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시/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CAM 시력 자극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방법 == | == 방법 == | ||
[[가림 치료]]가 가장 많이 쓰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립되었지만 의사에 따라 처벌 치료를 우선하는 경우도 있으며, 치료 방법은 우열 관계보다는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 [[가림 치료]]가 가장 많이 쓰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립되었지만 의사에 따라 처벌 치료를 우선하는 경우도 있으며, 치료 방법은 우열 관계보다는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 ||
=== 굴절 이상의 교정 === | |||
굴절이상이 있으면 [[조절 마비 굴절 검사]]를 하여 적절한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굴절 이상의 교정은 모든 약시 치료에서 가장 중요하고,굴절부등 약시, 사시 약시, 두눈 굴절이상 약시에 모두 단독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이 있는 굴절부등 약시나 사시 약시의 경우에도 굴절 이상을 교정해주는 것만으로 시력이 어느 정도 호전된다는 보고가 있다<ref>Writing Committee for the PEDIG ; Cotter SA et al. Optical treatment of strabismic and combined strabismic-anisometropic amblyopia. ''Ophthalmology''. 2012 Jan;119(1):150-8. [https://pubmed.ncbi.nlm.nih.gov/21959371/ 연결]</ref>. | |||
어른과 달리 소아에서 안경을 처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에는 약시가 이미 발생하였거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 굴절 이상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미국 안과 학회 안경 처방 지침도 전문가 집단의 합의에 의한 것으로 과학적인 근거가 충분한 숫자는 아니며 계속 수치가 변하고 있지만 참고할 만하다. | |||
=== [[가림 치료]] === | |||
=== [[처벌 치료]] === | |||
== 과거에 시도된 치료들 == | |||
=== 적색 필터 치료 === | |||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에서 적색 또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여 주시양상을 바꾼 후 우세안에 가림 치료를 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우세안을 가리면서 약시안 앞에 적색 필터를 대면, 중심외 주시를 하는 망막 부위는 황반부에 비해 원불세포가 적고 막대세포가 많아 적색빛이 효과적으로 자극하지 못하기 때문에 황반부를 사용하고 중심외주시 부위의 망막 사용을 억제하게 된다는 기전으로 적색 필터가 중심외 주시를 중심 주시나 망막 중심오목 부근 주시로 주시 양상을 바꾸는데 효과적 이라고 보고되었고<ref>Brinker WR et al. A new and practical treatment of eccentric fixation. A preliminary study. ''AJO''. 1963 May;55:1033-5. [https://pubmed.ncbi.nlm.nih.gov/14015513/ 연결]</ref>, 약시안의 망막 중심오목 부근을 자극하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재 실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
=== 프리즘 === | |||
과거에 사시 약시에서 프리즘을 단독으로 혹은 가림 치료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으나 가림 치료보다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없고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 |||
=== 약시 시능 교정 (pleoptics) === | |||
약시안을 잘 사용하도록 훈련하는 치료로, 기본적으로 약시가 심하여 중심외 주시가 발생한 나이 든 소아에서 시행하도록 고안되었는데, 망막 주변부에 비해 생리적으로 우세한 황반부를 자극하는 훈련으로 중심 주시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 |||
* Bangerter 방법 : 밝은 빛으로 중심외 주시하고 있는 주변 망막을 눈부시게 하고 (dazzling method) 간헐적인 불빛으로 황반부를 자극한다. | |||
* Cuppers 방법 : 밝은 빛으 로 망막 주변을 자극하여 생긴 음성 잔상을 검사실 조명을 깜박거려 강화시키면서 Haidinger brush (coordinator) 로 주시 훈련을 하며 중심주시를 유도한다. | |||
이 있다. 이런 방법은 현재 임상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데, 협조가 안되면 하기 힘들고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큰 반면 치료 후 장기간 효과가 확실치 않으며 가림 치료에 비해 더 우월하다고 할 수 없고, 또 과거와 같은 중심외 주시를 동반한 심한 약시는 감소하여 대부분의 약시 환자가 가림 치료만으로 효과가 있는 어린 나이에 안과 의사에게 의뢰되기 때문이다. | |||
=== CAM 시력 자극기 === | |||
Campbell 등<ref>Campbell FW et al. Preliminary results of a physiologically based treatment of amblyopia. ''BJO''. 1978 Nov;62(11):748-55. [https://pubmed.ncbi.nlm.nih.gov/718813/ 연결]</ref>은 우세안을 가린 상태에서 다양한 공간 주파수를 가지고 서서히 회전하는 시표 (CAMbridge stimulator) 로 짧은 시간 동안 강력히 약시안을 자극하여 약시 치료를 시도하였다. 이때 자극을 받는 동안만 우세안을 가리고 평상시에는 가릴 필요가 없다. 치료 원리는 회전 시표 (rotating gratings) 가 시피질 신경세포 (visual cortical neurons) 의 공간 방향감 (spatial orientation) 에 특이적인 자극을 제공한다는 것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현재 이 기계는 구입할 수 없다. | |||
{{참고}} | {{참고}} |
2024년 7월 15일 (월) 00:07 기준 최신판
약시 : 치료
목적
주목적은 약시안의 시력 회복 또는 개선에 있으며, 성공적으로 치료되면 사시 약시의 경우 사시가 사위 혹은 간헐 사시로 바뀌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1]. 또 정상안이 불의의 사고로 장애가 생길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안 보존이란 이유로도 약시 치료가 필요하다.
원칙
약시 치료는 병태생리학적 개념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한때는 선천 또는 유전질환이라고 여겨 치료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약시는 발생 원인에 따라 분류가 달라지지만 사시 또는 굴절 부등 약시가 대부분이며, 약시안을 쓰지 않는다는 공통적인 이유 때문에 그 눈을 강제로 사용하도록 하는 치료 방법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
약시 치료의 원칙은 약시를 유발하는 두 가지 기전인 시각 차단 (형태시 결핍) 과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을 교정하여 시력발달을 도와주는 것이다. 형태시 결핍을 해결하여 약시안 망막에 또렷한 상을 맺게 해주어야 시각 발달을 자극할 수 있다. 눈꺼풀 처침이나 백내장 등 시축을 가리는 병변이 있으면 이를 해결하고 굴절 이상은 교정하여 망막에 깨끗한 상이 맺힐 수 있도록 한다. 두 눈의 형태시 결핍을 해결한 상태에서 사시가 있거나 한 눈의 굴절 이상이 더 심하다는 등의 원인으로 우세안과 비우세안이 있을 경우에는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을 해결해주기 위해 우세안에 이익을 주는 방법을 동원한다.
방법
가림 치료가 가장 많이 쓰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립되었지만 의사에 따라 처벌 치료를 우선하는 경우도 있으며, 치료 방법은 우열 관계보다는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굴절 이상의 교정
굴절이상이 있으면 조절 마비 굴절 검사를 하여 적절한 안경을 착용하도록 한다. 굴절 이상의 교정은 모든 약시 치료에서 가장 중요하고,굴절부등 약시, 사시 약시, 두눈 굴절이상 약시에 모두 단독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이 있는 굴절부등 약시나 사시 약시의 경우에도 굴절 이상을 교정해주는 것만으로 시력이 어느 정도 호전된다는 보고가 있다[2].
어른과 달리 소아에서 안경을 처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에는 약시가 이미 발생하였거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 굴절 이상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미국 안과 학회 안경 처방 지침도 전문가 집단의 합의에 의한 것으로 과학적인 근거가 충분한 숫자는 아니며 계속 수치가 변하고 있지만 참고할 만하다.
가림 치료
처벌 치료
과거에 시도된 치료들
적색 필터 치료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에서 적색 또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여 주시양상을 바꾼 후 우세안에 가림 치료를 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우세안을 가리면서 약시안 앞에 적색 필터를 대면, 중심외 주시를 하는 망막 부위는 황반부에 비해 원불세포가 적고 막대세포가 많아 적색빛이 효과적으로 자극하지 못하기 때문에 황반부를 사용하고 중심외주시 부위의 망막 사용을 억제하게 된다는 기전으로 적색 필터가 중심외 주시를 중심 주시나 망막 중심오목 부근 주시로 주시 양상을 바꾸는데 효과적 이라고 보고되었고[3], 약시안의 망막 중심오목 부근을 자극하는 청색 필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재 실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프리즘
과거에 사시 약시에서 프리즘을 단독으로 혹은 가림 치료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으나 가림 치료보다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없고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약시 시능 교정 (pleoptics)
약시안을 잘 사용하도록 훈련하는 치료로, 기본적으로 약시가 심하여 중심외 주시가 발생한 나이 든 소아에서 시행하도록 고안되었는데, 망막 주변부에 비해 생리적으로 우세한 황반부를 자극하는 훈련으로 중심 주시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 Bangerter 방법 : 밝은 빛으로 중심외 주시하고 있는 주변 망막을 눈부시게 하고 (dazzling method) 간헐적인 불빛으로 황반부를 자극한다.
- Cuppers 방법 : 밝은 빛으 로 망막 주변을 자극하여 생긴 음성 잔상을 검사실 조명을 깜박거려 강화시키면서 Haidinger brush (coordinator) 로 주시 훈련을 하며 중심주시를 유도한다.
이 있다. 이런 방법은 현재 임상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데, 협조가 안되면 하기 힘들고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큰 반면 치료 후 장기간 효과가 확실치 않으며 가림 치료에 비해 더 우월하다고 할 수 없고, 또 과거와 같은 중심외 주시를 동반한 심한 약시는 감소하여 대부분의 약시 환자가 가림 치료만으로 효과가 있는 어린 나이에 안과 의사에게 의뢰되기 때문이다.
CAM 시력 자극기
Campbell 등[4]은 우세안을 가린 상태에서 다양한 공간 주파수를 가지고 서서히 회전하는 시표 (CAMbridge stimulator) 로 짧은 시간 동안 강력히 약시안을 자극하여 약시 치료를 시도하였다. 이때 자극을 받는 동안만 우세안을 가리고 평상시에는 가릴 필요가 없다. 치료 원리는 회전 시표 (rotating gratings) 가 시피질 신경세포 (visual cortical neurons) 의 공간 방향감 (spatial orientation) 에 특이적인 자극을 제공한다는 것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현재 이 기계는 구입할 수 없다.
참고
- ↑ Campos E. Amblyopia. Surv Ophthalmol. 1995 Jul-Aug;40(1):23-39. 연결
- ↑ Writing Committee for the PEDIG ; Cotter SA et al. Optical treatment of strabismic and combined strabismic-anisometropic amblyopia. Ophthalmology. 2012 Jan;119(1):150-8. 연결
- ↑ Brinker WR et al. A new and practical treatment of eccentric fixation. A preliminary study. AJO. 1963 May;55:1033-5. 연결
- ↑ Campbell FW et al. Preliminary results of a physiologically based treatment of amblyopia. BJO. 1978 Nov;62(11):748-5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