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편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내편위 (esodeviation)''' 는 눈이 안으로 몰리는 사시를 말한다. == 원인 == 다른 일차 사시와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경 전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융합 눈벌림 능력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 융합 눈벌림 능력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 ||
* 내사위 : 원거리 E, 근거리 E' | * 내사위 : 원거리 E, 근거리 E' | ||
* 간헐 내사시 : 원거리 E(T), 근거리 E(T)' | * [[간헐 내사시]] : 원거리 E(T), 근거리 E(T)' | ||
* 내사시 (현성 내사시) : 원거리 ET, 근거리 ET' | * [[내사시]] (현성 내사시) : 원거리 ET, 근거리 ET' | ||
내편위는 원인의 차이 뿐 아니라 일치 상태, 감각 이상 존재, 발생 시기, 사시각의 크기와 주시 양상 등 다양한 특성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정확한 분류가 힘들며 여러 특성이 하나의 내사시에서 겹쳐지기도 한다. | 내편위는 원인의 차이 뿐 아니라 일치 상태, 감각 이상 존재, 발생 시기, 사시각의 크기와 주시 양상 등 다양한 특성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정확한 분류가 힘들며 여러 특성이 하나의 내사시에서 겹쳐지기도 한다. | ||
{{참고}} | {{참고}} |
2022년 9월 24일 (토) 00:33 기준 최신판
내편위 (esodeviation) 는 눈이 안으로 몰리는 사시를 말한다.
원인
다른 일차 사시와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경 전도 이상과 기계적인 원인 혹은 양자 모두에 의해 발생한다.
분류
융합 눈벌림 능력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내편위는 원인의 차이 뿐 아니라 일치 상태, 감각 이상 존재, 발생 시기, 사시각의 크기와 주시 양상 등 다양한 특성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정확한 분류가 힘들며 여러 특성이 하나의 내사시에서 겹쳐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