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외상성 황반 원공: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시력은 안전수동에서 20/40 사이이며, 평균 시력은 20/200이다.
시력은 안전수동에서 20/40 사이이며, 평균 시력은 20/200이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초기에 발생하는 황반 원공은 특징적으로 크기가 1/2유두지름 이하이지만 만성화된 병변은 더 커질 수 있다. 원공은 대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나지만, 말발굽 모양의 원공도 보고된다.
원인만 다를 뿐 특발성 황반 원공과 비슷하다. 시력은 20/400에서 20/40 정도이며, 환자는 변형시와 중심암점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황반 중심에 잘 경계 지어진 둥근 모양의 전층원공이 관찰되며, 경계면에 망막하액 및 망막내 낭성 변화가 관찰된다. 다양한 크기의 황반원공이 관찰될 수 있으며, Frangieh 등<ref>Frangieh GT et al. A histopathologic study of macular cysts and holes. ''Retina''. 1981;1(4):311-36. [https://pubmed.ncbi.nlm.nih.gov/7348853/ 연결]</ref>은 외상 황반 원공의 평균 직경은 0.86mm, 비외상 황반 원공은 0.66mm 라고 보고하였다.
 
* FA : 초기에 특정적인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 관찰되고, 중기에 옅은 형광으로 둘러싸이며, 후기에 점차 과형광이 사라진다<ref>Bressler SB et al. Traumatic maculopathies. Eye trauma. St. Louis: Mosby, 1991.</ref>.
 
대부분 안정적으로 유지되나 드물게 망막 박리로 진행할 수 있다<ref>Aaberg TM et al. Macular holes. ''AJO''. 1970 Apr;69(4):555-62. [https://pubmed.ncbi.nlm.nih.gov/5437820/ 연결]</ref>. Margherio 등<ref>Margherio RR et al. Macular breaks. 2. Management. ''AJO''. 1972 Aug;74(2):233-40. [https://pubmed.ncbi.nlm.nih.gov/5054231/ 연결]</ref>은 외상 망막박리 환자 758명 중 10명 (1.3%) 에서 황반 원공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드물게 황반 원공이 망막박리의 유일한 원인일 수 있으나 망막박리 환자의 주변부 망막 검진은 반드시 필요하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황반 원공이 동반된 망막박리의 경우 유리체절제술, 내경계막제거술, 액체-가스 교환술로 치료하며 수술 성공율은 90% 이상이다.52-59
황반 원공이 동반된 망막박리의 경우 유리체절제술, 내경계막제거술, 액체-가스 교환술로 치료하며 수술 성공율은 90% 이상이다.52-59


소아, 크기가 큰 황반 원공, 수술 후 자세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안구 충전물로 가스 대신 실리콘 기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실리콘 기름을 주입할 경우 C3F8 가스를 주입한 경우보다 수술 성공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Ghoraba HH et al. LT result of SO vs gas tamponade in the treatment of TMH. ''Clin Ophthalmol''. 2012;6:49-53. [https://pubmed.ncbi.nlm.nih.gov/22259236/ 연결]</ref>.
소아, 크기가 큰 황반 원공, 수술 후 자세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안구 충전물로 가스 대신 실리콘 기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실리콘 기름을 주입할 경우 C<sub>3</sub>F<sub>8</sub> 가스를 주입한 경우보다 수술 성공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Ghoraba HH et al. LT result of SO vs gas tamponade in the treatment of TMH. ''Clin Ophthalmol''. 2012;6:49-53. [https://pubmed.ncbi.nlm.nih.gov/22259236/ 연결]</ref>.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Miller 등<ref>Miller JB et al. LT FU and Outcomes in TMH. ''AJO''. 2015 Dec;160(6):1255-1258.e1. [https://pubmed.ncbi.nlm.nih.gov/26393438/ 연결]</ref>은 28명의 외상 황반 원공 환자의 장기 예후를 보고하였는데, 11명 (39.3%) 의 환자가 5.7주 이내에 자연 폐쇄되었으며, 11명의 환자는 평균 35.1주에 유리체 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여부에 상관없이 원공이 폐쇄된 경우 시력은 호전되었으나 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력이 호전되지 않았다. OCT 검사에서 원공의 크기와 최종 원공 폐쇄 여부의 관련성은 없었으나 작은 원공일수록 자연 폐쇄되는 경향을 보였다.
Miller 등<ref>Miller JB et al. LT FU and Outcomes in TMH. ''AJO''. 2015 Dec;160(6):1255-1258.e1. [https://pubmed.ncbi.nlm.nih.gov/26393438/ 연결]</ref>은 28명의 외상 황반 원공 환자의 장기 예후를 보고하였는데, 11명 (39.3%) 의 환자가 5.7주 이내에 자연 폐쇄되었으며, 11명의 환자는 평균 35.1주에 유리체 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여부에 상관없이 원공이 폐쇄된 경우 시력은 호전되었으나 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력이 호전되지 않았다. OCT 검사에서 원공의 크기와 최종 원공 폐쇄 여부의 관련성은 없었으나 작은 원공일수록 자연 폐쇄되는 경향을 보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