 추정된다. | ||
{{참고 | == 분화 == | ||
두 가지 경로로 분화하고 이동한다. | |||
* 각막 중심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분화하여 각막 상피의 재생에 관여한다. | |||
*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막 상피가 각막으로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막 역할을 하게 된다. | |||
{{참고}} |
2022년 6월 21일 (화) 07:01 기준 최신판
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1]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 중 5~15%가 줄기 세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병리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에 발현되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지표들이 있는데, p63, α-enolase, keratin 5/14,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등이 각막 상피보다 많이 발현된다. 또한 ABCG2가 윤부 줄기 세포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표면 표지로 추정된다.
분화
두 가지 경로로 분화하고 이동한다.
- 각막 중심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분화하여 각막 상피의 재생에 관여한다.
-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막 상피가 각막으로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막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
- ↑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