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양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양막 (amniotic membrane; AM)'''{{각막}} 은 태반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막으로 모체로부터 각종 감염 및 면역 반응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양막 (amniotic membrane; AM)'''{{각막}} 은 태반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막으로 태아를 둘러싸고 있으며 모체로부터 각종 감염 및 면역 반응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 역사 ==
== 역사 ==
안과 질환에서 양막이식술은 de Rotth<ref>de RÖtth A. Plastic Repair of Conjunctival Defect w Fetal Mmbranes. ''Arch Ophthalmol''. 1940;23(3):522–525.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614867 연결]</ref>가 1940년에 처음으로 그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한동안 각광을 받지 못했고, Kim 등<ref>Kim JC et al. Transplantation of preserved human AM for surface reconstruction in severely damaged rabbit corneas. ''Cornea''. 1995 Sep;14(5):473-84. [https://pubmed.ncbi.nlm.nih.gov/8536460/ 연결]</ref>이 1995년에 토끼 모델에서 양막을 사용하여 안구표면을 성공적으로 재건함을 보고한 이후 양막은 여러 가지 안과 질환에서 임상적으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안과 질환에서 양막이식술은 de Rotth<ref>de RÖtth A. Plastic Repair of Conjunctival Defect w Fetal Mmbranes. ''Arch Ophthalmol''. 1940;23(3):522–525.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614867 연결]</ref>가 1940년에 처음으로 그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한동안 각광을 받지 못했고, Kim 등<ref>Kim JC et al. Transplantation of preserved human AM for surface reconstruction in severely damaged rabbit corneas. ''Cornea''. 1995 Sep;14(5):473-84. [https://pubmed.ncbi.nlm.nih.gov/8536460/ 연결]</ref>이 1995년에 토끼 모델에서 양막을 사용하여 안구표면을 성공적으로 재건함을 보고한 이후 양막은 여러 가지 안과 질환에서 임상적으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반흔 억제
* 반흔 억제
* 살균 효과
* 살균 효과
지금까지 다양한 안과 질환에서 양막을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각결막 질환에서 창상의 치유 속도를 빠르게 하고 각막혼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ref>Fournier JH et al. Ocular surface reconstruction using AM allograft for severe surface disorders in chemical burns :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Surg''. 2005 Jan-Mar;90(1):45-7. [https://pubmed.ncbi.nlm.nih.gov/15912900/ 연결]</ref><ref>Jain S et al. Evaluation of the outcome of AMT for ocular surface reconstruction in symblepharon. ''Eye (Lond)''. 2004 Dec;18(12):1251-7. [https://pubmed.ncbi.nlm.nih.gov/15184952/ 연결]</ref>.
== 획득과 보관 ==
== 획득과 보관 ==
B형과 C형 간염, AIDS, 매독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가 음성인 산모에서, 오염을 막기 위해 계획된 제왕절개술을 통해 얻은 태반을 사용한다. 작은 양막 조각을 균배양 검사를 위해 보내고 무균 상태의 양막을 이식에 사용한다. Tseng이 고안한 방법으로 조직 은행에서 양막을 처치 및 보관한다. 처치는 태반을 무균실험대 내애서 50㎕/m penicillin, 50㎕/m streptomycin, 100㎕/m neomycin, 2.5㎕/m amphotericin B가 함유된 BSS로 수차례 세척한 후 양막을 융모막에서 박리하여 nitrocellulose 판에 편평하게 펴서 상피/바닥막이 위를 향하도록 부착하고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냉동 보관액에 넣어 -80℃에 보관한다.
B형과 C형 간염, AIDS, 매독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가 음성인 산모에서, 오염을 막기 위해 계획된 제왕절개술을 통해 얻은 태반을 사용한다. 작은 양막 조각을 균배양 검사를 위해 보내고 무균 상태의 양막을 이식에 사용한다. Tseng이 고안한 방법으로 조직 은행에서 양막을 처치 및 보관한다. 처치는 태반을 무균실험대 내애서 50㎕/m penicillin, 50㎕/m streptomycin, 100㎕/m neomycin, 2.5㎕/m amphotericin B가 함유된 BSS로 수차례 세척한 후 양막을 융모막에서 박리하여 nitrocellulose 판에 편평하게 펴서 상피/바닥막이 위를 향하도록 부착하고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냉동 보관액에 넣어 -80℃에 보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