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탐부톨: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에탐부톨 (ethambutol)'''{{신경안과}} 경구용 항결핵 화학요법 제제로써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와 함께 결핵의 1차 치료 약제로 1960년대부터 이용되었다. == 기전 ==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결핵균의 사멸을 유도한다. == 장점 == 기존의 항결핵제의 내성균의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어서 결핵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에탐부톨 (ethambutol)'''{{신경안과}} 경구용 항결핵 화학요법 제제로써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와 함께 결핵의 1차 치료 약제로 1960년대부터 이용되었다.
'''에탐부톨 (ethambutol)'''{{신경안과}} 경구용 항결핵 화학요법 제제로써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와 함께 결핵의 1차 치료 약제로 1960년대부터 이용되었다<ref>Jameson JL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 ed. New York: The McGraw-Hill Companies, 2018;1119-20.</ref>.
== 기전 ==
== 기전 ==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결핵균의 사멸을 유도한다.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결핵균의 사멸을 유도한다.
5번째 줄: 5번째 줄:
기존의 항결핵제의 내성균의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어서 결핵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의 항결핵제의 내성균의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어서 결핵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부작용 ==
== 부작용 ==
*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독성 시신경병증]] : 에탐부톨은 독성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약물 중 가장 흔한 약물이다.
* [[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독성 시신경병증]] : 에탐부톨은 독성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약물 중 가장 흔한 약물이다. 적정 치료 용량을 투여한 환자의 1~5%<ref>Ezer N et al. Incidence of ethambutol-related visual impairment during treatment of active tuberculosis. ''Int J Tuberc Lung Dis''. 2013 Apr;17(4):447-55. [https://pubmed.ncbi.nlm.nih.gov/23394767/ 연결]</ref>에서 약물을 복용한 지 수 일에서 수개월 내 약물 독성이 시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참고}}
{{참고}}

2024년 7월 10일 (수) 08:52 기준 최신판

에탐부톨 (ethambutol)[1] 경구용 항결핵 화학요법 제제로써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와 함께 결핵의 1차 치료 약제로 1960년대부터 이용되었다[2].

기전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결핵균의 사멸을 유도한다.

장점

기존의 항결핵제의 내성균의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어서 결핵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작용

  • 독성 시신경병증 : 에탐부톨은 독성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약물 중 가장 흔한 약물이다. 적정 치료 용량을 투여한 환자의 1~5%[3]에서 약물을 복용한 지 수 일에서 수개월 내 약물 독성이 시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Jameson JL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 ed. New York: The McGraw-Hill Companies, 2018;1119-20.
  3. Ezer N et al. Incidence of ethambutol-related visual impairment during treatment of active tuberculosis. Int J Tuberc Lung Dis. 2013 Apr;17(4):447-5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