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단점 == | | == 단점 == |
| 실제로는 수술 후 통증과 상피 재생에 대한 예측도가 낮은 편이어서 수술 후 1일에 상피 결손 부위가 생기고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50%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피 재생을 촉진시키는 원리의 적용과 개선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다. | | 실제로는 수술 후 통증과 상피 재생에 대한 예측도가 낮은 편이어서 수술 후 1일에 상피 결손 부위가 생기고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50%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피 재생을 촉진시키는 원리의 적용과 개선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다. |
| | == 수술 방법 == |
| | ===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MMC) === |
| | MMC는 각막 표면 절제에서 상처 치유 반응을 조절해서, 술 후 각막 혼탁 발생의 위험을 줄인다<ref>Teus MA et al. Mitomycin C in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rv Ophthalmol''. 2009 Jul-Aug;54(4):487-502. [https://pubmed.ncbi.nlm.nih.gov/19539836/ 연결]</ref>. |
| | |
| == 절삭량 (도수) 결정 == | | == 절삭량 (도수) 결정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라섹/절삭량]] 참고 |
| |+표. 라섹의 계산 도표 (nomogram) - Sph 에서 아래의 비율만큼 뺀다.
| | {{참고}} |
| |-
| |
| !Sph||18~20 (세)||21~25||26~30||31~35||36~40||41~45||46~55||55~
| |
| |-
| |
| |0~1 (D)|| -4 (%)||-4||-4||-5||-6||-7||-7||-8
| |
| |-
| |
| |1~2|| -4||-4||-4||-5||-6||-7||-7||-8
| |
| |-
| |
| |2~3|| -4||-4||-5||-5||-7||-8||-8||-8
| |
| |-
| |
| |3~4|| -5||-5||-5||-6||-7||-8||-8||-8
| |
| |-
| |
| |4~5|| -5||-5||-6||-6||-8||-8||-8||-9
| |
| |-
| |
| |5~6|| -5||-5||-6||-6||-8||-9||-9||-10
| |
| |-
| |
| |6~7|| -6||-6||-7||-7||-9||-10||-10||-11
| |
| |-
| |
| |7~8|| -7||-7||-7||-8||-9||-11||-11||-12
| |
| |-
| |
| |8~9|| -8||-8||-8||-8||-10||-11||-12||-12
| |
| |-
| |
| |9~10|| -9||-9||-9||-9||-11||-11||-13||-13
| |
| |}
| |
| === 근시 ===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 |+표. 근시의 절삭량
| |
| |-
| |
| !↓Sph Cyl→||0 (D)||-1.00||-2.00||-3.00||-4.00||-5.00||-6.00||-7.00
| |
| |-
| |
| | -1.05 (D)|| 21 || - || - || - || - || - || - || -
| |
| |-
| |
| | -1.20||21||30|| - || - || - || - || - || -
| |
| |-
| |
| | -1.35||26||30||38|| - || - || - || - || -
| |
| |-
| |
| | -1.45||28||33||38||46|| - || - || - || -
| |
| |-
| |
| | -1.60||30||35||41||46||54|| - || - || -
| |
| |-
| |
| | -1.75||33||36||43||49||54||61|| - || -
| |
| |-
| |
| | -1.85||34||38||44||51||57||61||69|| -
| |
| |-
| |
| | -2.00||36||39||46||52||58||65||69||76
| |
| |-
| |
| | -2.10||38||40||47||53||60||66||71||76
| |
| |-
| |
| | -2.25||40||42||49||55||61||67||73||79
| |
| |-
| |
| | -2.35||42||43||50||56||62||68||74||80
| |
| |-
| |
| | -2.45||43||43||51||57||63||69||75||81
| |
| |-
| |
| | -2.60||45||45||52||59||65||71||77||82
| |
| |-
| |
| | -2.70||47||47||54||60||66||72||78||83
| |
| |-
| |
| | -2.80||49||49||55||61||67||73||79||85
| |
| |-
| |
| | -2.90||50||50||56||62||68||74||80||86
| |
| |-
| |
| | -3.00||51||51||57||63||69||75||81||87
| |
| |-
| |
| | -4.00||66||66||66||73||79||85||91||97
| |
| |-
| |
| | -5.00||80||80||80||84||89||95||101||106
| |
| |-
| |
| | -6.00||94||94||94||94||99||105||110||116
| |
| |-
| |
| | -7.00||108||108||108||108||107||114||119||125
| |
| |-
| |
| | -8.00||120||120||120||120||120||121||127||134
| |
| |-
| |
| | -9.00||129||129||129||129||129||131||137||142
| |
| |-
| |
| | -10.00||137||137||137||137||137||140||145||150
| |
| |}
| |
| === 원시 ===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 |+표. 원시의 절삭량
| |
| |-
| |
| !↓Sph Cyl→||+4.00 (D)||+3.00||+2.00||+1.00||0||-1.00||-2.00||-3.00||-4.00
| |
| |-
| |
| | +1.00||48||38||28||19||9||9|| - || - || -
| |
| |-
| |
| | +2.00||58||48||38||28||19||19||18|| - || -
| |
| |-
| |
| | +3.00||70||59||48||38||28||28||28||28|| -
| |
| |-
| |
| | +4.00||81||69||59||48||38||38||38||38||38
| |
| |-
| |
| | +5.00||92||81||70||59||49||48||48||48||48
| |
| |-
| |
| | +6.00||104||92||81||70||59||59||59||59||59
| |
| |}
| |
| {{참고|굴절교정|각막}} | |
라섹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역사
Azar와 Camellin은 PRK의 상피 제거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고나 희석된 알코올로 상피 절편을 만들고 기질 절제 후 재위치시키는 개선된 표면 절제술 방법으로 라섹을 고안했다. 첫 라섹은 Azar가 1996년 시행했고, 이후 Camellin 이 보편화했다. 두 방법 모두 에탄올을 이용했으며, 이후 시력 분리술 또는 점탄물 사용 박리 (viscodissection) 등의 방법도 소개되었다.
장점
이론적으로 수술 후 불편이 적고 빠른 시력 회복을 가져오며 기질 혼탁 발생이 적다. 특히 상피 절편 후 파면 유도 맞춤 레이저 표면 절제 (wavefront-guided custom laser surface ablation) 방식이 적용될 경우 우수한 성적을 보이는 것이 알려져 파면 고위수차까지 교정하는 맞춤식 각막 굴절 교정술의 대두와 함께 표면 절제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점
실제로는 수술 후 통증과 상피 재생에 대한 예측도가 낮은 편이어서 수술 후 1일에 상피 결손 부위가 생기고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50%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피 재생을 촉진시키는 원리의 적용과 개선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다.
수술 방법
MMC는 각막 표면 절제에서 상처 치유 반응을 조절해서, 술 후 각막 혼탁 발생의 위험을 줄인다[1].
절삭량 (도수) 결정
라섹/절삭량 참고
참고
- ↑ Teus MA et al. Mitomycin C in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rv Ophthalmol. 2009 Jul-Aug;54(4):487-50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