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반복 각막 진무름 |
잔글 →효과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콘택트렌즈}} 는 시력 교정보다는 각막 창상 치유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CL) 를 말한다. | '''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콘택트렌즈}} 는 시력 교정보다는 각막 창상 치유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CL) 를 말한다. | ||
== 역사 == | == 역사 == | ||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최근에는 다른 렌즈로도 치료에 실패한 경우 각막 창상의 보호를 위해 공막 렌즈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ref>Ridley F. Therapeutic uses of scleral contact lenses. ''Int Ophthalmol Clin''. 1962 Oct;2:687-716. [https://pubmed.ncbi.nlm.nih.gov/13982241/ 연결]</ref>. 가스-투과 공막 렌즈는 좀 더 최근에 만들어 졌고, 이로 인해 기존 공막 렌즈의 단점인 저산소증을 부분적으로 해결하여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ref>Schein OD et al. A gas-permeable scleral contact lens for visual rehabilitation. ''AJO''. 1990 Mar 15;109(3):318-22. [https://pubmed.ncbi.nlm.nih.gov/2309865/ 연결]</ref>. 1990년대 말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소개되었는데, 이 렌즈는 높은 Dk/t (산소 전달률) 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장점을 보여 다양한 각막 질환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f>Lim L et al. Therapeutic use of B&L PureVision CL. ''CLAO J''. 2001 Oct;27(4):179-85. [https://pubmed.ncbi.nlm.nih.gov/11725978/ 연결]</ref>. | |||
== 기전 == | == 기전 == | ||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 ||
| 12번째 줄: | 13번째 줄: | ||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
== | == 선택 == | ||
각막 | 적절한 TCL을 선택할 때는 다양한 각막 표면 질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반대로 TCL이 각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두 알아야 한다. 렌즈는 다음 세 가지 기전을 통해 각막 생리에 영향을 준다. | ||
* 다앙한 정도의 저산소증을 일으킨다. | |||
* 각막 표면의 눈물막 분배 정도를 바뀌게 한다. | |||
== | * 각막 상피의 저강도의 기계적 외상을 입힌다. | ||
* | |||
가장 이상적인 렌즈는 이러한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각막 표면 질환의 치유를 돕는 것이다. 시력이 없는 눈과 같이 편안함이 가장 중요한 경우가 아닌 한, 각막으로의 산소 전달이 렌즈를 통해 최대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각막 상처 치유를 목적으로 CL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Dk (oxygen permeability, 산소투과율) 가 매우 중요하다. TCL이 필요한 눈은 일반적인 눈과 생리적으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산소 수송에 관여하는 조직에 이상이 생긴 각막내피 이상증인 경우에도 TCL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산소투과율이 중요하다. | |||
눈물막도 중요한데, TCL이 필요한 눈은 일반적으로 각막 표면이 불규칙하여 눈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눈물 생성도 제한되어 있다. 건조한 눈에서는 렌즈 재질의 습윤각 (wetting angle) 과 렌즈를 감싸는 눈물분포가 중요하다. 심한 안구 표면 질환이 있거나 노출이 심한 눈은 각막을 습윤하기 위한 렌즈 뒤편의 눈물 저장고 유지가 중요하다. 또한 TCL은 렌즈 움직임 이 일반 SCL보다 작아야 이물감이 적고, 치유 중인 각막상피 에 대한 자극도 적으며, 과도할 경우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보통 렌즈 장착 시 렌즈 직경 및 기본 곡율이 중요하지만, TCL의 경우에는 적당한 시상 깊이가 더욱 중요하다. 대부분 TCL을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되기 때문에 생리적인 환경 고려가 특히 중요한데, TCL이 너무 가파르게 처방되면 렌즈가 공막을 누르고 결막 혈관이 창백해지며 장시간 착용 시 렌즈 유착 증후군 (tight lens syndrome) 을 유발할 수 있다. 또 고려해야 할 사항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과 TCL이 작옹하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치료 목적이 각막 상피의 치유와 보호라면, 저산소증의 합병증은 피하면서 적절한 장착이 되어야 한다<ref>Foulks GN et al. TCL : the role of high-Dk lenses. ''Ophthalmol Clin North Am''. 2003 Sep;16(3):455-61. [https://pubmed.ncbi.nlm.nih.gov/14564766/ 연결]</ref>. 요약하면 치료 목적으로 렌즈를 사용할 경우 각 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 |||
== 종류 == | |||
=== 일회용 하이드로겔 === | |||
일회용 하이드로겔 CL은 [[반복 각막 진무름]],[[실모양 각막염]], [[수포 각막병증]], [[신경마비 각막병증]]8 등과 같은 질환에서 치료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치료용으로 쓰일 때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특히 낮은 가격으로 정기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렌즈 오염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렌즈 역시 기존의 렌즈와 마찬가지로 저산소증, 감염 각막염 등의 위험성이 있다. | |||
=== 실리콘 하이드로겔 === | |||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 목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으나9, 취침 시 착용할 경우 각막 부종을 피하기 위한 최소 수준의 Dk/t를 만족시키지 못했다10. 대부분의 TCL이 취침 시에도 착용되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높은 Dk/t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 장점으로 작용하며, 장점은 다음과 같다. | |||
* 높은 Dk/t를 가진다. | |||
* 낮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어 눈에서 탈수를 덜 일으킨다.11 | |||
* 녹농균이 적게 붙는 경향이 있어 각막상피가 얇아질 가능성이 줄어들고, 각막 감염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눈물의 lactate dehydrogenase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12 | |||
몇몇의 연구에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치료 목적으로 시용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안구표면 질환에서 lotrafilcon A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이 라는 결과가 있었다. 특히 렌즈를 착용하고 교체하는 것이 각막상피 손상,통증 및 감염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환자에서, 이 렌즈는 자주 교제할 필요가 없어 장점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13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위로 높은 Dk를 가지는 RGP렌즈를 장착하여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된 결과도 있었다. SCL을 장착할 때는 필요로 하는 면적을 전부 커버해야 하고, 눈 깜박임 시 덜 움직여야 하며, 윤부 혈관을 누르지 않게 해야 한다. | |||
=== 실리콘 고무 === | |||
실리콘 고무는 산소 투과율이 매우 높아 과거에 속눈썹증이나 눈꺼풀이 잘 감기지 않는 질환에서 TCL로 많이 쓰였다. 부드럽고 두께가 얇은 (0.1~0.15mm) 반면, 표면에 단백질과 점액이 쉽게 침착하고 지방을 흡수하 | |||
는 경향이 있어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다. | |||
=== 하드 콘택트렌즈 (HCL) === | |||
HCL은 시력 교정 및 치료, 두 가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각막 직경보다 작긴 하지만,이상한 방향으로 자라난 속눈썹이나 다른 외부 요인들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기에는 충분하다. 가끔 직경이 큰 렌즈가 사용되기도 한다. [[원추각막]],[[공모양 각막]] 및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과 같은 질환에서는 각막 난시가 심해지기 때문에 양면 토릭 렌즈가 쓰이기도 한다. | |||
=== 공막 렌즈 === | |||
공막렌즈는 100년 이상 치료 목적으로 시용되어 왔고, 특히 다른 렌즈를 시용할 수 없는 반흔 조직이 동반된 건조안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이 렌즈의 장점은 눈 모양에 상관 없이 장착될 수 있고, 각막과 안구 결막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막 렌즈는 직경에 따라 분류되며, 윤부에 눈물 고임이 있어야 하고, 각막 중심 부위는 렌즈와 접촉이 없어야 한다. 각막 부종을 피하기 위해 내피세포 수가 1,000/㎟ 이상 되어야 사용 가능하며, 주변의 지지부는 공막 위에 위치하며, 비정상이거나 질환이 있는 각막 위에서 렌즈가 눈물층을 만들어 일정한 거리를 갖고 위치하게 한다. 공막 렌즈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
* 각막에 접촉이 없다. | |||
* 어떤 형태의 눈에도 피팅이 가능하다. | |||
* 각막과 구결막이 완전히 보호된다. | |||
* 가스 투과성 재료를 사용하여 밀봉 피팅이 가능하다. | |||
* 착용 과정이 단순하다. | |||
* 밤새 착용이 가능하다. | |||
=== 아교질 렌즈 === | |||
아교질은 이질적인 생물학적 환경에서 분해되며, 영구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결국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흡수성 봉합사,화상의 드레싱、안면부 연조직 증대술 등 여러 의학 목적으로 사용된다. 안과적 영역에서는 공막 돌륭술 재료, 눈물관 플러그, 외안부 패치 등에 사용된다. | |||
CL 모양의 collagen shields는 각막을 보호하고 각막 상피 상처의 치유를 촉진한다15. 아교질은 수용성 약물을 흡수하여 녹을 때 약물을 방출하므로 약물 투여에 이용될 수 있는데, 점안 안약이나 결막 주사보다 농도가 높은 약물을 안구 표면에 전달할 수 있다. | |||
=== 양막 렌즈 === | |||
양막은 EGE TGF-a, TGF-pl. TGF-p2, VEGE 促F 등 여러 가지 성장인사를 가시고 있어서 안구 표면 질환에 많이 이용되있다. 하지만 각막이나 결막에 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봉합사에 의한 합병증이 있었다. 최근 교차 결합을 이용한 CL 타입의 양막 렌즈가 개발되어 [[수포 각막병증]], [[각막 화상]], [[신경영양 각막염]], 만성 각막상피 결손 등에서 각막 상피 재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수포 각막병증]] === | === [[수포 각막병증]] === | ||
| 29번째 줄: | 63번째 줄: | ||
양안 각막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이 생기며 천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결국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을 일으키게 된다. 각막이식 전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친수성 CL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장착은 수포 각막병증과 비슷하다. | 양안 각막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이 생기며 천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결국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을 일으키게 된다. 각막이식 전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친수성 CL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장착은 수포 각막병증과 비슷하다. | ||
=== [[반복 각막 진무름]] === | === [[반복 각막 진무름]] (RCE) === | ||
바닥막 복합체의 손상으로 인해 기질이 상피에 단단하게 붙지 못하여 발생하고,바이러스성 및 세균 각막염과 각막 이상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동반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손가락에 의한 눈 찔림과 같은 각막의 경한 외상이며,이는 만성적으로 각막 미란의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저막이 불완전하게 재형성되는 몇개월 동안은 만성적으로 고통스러운 상피 미란의 재발이 반복될 수 있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몇 개월에 걸쳐 반결합체가 완전히 재형성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ref>Gipson IK et al. Reassembly of the anchoring structures of the corneal epithelium during wound repair in the rabbit. ''IOVS''. 1989 Mar;30(3):425-34. [https://pubmed.ncbi.nlm.nih.gov/2925314/ 연결]</ref>. 따라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TCL을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상피 벗겨짐이 대부분 밤이나 아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렌즈 착용이 권유된다. | |||
이 질환에서 일회용 렌즈는 기존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t가 높고 두께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고 각막 부종도 적다. 잘 낫지 않는 RCE나 수술 후 생긴 각막 상피병증이 lotrafilcon A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로 치료에 성공한 15예가 발표된 적도 있다<ref>Ambroziak AM et al. Therapeutic use of a silicone hydrogel CL in selected clinical cases. ''Eye Contact Lens''. 2004 Jan;30(1):63-7. [https://pubmed.ncbi.nlm.nih.gov/14722474/ 연결]</ref>.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2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눈에 더 편안감을 준다. 이 질환에는 렌즈 외에도 윤활제, 고장성 약물, 점안 항생제나 조절 마비제가 필요할 수 있다. 종종 기계적인 창상 절제 및 압박 안대의 치료가 도움이 되지만, 수 일의 치유 과정이 필요하거나 지속적인 통증 및 드레싱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 |||
동반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손가락에 | |||
같은 각막의 경한 외상이며,이는 만성적으로 | |||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 |||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 | |||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 |||
눈에 더 편안감을 준다. 이 질환에는 렌즈 외에도 | |||
고장성 | |||
종종 기계적인 창상 절제 및 압박 안대의 치료가 도움이 |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