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점탄 물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종류
잔글 종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회사||제품||1% NaHA
!회사||제품||성분||분류||원천||분자량 (kD)||오스몰랄 농도||유사 가소성||접촉각||용량 (ml)
|-
|-
|Resting viscosity (cps)
|rowspan=3|J&J
|>200,000
|Healon||1% NaHA||응집
|2,000,000
|rowspan=3|수탉 벼슬
|41,000
|2,500~3,800||309||+++||60||0.85
|260,000
|-
|Healon GV||1.4% NaHA||응집||5,000||302||++++||×||0.85
|-
|Healon 5||2.3% NaHA||적응||4,000||320||++++||60||0.6
|-
|rowspan=5|알콘
|Viscoat||3% NaHA, 4% CDS||분산
|rowspan=2|세균 발효, shark fin cartilage
|500; 25||360||++||52||0.75
|-
|DisCoVisc||1.6% NaHA, 4% CDS||viscousdispersive||1,700||298||+++||66.5||1.0
|-
|Provisc||1% NaHA||응집||세균 발효||2,500||310||+++||60||0.85
|-
|Duovisc||Viscoat+Provisc||×||×||×||×||×||×||0.35+0.4
|-
|Cellugel||2% HPMC||분산||나무 섬유소||300||315||++||48||1.0
|-
|rowspan=3|바슈롬
|Amvisc||1.2% NaHA||응집
|rowspan=2|수탉 벼슬
|rowspan=2|2,000
|320||+++||60||0.8
|-
|Amvisc plus||1.6% NaHA||응집+분산||340||+++||×||0.8
|-
|Ocucoat||2% HPMC||분산||나무 섬유소||86||319||+||52||1.0
|-
|rowspan=2|LG화학
|Hyal 2000||1% NaHA||분산
|rowspan=2|세균 발효
|4,000||306||+++||60||0.85
|-
|Hyal plus||1.5% NaHA||분산||4,000||323||+++||60||0.55, 0.95
|}
|}


44번째 줄: 77번째 줄: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식물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다형체이며, 가토의 전방내에서 3일 후에 제거되며, 친수성이므로 쉽게 물로 제거될 수 있다.
동물 내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면화나 나무와 같은 식물 섬유의 구성 물질로 존재한다. 화학적으로는 β-glycosidic bond에 의해 결합된 D-glucose molecule로 구성된 섬유소 (cellulose polymer) 이다. 메틸셀룰로스는 고도의 정제된 물질을 사용해야 하는데, 점탄 물질 속에서 여러 나무 섬유나 오염 물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방 내에서는 대사되지 않고 약 3일 내에 배출된다. 친수성으로 눈에서 쉽게 세척이 된다. HPMC는 점탄 물질이 아닌 연고 제제로 앞방각경 사용 시 이용되고 있다.
 
== 부작용 ==
== 부작용 ==
* 안압 상승 : 수술 후 전방에서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술 후 첫 6시간에서 24~72시간 사이에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하는 녹내장을 Healon-block 녹내장이라 한다. 이는 대부분 일시적이고, 남겨 놓은 점탄 물질의 양, 점도, 분자량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섬유주에서 점탄 물질이 잘 배출되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를 방지가히 위해 백내장 수술 후 가능한 한 모든 점탄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아세타졸라미드]], 전방 내 축동제, beta blocker, 4% pilocarpine 겔 같은 안압 하강제 등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 안압 상승 : 수술 후 전방에서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술 후 첫 6시간에서 24~72시간 사이에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하는 녹내장을 Healon-block 녹내장이라 한다. 이는 대부분 일시적이고, 남겨 놓은 점탄 물질의 양, 점도, 분자량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섬유주에서 점탄 물질이 잘 배출되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를 방지가히 위해 백내장 수술 후 가능한 한 모든 점탄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아세타졸라미드]], 전방 내 축동제, beta blocker, 4% pilocarpine 겔 같은 안압 하강제 등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