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축동: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Smile님이 선천성 축동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선천 축동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선천성 축동 (congenital myosis)</b> 은 대개 양안성이며, 빛에 미약하게 반응하고 교감신경 항진제의 점안에도 잘 사용되지 않는 아주 작은 동공이 특징이다.
'''선천 축동 (congenital myosis)'''{{신경안과}} 은 대개 양안성이며, 빛에 미약하게 반응하고 교감신경 항진제의 점안에도 잘 사용되지 않는 아주 작은 동공이 특징이다<ref>Pandey SK et al. Pupillary abnormality. ''BJO''. 2000 May;84(5):554. [https://pubmed.ncbi.nlm.nih.gov/10781526/ 연결]</ref>.
== 원인 ==
== 원인 ==
선천적인 홍채 이완근의 부재로 발생한다. 이 경우 이완근의 길항 작용이 없기 때문에 괄약근이 심하게 수축되어 있다.
선천적인 산동근의 부재가 원인이다.
== 유전 ==
== 유전 ==
유전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산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유전될 경우 상염색체 열성도 보고된 바 있지만 대개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유전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산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유전될 경우 상염색체 열성도 보고된 바 있지만 대개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 관련 질환 ==
== 관련 질환 ==
단독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소각막증, 홍채 위축, 근시, 전방각 기형 등에 동반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전신 질환에 동반될 수도 있다.
단독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소각막증, 홍채 위축, 근시, 전방각 기형 등에 동반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전신 질환에 동반될 수도 있다.
== {{참고}} ==
{{참고}}
# {{신경안과}}

2023년 7월 9일 (일) 15:28 기준 최신판

선천 축동 (congenital myosis)[1] 은 대개 양안성이며, 빛에 미약하게 반응하고 교감신경 항진제의 점안에도 잘 사용되지 않는 아주 작은 동공이 특징이다[2].

원인

선천적인 산동근의 부재가 원인이다.

유전

유전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산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유전될 경우 상염색체 열성도 보고된 바 있지만 대개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관련 질환

단독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소각막증, 홍채 위축, 근시, 전방각 기형 등에 동반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전신 질환에 동반될 수도 있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Pandey SK et al. Pupillary abnormality. BJO. 2000 May;84(5):55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