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스테로이드 |
잔글 →예방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1953년 Irvine<ref>Irvine SR. A newly defined vitreous syndro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AJO''. 1953 May;36(5):599-619. [https://pubmed.ncbi.nlm.nih.gov/13040458/ 연결]</ref> 이 낭내적출술 후 유리체 변화와 함께 황반변성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아마도 황반에 작용하는 유리체 견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했고, 1966년 Gass 등<ref>Gass JD et al. CME and papilledema following CE. A fluorescein fundoscopic and angiographic study. ''Arch Ophthalmol''. 1966 Nov;76(5):646-61. [https://pubmed.ncbi.nlm.nih.gov/5955948/ 연결]</ref>은 백내장 수술 후 황반에 낭포 변화와 함께 FA 상 형광 색소의 꽃잎 모양의 축적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러한 모든 특징적인 양상들이 현재의 술 후 발생하는 [[낭포 황반부종]] (CME) 에 해당하는 것이다. | 1953년 Irvine<ref>Irvine SR. A newly defined vitreous syndro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AJO''. 1953 May;36(5):599-619. [https://pubmed.ncbi.nlm.nih.gov/13040458/ 연결]</ref> 이 낭내적출술 후 유리체 변화와 함께 황반변성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아마도 황반에 작용하는 유리체 견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했고, 1966년 Gass 등<ref>Gass JD et al. CME and papilledema following CE. A fluorescein fundoscopic and angiographic study. ''Arch Ophthalmol''. 1966 Nov;76(5):646-61. [https://pubmed.ncbi.nlm.nih.gov/5955948/ 연결]</ref>은 백내장 수술 후 황반에 낭포 변화와 함께 FA 상 형광 색소의 꽃잎 모양의 축적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러한 모든 특징적인 양상들이 현재의 술 후 발생하는 [[낭포 황반부종]] (CME) 에 해당하는 것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발생 빈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백내장 수술 방법의 진화에 따라 그 발생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FA 상 | 발생 빈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백내장 수술 방법의 진화에 따라 그 발생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FA 상 CME의 빈도는 과거 낭내 적출술 시절을 포함하면 약 70%까지 보고된 바 있으나 최근 수정체 유화술이 보편화되면서 그 발생 빈도는 약 20% 내외로 낮아지고 있으며, 임상적 CME의 빈도 또한 과거 12%까지 보고되었으나 최근 1~2%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ref>Flach AJ. The incidenc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C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Trans Am Ophthalmol Soc''. 1998;96:557-634. [https://pubmed.ncbi.nlm.nih.gov/10360304/ 연결]</ref><ref>Henderson BA et al. Clinical PCME. RFs for development and duration after treatment. ''JCRS''. 2007 Sep;33(9):1550-8. [https://pubmed.ncbi.nlm.nih.gov/17720069/ 연결]</ref><ref>Perente I et al. Evaluation of macular changes after uncomplicated PE surgery by OCT. ''Curr Eye Res''. 2007 Mar;32(3):241-7. [https://pubmed.ncbi.nlm.nih.gov/17453944/ 연결]</ref><ref name=r7>Loewenstein A et al. Postsurgical CME. ''Dev Ophthalmol''. 2010;47:148-159. [https://pubmed.ncbi.nlm.nih.gov/20703048/ 연결]</ref>. 이러한 발생 빈도의 감소는 수술 기법의 발전과 더불어 술 전 사용하고 있는 항염증 치료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즉 앞유리체막의 파열, 유리체 손실, 수정체 피질의 잔존, 창상 내 유리체 끼임, 불완전한 인공수정체 위치, 부적절한 창상의 봉합, 만성적인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 ||
== 병인 == | == 병인 ==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 당뇨<ref name=r10>Chu CJ et al; United Kingdom Pseudophakic Macular Edema Study Group. RFs and Incidence of ME after Cataract Surgery : A Database Study of 81984 Eyes. ''Ophthalmology''. 2016 Feb;123(2):316-323. [https://pubmed.ncbi.nlm.nih.gov/26681390/ 연결]</ref> === | === 당뇨<ref name=r10>Chu CJ et al; United Kingdom Pseudophakic Macular Edema Study Group. RFs and Incidence of ME after Cataract Surgery : A Database Study of 81984 Eyes. ''Ophthalmology''. 2016 Feb;123(2):316-323. [https://pubmed.ncbi.nlm.nih.gov/26681390/ 연결]</ref> === | ||
[[당뇨 망막병증]] (DR) 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부종의 위험성이 높으며 DR이 동반되는 경우와 황반부종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위험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 [[당뇨 망막병증]] (DR) 이 동반되지 않더라도 부종의 위험성이 높으며 DR이 동반되는 경우와 황반부종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위험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ref>Han JV et al. C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9 Apr;47(3):346-356. [https://pubmed.ncbi.nlm.nih.gov/30953417/ 연결]</ref>. | ||
=== 포도막염의 과거력 === | === 포도막염의 과거력 === | ||
포도막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이다<ref name=r10 />. 비록 조절이 잘된 포도막염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크진 않지만, 수술 전 3개월 내에 활동성 염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가 있다<ref>Bélair ML et al. Incidence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 and wo uveitis using OCT. ''AJO''. 2009 Jul;148(1):128-35.e2. [https://pubmed.ncbi.nlm.nih.gov/19403110/ 연결]</ref>. | 포도막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이다<ref name=r10 />. 비록 조절이 잘된 포도막염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크진 않지만, 수술 전 3개월 내에 활동성 염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가 있다<ref>Bélair ML et al. Incidence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 and wo uveitis using OCT. ''AJO''. 2009 Jul;148(1):128-35.e2. [https://pubmed.ncbi.nlm.nih.gov/19403110/ 연결]</ref>. | ||
=== 기타 === | === 기타 === | ||
* 분지 정맥폐쇄의 과거력 : 황반부종으로 치료한 병력이 있는 경우 그 위험성이 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분지 정맥폐쇄의 과거력 : 황반부종으로 치료한 병력이 있는 경우 그 위험성이 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수술 시 후낭 파열 : 유리체 소실 유무 또는 유리체 절제술 동반 유무와 | * 수술 시 후낭 파열 : 유리체 소실 유무 또는 유리체 절제술 동반 유무와 상관없이 후낭 파열은 약 2.6배 정도 황반 부종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ref name=r10 />. | ||
* 술 전 [[망막앞막]] | * 술 전 [[망막앞막]] | ||
* 망막박리 수술의 과거력 | * 망막박리 수술의 과거력 | ||
* 녹내장 안약의 사용<ref>Lee KM et al. Pseudophakic ME in POAG : A Prospective Study Using SD OCT. ''AJO''. 2017 Jul;179:97-109. [https://pubmed.ncbi.nlm.nih.gov/28499706/ 연결]</ref> : 특히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 * 녹내장 안약의 사용<ref>Lee KM et al. Pseudophakic ME in POAG : A Prospective Study Using SD OCT. ''AJO''. 2017 Jul;179:97-109. [https://pubmed.ncbi.nlm.nih.gov/28499706/ 연결]</ref> : 특히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사용이 위험성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으나<ref>Wendel C et al. Association of Postoperative Topical PGA or BB Use and Incidence of PCME. ''J Glaucoma''. 2018 May;27(5):402-406. [https://pubmed.ncbi.nlm.nih.gov/29505438/ 연결]</ref> 반대로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
== 분류 == | == 분류 == | ||
| 31번째 줄: | 32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 증상 === | === 증상 === | ||
대체적으로 임상적 낭포 황반 부종은 술 후 | 대체적으로 임상적 낭포 황반 부종은 술 후 4~12주 사이에 발생하게 되며 가장 흔한 증상은 시력의 감소이며 약 0.2에서 0.5 정도의 시력을 보이게 되나 0.1 이하의 시력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회복과 재발의 양상이 지속되면 시세포의 기능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비가역적인 시력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외에도 중심 암점 및 변형시를 동반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대비 감도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와 더불어 충혈, 눈부심, 자극감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 ||
=== 세극등 === | === 세극등 === | ||
PCME는 접촉성 렌즈를 사용하여 세극등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대부분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중심 오목이 소실되고 중심오목 주변부의 황색소 색상이 관찰되며 특히 중심오목 경계 부위에 초점을 맞춘 뒤 후방 산란 혹은 역반사 조명을 통하여 두꺼워진 황반과 낭포양 변화를 비교적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낭포강은 융합되어 점점 커질 수 있으며 황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간혹 작은 점상의 출혈이 발생될 수 있으며 드물게 낭포강내 출혈이 축적될 수도 있다. 약 10%에서 망막앞막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들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망막내 낭포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낭포의 내측 조직이 떨어져 나가면서 내측 황반 원공이 발생되어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많은 환자들에서 건측안의 시신경의 부종이 발생되나 시력에 어느 정도까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부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 PCME는 접촉성 렌즈를 사용하여 세극등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대부분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중심 오목이 소실되고 중심오목 주변부의 황색소 색상이 관찰되며 특히 중심오목 경계 부위에 초점을 맞춘 뒤 후방 산란 혹은 역반사 조명을 통하여 두꺼워진 황반과 낭포양 변화를 비교적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낭포강은 융합되어 점점 커질 수 있으며 황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간혹 작은 점상의 출혈이 발생될 수 있으며 드물게 낭포강내 출혈이 축적될 수도 있다. 약 10%에서 망막앞막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들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망막내 낭포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낭포의 내측 조직이 떨어져 나가면서 내측 황반 원공이 발생되어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많은 환자들에서 건측안의 시신경의 부종이 발생되나 시력에 어느 정도까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부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 ||
| 45번째 줄: | 47번째 줄: | ||
* 전체적인 황반의 모양과 두께는 변화가 거의 없지만 미세한 망막 내 낭포성 변화를 보이는 경우 | * 전체적인 황반의 모양과 두께는 변화가 거의 없지만 미세한 망막 내 낭포성 변화를 보이는 경우 | ||
이며 이들과 함께 드물게 황반하 삼출물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자에 따라 PCME 정의가 달라 빈도나 정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OCT는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 경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 도구이다. | 이며 이들과 함께 드물게 황반하 삼출물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자에 따라 PCME 정의가 달라 빈도나 정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OCT는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 경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 도구이다. | ||
== 감별 진단 == | |||
PCME는 다른 요인에 의한 황반 부종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FA 소견만으로는 감별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환자의 병력, 수술 여부, 시력의 정도와 더불어 동반된 임상 양상, 즉 망막하 출혈, 망막 색소상피 박리의 존재, 망막내 출혈, 지방삼출물의 축적, 형광 누출의 비대칭성, 시신경의 염색 여부 등을 파악하여 감별해야 한다. 즉 앞서 설명한 요인들 중 시신경의 염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양상들은 백내장 수술 후의 CME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는 소견들이다. | |||
당뇨 망막병증 (DR) 이 있는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의 ME가 발생한 경우 전형적인 당뇨 황반부종 (DME) 와의 감별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백내장 수술은 DME가 발생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 두 질환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다만 DME에서는 망막 내 지질 침착이나 망막 출혈의 양상이 많이 나타나며 FA 상 형광의 누출이 조금 더 광범위한 범위에서 나타나며 시신경의 누출이 없다는 점들이 PCME와의 감별점들이다. 이 외에도 BRVO, AMD, RD 등에 의한 ME와의 감별도 중요하다. | |||
== 예방 == | == 예방 == | ||
백내장 수술 후 염증의 조절이 CME 예방에 핵심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점은 수술 시에 후낭의 파열 없이 [[인공수정체]]의 삽입까지 안정적으로 수술을 끝내는 것이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ME의 예방을 위해 술 전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NSAIDs) | 백내장 수술 후 염증의 조절이 CME 예방에 핵심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점은 수술 시에 후낭의 파열 없이 [[인공수정체]]의 삽입까지 안정적으로 수술을 끝내는 것이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ME의 예방을 위해 술 전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NSAIDs)<ref>McCafferty S et al. PCME prevention and RFs; prospective study with adjunctive 1/d topical nepafenac 0.3% vs placebo. ''BMC Ophthalmol''. 2017 Feb 20;17(1):16. [https://pubmed.ncbi.nlm.nih.gov/28219426/ 연결]</ref> 또는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이 ME의 위험을 낮추고 빠른 시력 회복을 도울 수 있으며<ref>Kessel L et al. Post-cataract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ME by steroid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eye drops : a systematic review. ''Ophthalmology''. 2014 Oct;121(10):1915-24. [https://pubmed.ncbi.nlm.nih.gov/24935281/ 연결]</ref>, 스테로이드 안약의 단독 사용보다는 NSAIDs 단독 혹은 병용 사용이 더 효과적이란 보고들이 있다<ref>Wielders LHP et al; ESCRS PREMED Study Group. European multicenter trial of the prevention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nondiabetics : ESCRS PREMED study report 1. ''JCRS''. 2018 Apr;44(4):429-439. [https://pubmed.ncbi.nlm.nih.gov/29778106/ 연결]</ref>. 비록 술 전 예방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 연구된 보고는 없지만, 술 전 안약을 사용하는 것이 술 후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ref>Yavas GF et al. Preop. topical indomethacin to prevent PCME. ''JCRS''. 2007 May;33(5):804-7. [https://pubmed.ncbi.nlm.nih.gov/17466852/ 연결]</ref> 수술 1~3일 전에 예방적으로 안약을 사용한 군에서 부종의 위험을 낮추었다는 보고도 있다<ref>Donnenfeld ED et al. Preop. ketorolac tromethamine 0.4% in PE outcomes : pharmacokinetic-response curve. ''JCRS''. 2006 Sep;32(9):1474-82. [https://pubmed.ncbi.nlm.nih.gov/16931258/ 연결]</ref>. | ||
== 치료 : 약물 == | == 치료 : 약물 == | ||
| 56번째 줄: | 63번째 줄: | ||
* 국소 점안 : 첫 번째 치료제로 고려되지만 단독치료 시 NSAIDs와 병행 치료 시보다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ref>Asano S et al. Reducing angiographic CME and BAB disruption after small-incision PE and foldable IOL implantation :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topical diclofenac 0.1% and betamethasone 0.1%. ''JCRS''. 2008 Jan;34(1):57-6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5082/ 연결]</ref><ref>Wittpenn JR et al; Acular LS for CME Study Group. A randomized, masked comparison of topical ketorolac 0.4% + steroid vs steroid alone in low-risk cataract surgery patients. ''AJO''. 2008 Oct;146(4):554-560. [https://pubmed.ncbi.nlm.nih.gov/18599019/ 연결]</ref>. | * 국소 점안 : 첫 번째 치료제로 고려되지만 단독치료 시 NSAIDs와 병행 치료 시보다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ref>Asano S et al. Reducing angiographic CME and BAB disruption after small-incision PE and foldable IOL implantation :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topical diclofenac 0.1% and betamethasone 0.1%. ''JCRS''. 2008 Jan;34(1):57-6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5082/ 연결]</ref><ref>Wittpenn JR et al; Acular LS for CME Study Group. A randomized, masked comparison of topical ketorolac 0.4% + steroid vs steroid alone in low-risk cataract surgery patients. ''AJO''. 2008 Oct;146(4):554-560. [https://pubmed.ncbi.nlm.nih.gov/18599019/ 연결]</ref>. | ||
* 눈 주위 주사 : 연구가 부족하지만 일반적으로 국소 점안 치료에 재발하는 CME에 사용되며, 이론적으로 유리체강내 주사와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다. | * 눈 주위 주사 : 연구가 부족하지만 일반적으로 국소 점안 치료에 재발하는 CME에 사용되며, 이론적으로 유리체강내 주사와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다. | ||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TA) 주사 :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감소시키고 국소 점안에 비해 부신피질호르이 고농도로 독성 없이 망막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결정 형태인 TA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 주입 후 1.5년까지 유리체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ref>Benhamou N et al. IVTA for refractory pseudophakic ME. ''AJO''. 2003 Feb;135(2):246-9. [https://pubmed.ncbi.nlm.nih.gov/12566041/ 연결]</ref><ref>Jonas JB. IVTA : a change in a paradigm. ''Ophthalmic Res''. 2006;38(4):218-45.[https://pubmed.ncbi.nlm.nih.gov/16763379/ 연결]</ref>. 이러한 긴 반감기와 무독성으로 유리체강내 triamcinolone acetonide 주입은 재발성 낭포황반부종를 가진 환자군에게 유용하나 치료 효과가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재발되어 보통 여러 번의 주사가 필요하다. |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TA) 주사 :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감소시키고 국소 점안에 비해 부신피질호르이 고농도로 독성 없이 망막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결정 형태인 TA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 주입 후 1.5년까지 유리체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ref name=r21>Benhamou N et al. IVTA for refractory pseudophakic ME. ''AJO''. 2003 Feb;135(2):246-9. [https://pubmed.ncbi.nlm.nih.gov/12566041/ 연결]</ref><ref>Jonas JB. IVTA : a change in a paradigm. ''Ophthalmic Res''. 2006;38(4):218-45.[https://pubmed.ncbi.nlm.nih.gov/16763379/ 연결]</ref>. 이러한 긴 반감기와 무독성으로 유리체강내 triamcinolone acetonide 주입은 재발성 낭포황반부종를 가진 환자군에게 유용하나 치료 효과가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재발되어 보통 여러 번의 주사가 필요하다<ref name=r21 />. | ||
이에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약물을 전달하여 치료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개발된 안구 내 스테로이드 삽입물의 사용도 보고되고 있으며 망막정맥패쇄와 비감염성 후포도막염에 의한 황반부종 치료제로 승인된 생분해성 덱사메타손 삽입물인 [[오저덱스]]는 PCME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26,27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 있어 효과가 일시적이며 약을 끊는 순간 다시 재발되는 양상들을 보고하고 있다. | |||
경구복용이나 정맥 내 주사 등의 방법들은 전신 부작용의 위험도가 크며 특히 노인들에게 적용 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이러한 위험도를 줄이고 오히려 황반 내의 농도를 높이기 위한 국소적인 치료들이 우선 선택되고 있으나 이 또한 백내장, 헤르페스각막염, [[고안압]], 상처회복의 지연, 안내염의 발생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흥미롭게 고안압증이 발생한 경우 그 치료 효과가 더 좋았다는 보고가 있는데 이는 스테로이드로 인한 안압상승이 hydrostatic tissue fluid pressure을 증가시켜 황반내 모세혈관의 누출과 관련된 fluid influx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약제의 투과성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연구가 필요하다. |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 ||
| 72번째 줄: | 82번째 줄: | ||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 는 밀착 연접의 기능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을 생성시킴으로써 CNV와 연관된 AMD,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 정맥폐쇄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과발현된다<ref>Dvorak HF et al. Vascular permeability factor/VEGF, microvascular hyperpermeability, and angiogenesis. ''Am J Pathol''. 1995 May;146(5):1029-39. [https://pubmed.ncbi.nlm.nih.gov/7538264/ 연결]</ref>. 따라서 anti-VEGF는 [[혈액-망막 장벽]]을 강화하여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애플리버셉트]]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anti-VEGF들이다. |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 는 밀착 연접의 기능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을 생성시킴으로써 CNV와 연관된 AMD,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 정맥폐쇄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과발현된다<ref>Dvorak HF et al. Vascular permeability factor/VEGF, microvascular hyperpermeability, and angiogenesis. ''Am J Pathol''. 1995 May;146(5):1029-39. [https://pubmed.ncbi.nlm.nih.gov/7538264/ 연결]</ref>. 따라서 anti-VEGF는 [[혈액-망막 장벽]]을 강화하여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애플리버셉트]]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anti-VEGF들이다. | ||
이전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황반변성,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정맥 | 이전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황반변성,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정맥 폐쇄<ref>Brown DM et al; CRUISE Investigators. Ranibizumab for ME following CRVO : 6m primary end point results of a P3 study. ''Ophthalmology''. 2010 Jun;117(6):1124-1133.e1. [https://pubmed.ncbi.nlm.nih.gov/20381871/ 연결]</ref>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anti-VEGF가 망막부종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31-35 또한 여러 연구에서 PCME에서도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36-40 부작용으로는 안내염<ref>Artunay O et al. Incidence and management of acute endophthalmiti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Avastin) injection. ''Eye (Lond)''. 2009 Dec;23(12):2187-93. [https://pubmed.ncbi.nlm.nih.gov/19218994/ 연결]</ref>, [[중심 망막동맥 폐쇄]], 망막열공, 망막박리, 수정체 손상<ref>Meyer CH et al. Incidence of damage to the crystalline lens during intravitreal injections. ''J Ocul Pharmacol Ther''. 2010 Oct;26(5):491-5. [https://pubmed.ncbi.nlm.nih.gov/20874500/ 연결]</ref>, 포도막염, 결막하 충혈 등이 있으며 전신적 부작용으로 정맥 혈전증, 위장관 궤양 등이 보고되고 있다<ref>Fung AE et al. The International Intravitreal Bevacizumab Safety Survey : using the internet to assess drug safety worldwide. ''BJO''. 2006 Nov;90(11):1344-9. [https://pubmed.ncbi.nlm.nih.gov/16854824/ 연결]</ref><ref>Wu L et al; Pan American Collaborative Retina Group (PACORES). 12m safety of intravitreal injections of bevacizumab (Avastin) : results of the PACORE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8 Jan;246(1):81-7. [https://pubmed.ncbi.nlm.nih.gov/17674014/ 연결]</ref>. | ||
== 치료 : 시술 및 수술 == | == 치료 : 시술 및 수술 == | ||
| 81번째 줄: | 91번째 줄: | ||
창상 내 혹은 홍채와의 유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 염증 매개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후안부 쪽으로 약제의 침투를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몇몇 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ref name=r7 /><ref>Fung WE. Vitrectomy for chronic aphakic CME. Results of a national, collaborative, prospective, randomized investigation. ''Ophthalmology''. 1985 Aug;92(8):1102-11. [https://pubmed.ncbi.nlm.nih.gov/3876532/ 연결]</ref>. 이러한 경우에도 수술은 황반 부종이 약 2개월 정도 지속된 경우에 시도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대부분 유리체가 창상에 끼여 있거나, 유리체-황반 견인, 유리체내 잔여 수정체 조각이 있는 등 유리체 이상이 있는 경우였다. 그러나 유리체 이상이 없으면서 최대한의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낭포 황반 부종을 가진 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이 있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어 유리체 이상이 없더라도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ref>Pendergast SD et al. Vitrectomy for chronic PCME. ''AJO''. 1999 Sep;128(3):317-23. [https://pubmed.ncbi.nlm.nih.gov/10511026/ 연결]</ref>. 그러나 수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수술의 위험성과 시력 호전의 가능성이 없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 창상 내 혹은 홍채와의 유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 염증 매개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후안부 쪽으로 약제의 침투를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몇몇 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ref name=r7 /><ref>Fung WE. Vitrectomy for chronic aphakic CME. Results of a national, collaborative, prospective, randomized investigation. ''Ophthalmology''. 1985 Aug;92(8):1102-11. [https://pubmed.ncbi.nlm.nih.gov/3876532/ 연결]</ref>. 이러한 경우에도 수술은 황반 부종이 약 2개월 정도 지속된 경우에 시도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대부분 유리체가 창상에 끼여 있거나, 유리체-황반 견인, 유리체내 잔여 수정체 조각이 있는 등 유리체 이상이 있는 경우였다. 그러나 유리체 이상이 없으면서 최대한의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낭포 황반 부종을 가진 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이 있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어 유리체 이상이 없더라도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ref>Pendergast SD et al. Vitrectomy for chronic PCME. ''AJO''. 1999 Sep;128(3):317-23. [https://pubmed.ncbi.nlm.nih.gov/10511026/ 연결]</ref>. 그러나 수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수술의 위험성과 시력 호전의 가능성이 없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 ||
=== 기타 === | === 기타 === | ||
안내 렌즈를 제거하고 다시 대체한 치료나 고압 산소 | 안내 렌즈를 제거하고 다시 대체한 치료나 고압 산소 치료, 그리고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한 격자 치료 등이 보고된 바 있다. | ||
== 예후 == | == 예후 == | ||
적어도 70%에서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중 약 50%에서 6개월 내 회복되며 90%에서 2년 내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 적어도 70%에서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중 약 50%에서 6개월 내 회복되며 90%에서 2년 내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