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MP (P3) (2022):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방법 |
잔글 →디자인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치료 중단 후 rebound 현상과 그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 * 치료 중단 후 rebound 현상과 그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 ||
== | == 설계 == | ||
무작위, 이중 맹검 연장 연구 | 무작위, 이중 맹검 연장 연구 | ||
== 대상 == | == 대상 == | ||
기존에 LAMP 연구에 참여한 4~12세 438 환아 중 350명 | 기존에 LAMP 연구에 참여한 4~12세 438 환아 중 350명 | ||
== 방법 == | == 방법 == | ||
3년째에 시작할 때, 환아들은 무작위로 1:1 비율로 치료 지속, 중단군으로 분류되었다. 조절마비 구면수차 대응치 (SE) 와 안축장 (AL) 을 4개월마다 측정했다. | 3년째에 시작할 때, 환아들은 무작위로 1:1 비율로 치료 지속, 중단군으로 분류되었다. 조절마비 구면수차 대응치 (SE) 와 안축장 (AL) 을 4개월마다 측정했다. | ||
== 결과 == | |||
총 326명의 환아가 3년간의 추적 관찰을 완료했다.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rowspan=2|농도 | !rowspan=2|농도 | ||
| 32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중단 동안 rebound SE 진행은 농도에 따라 달랐지만, 그 차이는 임상적으로 적었다 (P=0.15). 많은 나이, 낮은 농도가 SE 진행 (P<0.001) 과 안축장 길어짐 (P<0.001) 에서 적은 반동 효과와 연관 있었다. | 중단 동안 rebound SE 진행은 농도에 따라 달랐지만, 그 차이는 임상적으로 적었다 (P=0.15). 많은 나이, 낮은 농도가 SE 진행 (P<0.001) 과 안축장 길어짐 (P<0.001) 에서 적은 반동 효과와 연관 있었다. | ||
== 결론 == | == 결론 == | ||
3년차 동안, 모든 농도에서 중단보다 지속 치료가 더 나은 효과를 보였고, 0.05% 가 최적의 농도로 유지되었다. 모든 세 가지 농도에서 rebound 효과의 차이는 임상적으로 적었으며, 중단 시 많은 나이, 낮은 농도가 더 적은 rebound와 관련 있었다. | 3년차 동안, 모든 농도에서 중단보다 지속 치료가 더 나은 효과를 보였고, 0.05% 가 최적의 농도로 유지되었다. 모든 세 가지 농도에서 rebound 효과의 차이는 임상적으로 적었으며, 중단 시 많은 나이, 낮은 농도가 더 적은 rebound와 관련 있었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