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 샘종성 증식: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가성 샘종성 증식증 (pseudoglandular hyperplasia)'''은 인체 어느 부위에서든 발견될 수 있는 정상 세포의 양성 증식증을 뜻한다<ref>Grunwald MH et al. Pseudocarcinomatous hyperplasia. ''Am J Dermatopathol''. 1988 Apr;10(2):95-103. [https://pubmed.ncbi.nlm.nih.gov/3239723/ 연결]</ref>. == 감별 진단 == 침윤성 암종과 유사하여 오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f>Freeman RG. On the pathogenesis of pseudoepitheliomatous hyper...)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가성 샘종성 | '''가성 샘종성 증식 (pseudoglandular hyperplasia)'''은 인체 어느 부위에서든 발견될 수 있는 정상 세포의 양성 증식증을 뜻한다<ref>Grunwald MH et al. Pseudocarcinomatous hyperplasia. ''Am J Dermatopathol''. 1988 Apr;10(2):95-103. [https://pubmed.ncbi.nlm.nih.gov/3239723/ 연결]</ref>.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침윤성 암종과 유사하여 오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f>Freeman RG. On the pathogenesis of pseudoepitheliomatous hyperplasia. ''J Cutan Pathol''. 1974;1(6):231-7. [ | 침윤성 암종과 유사하여 오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f>Freeman RG. On the pathogenesis of pseudoepitheliomatous hyperplasia. ''J Cutan Pathol''. 1974;1(6):231-7. [https://pubmed.ncbi.nlm.nih.gov/4470727/ 연결]</ref>. 악성 종양의 경우 절제면에 암세포가 전혀 없도록 근치적인 제거가 필수적이겠지만, 이로 인해 회복이 더딜 수 있고 수술 합병증의 가능성 또한 증가할 수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