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외향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원인)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선천 외향신경 마비 (congenital abducens nerve palsy)'''{{신경안과}} | '''선천 외향신경 마비 (congenital abducens nerve palsy)'''{{신경안과}} | ||
== 원인 == | == 원인 == | ||
외향 신경의 핵이 손상되면 같은 쪽의 외전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두 눈에서 병변 쪽으로 수평 주시 마비가 생긴다. 반면 핵 위쪽의 손상은 외전근만 약해져 같은 쪽의 외전 마비만 나타난다<ref>Kline LB, The 6 syndromes of the 6th nerve. In: Kline LBt Bajandas FJ, eds. Neuro-Ophthalmology Review Manual, 6th ed. Torofare: Slack Incorporated, 2008; chap. 4.</ref>. 선천 마비에서 다른 이상이 없는 단독 | 외향 신경의 핵이 손상되면 같은 쪽의 외전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두 눈에서 병변 쪽으로 수평 주시 마비가 생긴다. 반면 핵 위쪽의 손상은 외전근만 약해져 같은 쪽의 외전 마비만 나타난다<ref>Kline LB, The 6 syndromes of the 6th nerve. In: Kline LBt Bajandas FJ, eds. Neuro-Ophthalmology Review Manual, 6th ed. Torofare: Slack Incorporated, 2008; chap. 4.</ref>. 선천 마비에서 다른 이상이 없는 단독 [[외향신경 마비]]는 매우 드물다. | ||
== [[뫼비우스 증후군]] == | == [[뫼비우스 증후군]] == | ||
양쪽 안면신경 마비와 수평 주시 기전 장애 (외전 마비나 수평 주시 마비) 가 있다. 안면 신경 마비 때문에 어릴 때 수유 장애가 있고 가면처럼 얼굴 표정이 없다. | 양쪽 안면신경 마비와 수평 주시 기전 장애 (외전 마비나 수평 주시 마비) 가 있다. 안면 신경 마비 때문에 어릴 때 수유 장애가 있고 가면처럼 얼굴 표정이 없다. |
2023년 7월 15일 (토) 16:10 기준 최신판
선천 외향신경 마비 (congenital abducens nerve palsy)[1]
원인
외향 신경의 핵이 손상되면 같은 쪽의 외전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두 눈에서 병변 쪽으로 수평 주시 마비가 생긴다. 반면 핵 위쪽의 손상은 외전근만 약해져 같은 쪽의 외전 마비만 나타난다[2]. 선천 마비에서 다른 이상이 없는 단독 외향신경 마비는 매우 드물다.
뫼비우스 증후군
양쪽 안면신경 마비와 수평 주시 기전 장애 (외전 마비나 수평 주시 마비) 가 있다. 안면 신경 마비 때문에 어릴 때 수유 장애가 있고 가면처럼 얼굴 표정이 없다.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
가장 흔한 1형의 전형적인 소견은 다음과 같다.
-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인 내전
- 외전 장애
- 내전 때 눈꺼풀 틈새 축소
- 내전 때 안구 함몰
- 내전 때 심한 상전 또는 하전
외전은 정상이지만 내전은 안 되는 경우 (2형), 내전과 외전 모두 장애가 있는 경우 (3형)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