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 줄기세포: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b>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 중 5~15%가 줄기 세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각막}}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 중 5~15%가 줄기 세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줄기세포의 특성 ==
* 조직 내 다른 모든 세포의 근본적인 전구 세포로서 일생 동안 무한한 증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 비대칭적인 세포 분할을 하며 자가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즉, 분할된 두 개의 딸세포 중 한 개는 줄기 세포로 남고 다른 한 개는 종말 분화의 과정에 돌입하는 것이다.
* 조직의 전체 세포 중 적은 부분을 차지한다.
* 조직 내의 다른 세포들에 비해 분화가 덜 이루어져 있다.
* 생체 내에서는 느린 세포 주기를 가지지만 세포 배양 시에는 높은 클론 형성성을 나타낸다. 즉, 단일 줄기 세포를 배양하면 많은 세포가 만들어지고 무한대의 증식 능력을 나타낸다. 위장관의 상피나 조혈 세포의 경우 하나의 줄기 세포가 여러 종류로 분화되지만, 표피나 각막의 상피는 한 가지 종류의 세포로 분화된다. 줄기 세포의 분열에 의해 생긴 딸세포는 증식 능력 및 분화 능력이 제한적인 일시적 증폭 세포가 된다. 일시적 증폭 세포의 주 기능은 각각의 줄기 세포가 분열하여 만들어지는 분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에 발현되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지표들이 있는데, p63, α-enolase, keratin 5/14,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등이 각막 상피보다 많이 발현된다. 또한 ABCG2가 윤부 줄기 세포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표면 표지로 추정된다.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에 발현되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지표들이 있는데, p63, α-enolase, keratin 5/14,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등이 각막 상피보다 많이 발현된다. 또한 ABCG2가 윤부 줄기 세포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표면 표지로 추정된다.
{{참고|각막}}
== 분화 ==
두 가지 경로로 분화하고 이동한다.
* 각막 중심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분화하여 각막 상피의 재생에 관여한다.
*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막 상피가 각막으로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막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

2022년 6월 21일 (화) 07:01 기준 최신판

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1]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 중 5~15%가 줄기 세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병리

윤부 상피의 바닥 세포에 발현되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지표들이 있는데, p63, α-enolase, keratin 5/14,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등이 각막 상피보다 많이 발현된다. 또한 ABCG2가 윤부 줄기 세포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표면 표지로 추정된다.

분화

두 가지 경로로 분화하고 이동한다.

  • 각막 중심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분화하여 각막 상피의 재생에 관여한다.
  •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막 상피가 각막으로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막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