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하 임플란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망막하 임플란트''' 는 망막 색소상피와 양극세포 사이에 미세 광다이오드 이식판을 이식하는 접근법이다. == 장점 == 시자극을 받는...) |
(차이 없음)
|
2022년 11월 3일 (목) 14:31 판
망막하 임플란트 는 망막 색소상피와 양극세포 사이에 미세 광다이오드 이식판을 이식하는 접근법이다.
장점
시자극을 받는 뉴런인 양극세포에서 가까운 곳에 임플란트를 위치하여 전류가 더 적게 필요하며 제한된 좁은 공간에 삽입하므로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사물을 스캔하고 고정하기 위해 안구 운동의 이점을 활용하고 자연적인 안구 움직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
제한된 망막하 공간에서 전자 장치가 망막 조직에 너무 근접하게 자리하게 되어 뉴런의 열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한 인접 신경 조직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광다이오드의 약한 자극을 증폭시키기 위한 장치가 안구의 공막을 통해 바깥에 존재하게 되는 경우 경공막 절개 등으로 인해 망막하 출혈이나 망막박리의 위험이 높다.
Alpha-IMS/AMS
대표적인 망막하 임플란트로 안구 내부 파트와 이와 연결된 외부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