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 층판 각막 이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수술 중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광학적 (optical) 이식 | * 광학적 (optical) 이식 | ||
* 치료적 (therapeutic) 이식 | * 치료적 (therapeutic) 이식 | ||
== 적응증 == | |||
=== 치료 === | |||
* 조직 결손의 채움 : 각막 중심부의 궤양 또는 외상에 동반된 데스메막류나 미세 천공, 류마티스 질환과 동반된 주변 각막 질환, [[테리엔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에 시행한다. | |||
* 병적 부위의 제거 후 채움 : 재발 군날개나 [[[윤부 유피종|유피종]]의 경우 병변 부위가 일반적으로 윤부이므로 윤부 이식을 시행하고, 사이즈가 큰 경우 기증 각막을 이용하여 크기와 두께를 고려하여 이식편을 봉합한다15. | |||
* 안구 표면 재건을 위한 바닥막 정비 및 상피세포의 공급 : 열이나 화학 물질에 의한 각결막 반흔성 질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무렌 각막 궤양]] 등에는 각막 상피 성형술 혹은 윤부 이식을 시행한다16,17. | |||
=== 광학적 === | |||
== 장점 == | == 장점 == | ||
내피세포를 이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층 각막 이식]] (PKP) 과 비교할 때 거부 반응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더구나 술기 자체아 안내 수술이 아니므로 홍채 유착, 수술 후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적을 뿐 아니라 보존 각막으로도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내피세포를 이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층 각막 이식]] (PKP) 과 비교할 때 거부 반응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더구나 술기 자체아 안내 수술이 아니므로 홍채 유착, 수술 후 녹내장 등의 합병증이 적을 뿐 아니라 보존 각막으로도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
| 14번째 줄: | 20번째 줄: | ||
=== 수술 후 === | === 수술 후 === | ||
* 이중 전방 : 수술 중 천공이 일어나면 이식편과 수용자 각막 사이에 방수가 차서 이중 전방이 생길 수 있다. 천공이 중심부이고 작은 경우 전방 내 공기 주입을 시도하나, 수차례의 주입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주변으로부터 전층 봉합을 실시한다29. | |||
수술 중 천공이 일어나면 이식편과 수용자 각막 사이에 방수가 차서 이중 전방이 생길 수 있다. 천공이 중심부이고 작은 경우 전방 내 공기 주입을 시도하나, 수차례의 주입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주변으로부터 전층 봉합을 실시한다29. | * 거부 반응 : 상피성, 실질성 거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된다30,31. | ||
* 녹내장 : 천공 후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동공 차단 녹내장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방치하면 시신경 손상 뿐 아니라 동공 산대가 생기므로 주입하는 공기의 양이 지나치지 않도록 하며, 공기가 홍채 뒤로 넘어가서 차단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히 산동시킨다26. | |||
상피성, 실질성 거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된다30,31. | |||
천공 후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동공 차단 녹내장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방치하면 시신경 손상 뿐 아니라 동공 산대가 생기므로 주입하는 공기의 양이 지나치지 않도록 하며, 공기가 홍채 뒤로 넘어가서 차단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히 산동시킨다26.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