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원인 물질에 노출된지 1~3주 후에 2~4주간의 급성기를 겪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 열, 두통, 무력감, 오심, 그리고 구토를 동반한 전신 증상이 발생한 후 피부 및 점막의 수포성 병변이 나타난다. | 원인 물질에 노출된지 1~3주 후에 2~4주간의 급성기를 겪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 열, 두통, 무력감, 오심, 그리고 구토를 동반한 전신 증상이 발생한 후 피부 및 점막의 수포성 병변이 나타난다. | ||
* 급성기 : 막결막염과 2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한 결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내염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결막 붙음증, 각막 상피 이상과 판누스 형성이 발생할 수 있다. | * 급성기 : 막결막염과 2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한 결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내염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결막 붙음증, 각막 상피 이상과 판누스 형성이 발생할 수 있다. | ||
* 만성기 : 눈꺼풀 속말림, 겉말림, 속눈썹증과 마이봄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결막 구석의 단축, 결막 붙음증을 포함한 결막의 반흔화가 발생한다. 결막의 반흔화는 술잔세포, 눈물샘 및 눈물관의 손상을 일으켜 건성안으로 인한 결막의 각질화가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윤부 | * 만성기 : 눈꺼풀 속말림, 겉말림, 속눈썹증과 마이봄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결막 구석의 단축, 결막 붙음증을 포함한 결막의 반흔화가 발생한다. 결막의 반흔화는 술잔세포, 눈물샘 및 눈물관의 손상을 일으켜 건성안으로 인한 결막의 각질화가 발생할 수 있다. | ||
== | |||
또한 SJS에서 결막 세균총의 변화와 연관되어 감염 각막염의 빈도가 증가하는데<ref>Frizon L et al. Evaluation of conjunctival bacterial flora in patients w SJS. ''Clinics (Sao Paulo)''. 2014 Mar;69(3):168-72. [https://pubmed.ncbi.nlm.nih.gov/24626941/ 연결]</ref> 이는 결과적으로 각막의 궤양을 거쳐 천공을 초래할 수 있다<ref>Sachdev R et al. Bilateral microbial keratitis in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induced SJS and TEN : a case series. ''Ocul Immunol Inflamm''. 2011 Oct;19(5):343-5. [https://pubmed.ncbi.nlm.nih.gov/21834698/ 연결]</ref>. | |||
다수의 [[윤부 줄기세포]]가 급성기동안 손상을 받는데, 만성기의 심한 눈물막 이상은 지속적인 추가 손상을 일으킨다. 결막의 건조 및 각질화는 윤부 줄기세포의 생존을 위협하며, 지속 상피 결손과 각막의 결막화를 유발할 수 있다. | |||
== 약물 치료 == | |||
초기 안과적 치료로 인공 눈물, 항염증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한다. 만성기의 치료는 염증을 최소화하면서 안구 표면의 건강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건조증은 눈물점 마개와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눈꺼풀 이상은 안구 표면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정해야 한다. | 초기 안과적 치료로 인공 눈물, 항염증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사용한다. 만성기의 치료는 염증을 최소화하면서 안구 표면의 건강을 최대화하는데 있다. 건조증은 눈물점 마개와 보존제가 없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눈꺼풀 이상은 안구 표면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정해야 한다. | ||
== | == 수술 == | ||
임상적으로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경우는 윤부 줄기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지만, 눈물 생성 기관들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실패율이 높다. | 만성기에는 안구 표면 안정화를 목적으로 눈물점 폐쇄, 점막 이식<ref>Iyer G et al. Mucous membrane grafting for lid margin keratinization in SJS : results. ''Cornea''. 2010 Feb;29(2):146-51. [https://pubmed.ncbi.nlm.nih.gov/20023587/ 연결]</ref>, 양막 이식, 구강 점막 이식 등을 시도한다. 임상적으로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경우는 윤부 줄기세포 이식을 고려해야 하지만, 눈물 생성 기관들의 심각한 손상으로 인해 실패율이 높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