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눈모음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눈모음 마비 (convergence paralysis)'''{{신경안과}} 는 근거리 주시에서 만 복시가 있고 눈모음이 불가능하나 한눈운동 검사에서는 내전기능이 정상인 상태이다.
'''눈모음 마비 (convergence paralysis)'''{{신경안과}} 는 근거리 주시에서 만 복시가 있고 눈모음이 불가능하나 한눈운동 검사에서는 내전기능이 정상인 상태이다. [[눈모음 부족]]과 임상적으로 엄격히 구별하기는 어렵다.
== 원인 ==
== 원인 ==
Walsh와 Hoyt는 가장 흔한 원인은 두부 손상이며 그 외 뇌염, 파종 경화증과 척수로 등도 원인일 수 있다고 하였다. 버섯 중독 후 눈모음 마비가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Walsh와 Hoyt는 가장 흔한 원인은 두부 손상이며 그 외 뇌염, 파종 경화증과 척수로 등도 원인일 수 있다고 하였다. 버섯 중독 후 눈모음 마비가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 관련 질환 ==
== 원인 ==
수직 주시 마비와 잘 동반된다.
가장 흔한 원인은 머리 손상이며,그 외 뇌염, 파종 경화증 (disseminated sclerosis) 과 척수 매독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눈모음 마비와 동반된 경우 핵이나 핵상계에 기질적 병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수직 주시 마비와 잘 동반된다.
 
== 분류 ==
== 분류 ==
* 기질적 (inability) 눈모음 마비 : 하고자 해도 할 수 없는 상태
* 기질적 (inability) 눈모음 마비 : 하고자 해도 할 수 없는 상태
* 기능적 (unwillingness) 눈모음 마비 : 할 수는 있지만 하고자 하지 않는 것
* 기능적 (unwillingness) 눈모음 마비 : 할 수는 있지만 하고자 하지 않는 것
== 진단 ==
== 임상 소견 ==
Bielschowsky<ref>Bielschowsky A. Lectures on motor anomalies of the eye.  Arch Ophthalmol 1935;13:5801</ref>는 눈모음 마비를 진단하려면
조절은 정상,감소 또는 없을 수도 있으며 동공도 영향을 받을 수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Bielschowsky<ref>Bielschowsky A. Lectures on motor anomalies of the eye.  Arch Ophthalmol 1935;13:5801</ref>는 눈모음 마비를 진단하려면
* 두개강내 질환 유무
* 두개강내 질환 유무
* 갑자기 발생한 근거리 교차 복시
* 갑자기 발생한 근거리 교차 복시
22번째 줄: 23번째 줄:
* 안경의 아래 부분에 바닥 안쪽 프리즘
* 안경의 아래 부분에 바닥 안쪽 프리즘
을 처방해준다.
을 처방해준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