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은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상실, 행동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뇌의 진행성 신경 퇴행 질환이다<ref>Hardy JA et al. AD :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1992 Apr 10;256(5054):184-5. [https://pubmed.ncbi.nlm.nih.gov/1566067/ 연결]</ref>.)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은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상실, 행동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뇌의 진행성 신경 퇴행 질환이다<ref>Hardy JA et al. AD :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1992 Apr 10;256(5054):184-5. [https://pubmed.ncbi.nlm.nih.gov/1566067/ 연결]</ref>. |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은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상실, 행동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뇌의 진행성 신경 퇴행 질환이다<ref name=r1>Hardy JA et al. AD :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1992 Apr 10;256(5054):184-5. [https://pubmed.ncbi.nlm.nih.gov/1566067/ 연결]</ref>. | ||
== 병인 == | |||
이 질환은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Aβ) 와 타우 (tau)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처리 및 제거로 인해 뇌와 같은 중추신경계에 Aβ 플라크 (plaque) 와 신경원섬유 농축체 (neurofibrillary tangles) 가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ref name=r1 />. 이러한 신경독성 단백질은 AD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미세 아교세포증 (microgliosis) 과 성상세포증 (astrocytosis) 으로 나타나는 신경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Selkoe DJ et al. The amyloid hypothesis of AD at 25y. ''EMBO Mol Med''. 2016 Jun 1;8(6):595-608. [https://pubmed.ncbi.nlm.nih.gov/27025652/ 연결]</ref>. | |||
{{참고}} |
2025년 7월 22일 (화) 16:43 기준 최신판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은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상실, 행동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뇌의 진행성 신경 퇴행 질환이다[1].
병인
이 질환은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Aβ) 와 타우 (tau)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처리 및 제거로 인해 뇌와 같은 중추신경계에 Aβ 플라크 (plaque) 와 신경원섬유 농축체 (neurofibrillary tangles) 가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1]. 이러한 신경독성 단백질은 AD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미세 아교세포증 (microgliosis) 과 성상세포증 (astrocytosis) 으로 나타나는 신경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