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나이 관련 황반병증 (age-related maculopathy; ARM) 은 "1990년대에 소개된 정의로, 50세 이상에서 이러한 황반 중심부의 변성과 함께 시력의 손실을...)
 
잔글 (Smile님이 나이 관련 황반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나이 관련 황반병증 (age-related maculopathy; ARM) 은 "1990년대에 소개된 정의로, 50세 이상에서 이러한 황반 중심부의 변성과 함께 시력의 손실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나이관련 황반병증 (age-related maculopathy; ARM)'''{{망막}} 은 1990년대에 소개된 정의로, 50세 이상에서 이러한 황반 중심부의 변성과 함께 시력의 손실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 분류 ==
== 분류 ==
* 초기 (early) 나이관련 황반병증 : 병적인 상태가 아닌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International Epidemiology Age-Related Maculopathy Study Group은 50세 이상의 환자가  
* 초기 (early) 나이관련 황반병증 : 병적인 상태가 아닌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International Epidemiology Age-Related Maculopathy Study Group은 50세 이상의 환자가  
5번째 줄: 5번째 줄:
# 연성 드루젠과 연관된 과색소 병변
# 연성 드루젠과 연관된 과색소 병변
# 연성 드루젠과 연관된 저색소 병변 또는 탈색소 병변
# 연성 드루젠과 연관된 저색소 병변 또는 탈색소 병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 작은 (63㎛ 미만) 드루젠, 경성 드루젠, 드루젠의 동반이 없는 색소 이상, 작은 드루젠 혹은 경성 드루젠이 동반된 색소 이상의 경우는 정의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는 경성 드루젠은 50대 이후에 거의 대부분 존재하고, 단지 색소 변화만 있는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병증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 작은 (63㎛ 미만) 드루젠, 경성 드루젠, 드루젠의 동반이 없는 색소 이상, 작은 드루젠 혹은 경성 드루젠이 동반된 색소 이상의 경우는 정의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는 경성 드루젠은 50대 이후에 거의 대부분 존재하고, 단지 색소 변화만 있는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병증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후기 (late) 나이관련 황반병증 : [[나이 관련 황반 변성]]으로 정의하였다.
* 후기 (late) 나이관련 황반병증 : [[나이관련 황반변성]]으로 정의하였다.
{{참고}}

2022년 2월 15일 (화) 00:39 기준 최신판

나이관련 황반병증 (age-related maculopathy; ARM)[1] 은 1990년대에 소개된 정의로, 50세 이상에서 이러한 황반 중심부의 변성과 함께 시력의 손실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분류

  • 초기 (early) 나이관련 황반병증 : 병적인 상태가 아닌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International Epidemiology Age-Related Maculopathy Study Group은 50세 이상의 환자가
  1. 연성 드루젠 (63㎛ 이상)
  2. 연성 드루젠과 연관된 과색소 병변
  3. 연성 드루젠과 연관된 저색소 병변 또는 탈색소 병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 작은 (63㎛ 미만) 드루젠, 경성 드루젠, 드루젠의 동반이 없는 색소 이상, 작은 드루젠 혹은 경성 드루젠이 동반된 색소 이상의 경우는 정의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는 경성 드루젠은 50대 이후에 거의 대부분 존재하고, 단지 색소 변화만 있는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병증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