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약: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복제약 (biosmililar)''' 은 원 (original) 약제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와 안전성에서 동등성을 보이는 의약품이다. == 장점 == 일반적으로 원 약제 (innovator) 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므로 치료에 대한 환자 개개인의 부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여주어 효율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f>Sharma A et al. Biosimilars in ophthalmology : 'Is there a big change on the horizon?'. ''Cli...) |
잔글 (→장점)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복제약 (biosmililar)''' 은 원 (original) 약제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와 안전성에서 동등성을 보이는 의약품이다. | '''복제약 (biosmililar)''' 은 원 (original) 약제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와 안전성에서 동등성을 보이는 의약품이다. | ||
== 장점 == | == 장점 == | ||
일반적으로 원 약제 (innovator) 에 비해 | 일반적으로 원 약제 (innovator) 에 비해 보다 간소화된 과정을 통해 약제를 개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더 낮은 비용으로 약제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치료에 대한 환자 개개인의 부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여주어 효율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f>Sharma A et al. Biosimilars in ophthalmology : 'Is there a big change on the horizon?'. ''Clin Ophthalmol''. 2018 Oct 24;12:2137-2143. [https://pubmed.ncbi.nlm.nih.gov/30498330/ 연결]</ref><ref>양장미 등, DME에서 anti-VEGF 치료의 재정 영향 분석, ''한안지'' 2019;60(7):667-67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773 연결]</ref><ref>Yanagi Y et al.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Ranibizumab Biosimilar for nAMD in Japan. ''Ophthalmol Ther''. 2023 Aug;12(4):2005-2021. [https://pubmed.ncbi.nlm.nih.gov/37171557/ 연결]</ref><ref>Kvien TK et al. The cost savings of biosimilars can help increase patient access and lift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 care systems. ''Semin Arthritis Rheum''. 2022 Feb;52:151939. [https://pubmed.ncbi.nlm.nih.gov/35027243/ 연결]</ref>. 더 나아가 복제약의 도입은 치료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는 부분에 있어서 추가적인 긍정 요소를 가지고 있다<ref>Bressler NM et al. Biosimilars of anti-VEGF for ophthalmic disease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24 Jul-Aug;69(4):521-538. [https://pubmed.ncbi.nlm.nih.gov/38521423/ 연결]</ref>. | ||
{{참고}} |
2025년 7월 23일 (수) 06:22 기준 최신판
복제약 (biosmililar) 은 원 (original) 약제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와 안전성에서 동등성을 보이는 의약품이다.
장점
일반적으로 원 약제 (innovator) 에 비해 보다 간소화된 과정을 통해 약제를 개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더 낮은 비용으로 약제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치료에 대한 환자 개개인의 부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여주어 효율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1][2][3][4]. 더 나아가 복제약의 도입은 치료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는 부분에 있어서 추가적인 긍정 요소를 가지고 있다[5].
참고
- ↑ Sharma A et al. Biosimilars in ophthalmology : 'Is there a big change on the horizon?'. Clin Ophthalmol. 2018 Oct 24;12:2137-2143. 연결
- ↑ 양장미 등, DME에서 anti-VEGF 치료의 재정 영향 분석, 한안지 2019;60(7):667-675 연결
- ↑ Yanagi Y et al.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Ranibizumab Biosimilar for nAMD in Japan. Ophthalmol Ther. 2023 Aug;12(4):2005-2021. 연결
- ↑ Kvien TK et al. The cost savings of biosimilars can help increase patient access and lift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 care systems. Semin Arthritis Rheum. 2022 Feb;52:151939. 연결
- ↑ Bressler NM et al. Biosimilars of anti-VEGF for ophthalmic disease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24 Jul-Aug;69(4):521-53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