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안정 위치: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절대 안정 위치 (absolute position of rest)'''{{사시}} 는 사후 또는 전신마취 중 근이완제를 투여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안정 위치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절대 안정 위치 (absolute position of rest)'''{{사시}} 는 사후 또는 전신마취 중 근이완제를 투여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안정 위치 (absolute position of rest)'''{{사시}} 는 사후 또는 전신마취 중 근이완제를 투여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안정 위치가 정위라는 주장도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자는 다소 외편위된 상태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신마취후 눈이 8~12도 외편위,3~6도 상전되었다고 했다<ref>Toselli C. [Studies on the position of absolute ocular rest in curarized subjects]. Boll Ocul. 1953 Jun;32(6):333-40. [https://pubmed.ncbi.nlm.nih.gov/13105860/ 연결]</ref>. Meyers<ref>Meyers MP. The position of eyes under general anesthesia. ''AJO''. 1951 Dec;34(12):1749-52. [https://pubmed.ncbi.nlm.nih.gov/14894589/ 연결]</ref>의 연구에 따르면 외사위가 있는 모든 환자와 내사위 환자의 1/3에서 전신마취 후에 외편위가 나타났고,내사시 환자의 일부에서만 마취 후에 내편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전신마취하의 눈위치를 수술랑을 정하는 데 참고하는 의사들도 있다.
절대 안정 위치가 정위라는 주장도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자는 다소 외편위된 상태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신마취후 눈이 8~12˚ 외편위, 3~상전되었다고 했다<ref>Toselli C. [Studies on the position of absolute ocular rest in curarized subjects]. Boll Ocul. 1953 Jun;32(6):333-40. [https://pubmed.ncbi.nlm.nih.gov/13105860/ 연결]</ref>. Meyers<ref>Meyers MP. The position of eyes under general anesthesia. ''AJO''. 1951 Dec;34(12):1749-52. [https://pubmed.ncbi.nlm.nih.gov/14894589/ 연결]</ref>의 연구에 따르면 외사위가 있는 모든 환자와 내사위 환자의 1/3에서 전신마취 후에 외편위가 나타났고,내사시 환자의 일부에서만 마취 후에 내편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전신마취하의 눈위치를 수술랑을 정하는 데 참고하는 의사들도 있다.


{{참고}}
{{참고}}

2022년 8월 18일 (목) 06:04 기준 최신판

절대 안정 위치 (absolute position of rest)[1] 는 사후 또는 전신마취 중 근이완제를 투여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절대 안정 위치가 정위라는 주장도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자는 다소 외편위된 상태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신마취후 눈이 8~12˚ 외편위, 3~6˚ 상전되었다고 했다[2]. Meyers[3]의 연구에 따르면 외사위가 있는 모든 환자와 내사위 환자의 1/3에서 전신마취 후에 외편위가 나타났고,내사시 환자의 일부에서만 마취 후에 내편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전신마취하의 눈위치를 수술랑을 정하는 데 참고하는 의사들도 있다.

참고

  1. 최신 사시학 5판, 2024 (한국 사시 소사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Toselli C. [Studies on the position of absolute ocular rest in curarized subjects]. Boll Ocul. 1953 Jun;32(6):333-40. 연결
  3. Meyers MP. The position of eyes under general anesthesia. AJO. 1951 Dec;34(12):1749-5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