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치료)
잔글 (→‎역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에탐부톨은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결핵균의 사멸을 유도하는 경구용 화학요법제제로써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와 함께 결핵의 1차 치료 약제로 1960년대부터 이용되었다<ref>Jameson JL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 ed. New York: The McGraw-Hill Companies, 2018;1119-20.</ref>. 에탐부톨은 기존의 항결핵제의 내성균의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어서 결핵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적정 치료 용량을 투여한 환자의 1~5%<ref>Ezer N et al. Incidence of ethambutol-related visual impairment during treatment of active tuberculosis. ''Int J Tuberc Lung Dis''. 2013 Apr;17(4):447-55. [https://pubmed.ncbi.nlm.nih.gov/23394767/ 연결]</ref>에서 약물을 복용한 지 수 일에서 수개월 내 약물 독성이 시신경에 영향을 미쳐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EON)'''{{신경안과}} 을 유발한다.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EON)'''{{신경안과}}
== 역학 ==
== 역학 ==
투여 2~7개월에 발생한다.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 잘 생긴다.
[[에탐부톨]] 복용 2개월 이내에는 시신경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부분 4~12개월 사이에 발병한다. 그러나 [[에탐부톨]]이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 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는 더 일찍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4


시력 이상은 투여량과 관계가 있어 대개 25mg/kg/일 이상을 투여한 환자에게 발생하나, 치료 용량인 15~25mg/kg/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시력 손상이 보고되었다.
== 용량 ==
독성 시신경병증의 발생은 투여량과 관계가 있어 대개 25mg/kg/d 이상 투여한 환자에서 생기며, 치료 용량인 15~25mg/kg/d 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시력 손상이 보고되었다<ref>Altiparmak UE. Toxic optic neuropathies. ''Curr Opin Ophthalmol''. 2013 Nov;24(6):534-9. [https://pubmed.ncbi.nlm.nih.gov/24100370/ 연결]</ref><ref>Grzybowski A et al. Toxic optic neuropathies : an updated review. ''Acta Ophthalmol''. 2015 Aug;93(5):402-410. [https://pubmed.ncbi.nlm.nih.gov/25159832/ 연결]</ref><ref>Lessell S. Nutritional amblyopia. ''J Neuroophthalmol''. 1998 Jun;18(2):106-11. [https://pubmed.ncbi.nlm.nih.gov/9621265/ 연결]</ref>. 따라서 [[에탐부톨]]을 15mg/kg/d 투여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더 낮은 용량에서도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ref>이정현 등, 에탐부톨 복용 환자에서 정기적인 안과 검사 결과, ''한안지'' 2016;57(12):1939-194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281 연결]</ref>.


== 병인 ==
== 병인 ==
17번째 줄: 18번째 줄:
방법보다는 무증상 기간 및 조기 발견에 맞춰져 있다<ref>Kim KL et al. VF test for early detection of ethambutol induced ocular toxicity at the subclinical level. ''Cutan Ocul Toxicol''. 2016 Sep;35(3):228-32. [https://pubmed.ncbi.nlm.nih.gov/26361935/ 연결]</ref>.
방법보다는 무증상 기간 및 조기 발견에 맞춰져 있다<ref>Kim KL et al. VF test for early detection of ethambutol induced ocular toxicity at the subclinical level. ''Cutan Ocul Toxicol''. 2016 Sep;35(3):228-32. [https://pubmed.ncbi.nlm.nih.gov/26361935/ 연결]</ref>.


국내 연구에서는 유 등<ref></ref>이 고농도 스테로이드 치료 직후 시야 결손이 급격하게 좋아지고 대다수에서 유지되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국내 연구에서는 유 등<ref>유정서 등, EON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의 효과, ''한안지'' 2023;64(4):336-34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746 연결]</ref>이 고농도 스테로이드 치료 (IV methylPd 250mg 4/d ×3d → PO Pd 60mg 1/d~ (3일에 10mg씩 감량)) 직후 시야 결손이 급격하게 좋아지고 대다수에서 유지되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 예후 ==
== 예후 ==

2024년 7월 10일 (수) 08:56 기준 최신판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EON)[1]

역학

에탐부톨 복용 후 2개월 이내에는 시신경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부분 4~12개월 사이에 발병한다. 그러나 에탐부톨이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 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는 더 일찍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4

용량

독성 시신경병증의 발생은 투여량과 관계가 있어 대개 25mg/kg/d 이상 투여한 환자에서 생기며, 치료 용량인 15~25mg/kg/d 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시력 손상이 보고되었다[2][3][4]. 따라서 에탐부톨을 15mg/kg/d 투여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더 낮은 용량에서도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5].

병인

기전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에탐부톨의 대사산물인 구리가 시신경 주변의 미토콘드리아 불균형과 축삭 전달에 손상을 준다는 가설[6][7]과 결핵균의 효소 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아연 킬레이트제가 시신경에도 작용하여 전도 및 투과성의 이상 반응이 생기면서 신경 축삭의 부종 및 압박이 발생한다는 가설이 있다. 4,7

임상 양상

색각 이상이 가장 초기 증상이고 양안에서 시력 장애가 서서히 진행된다. 중심 암점이 주로 나타나며 때로는 양이측 반맹도 온다.

검사 및 진단

투약하기 전에 반드시 기본적인 안과 검사를 해 두어야 한다.

치료

신속한 약 복용 중단 이외에 다른 확립된 치료법은 알려진 바 없으며 이에 따라 이전 연구들의 초점도 병의 치료 방법보다는 무증상 기간 및 조기 발견에 맞춰져 있다[8].

국내 연구에서는 유 등[9]이 고농도 스테로이드 치료 (IV methylPd 250mg 4/d ×3d → PO Pd 60mg 1/d~ (3일에 10mg씩 감량)) 직후 시야 결손이 급격하게 좋아지고 대다수에서 유지되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예후

안과적 증상 발생 시 신속하게 약을 끊었을 때 시력이 회복되는 가역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다[10]. 하지만 이전 연구에 의하면 약을 끊었을 때 평균 스넬렌 표 2줄의 시력 호전이 30~64% 에서 있으며 부작용 이전의 시력을 되찾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조사 되었다[11][12]. 다른 연구에선 절반 이상에서 영구적인 시력 및 시야 손상이 발생하며[10][11] 약을 중단한 이후에도 시력 저하가 진행되어 실명을 유발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2,8,9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Altiparmak UE. Toxic optic neuropathies. Curr Opin Ophthalmol. 2013 Nov;24(6):534-9. 연결
  3. Grzybowski A et al. Toxic optic neuropathies : an updated review. Acta Ophthalmol. 2015 Aug;93(5):402-410. 연결
  4. Lessell S. Nutritional amblyopia. J Neuroophthalmol. 1998 Jun;18(2):106-11. 연결
  5. 이정현 등, 에탐부톨 복용 환자에서 정기적인 안과 검사 결과, 한안지 2016;57(12):1939-1945 연결
  6. Rodríguez-Marco NA et al. [Severe and reversible optic neuropathy by ethambutol and isoniazid]. An Sist Sanit Navar. 2014 May-Aug;37(2):287-91. Spanish. 연결
  7. Ezer N et al. Incidence of ethambutol-related visual impairment during treatment of active TB. Int J Tuberc Lung Dis. 2013 Apr;17(4):447-55. 연결
  8. Kim KL et al. VF test for early detection of ethambutol induced ocular toxicity at the subclinical level. Cutan Ocul Toxicol. 2016 Sep;35(3):228-32. 연결
  9. 유정서 등, EON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의 효과, 한안지 2023;64(4):336-345 연결
  10. 10.0 10.1 Tsai RK et al. Reversibility of EON. J Ocul Pharmacol Ther. 1997 Oct;13(5):473-7. 연결
  11. 11.0 11.1 Addington WW. The sid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anti-TB drugs. Chest. 1979 Dec;76(6 Suppl):782-4. 연결
  12. Kim U et al. Early stage EON : RNFL and OCT. Eur J Ophthalmol. 2009 May-Jun;19(3):466-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