뮐러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뮐러근 (Muller's muscle)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위눈꺼풀 올림근 밑에서 기시하여 올림근과 결막 사이를 지나 위눈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뮐러근 ( | '''뮐러근 (Müller's muscle)'''{{성형안과}}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윗눈꺼풀 올림근]] 밑에서 기시하여 올림근과 결막 사이를 지나 위눈꺼풀판의 위 경계에 부착되는 평활 근육이다. <span style='color:blue;'>[[윗눈꺼풀 올림근]]과는 느슨하게 유착되어 잘 분리되지만 결막과는 단단하게 유착</span>되어 있다. | ||
{{외부사진 | |||
|주소=https://i.pinimg.com/originals/80/87/89/8087893492d0824e18eeebc6593ad3da.png | |||
|세로=250 | |||
|제목=뮐러근 (Muller's muscle) | |||
|출처=Pinterest | |||
|링크=https://www.pinterest.co.kr/pin/793618765572553020/ | |||
}} | |||
== 기능 == | == 기능 == | ||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위눈꺼풀을 약 2mm 정도 올려준다. 따라서 교감 신경의 지배 이상인 [[호르너 증후군]]에서 경도의 눈꺼풀 처짐이 발생한다. 갑상샘 눈병증에서는 뮐러근에 염증과 반흔, 수축이 일어나 [[눈꺼풀 뒤당김]]이 발생한다. 교정을 위해서는 위눈꺼풀 올림근의 후전과 뮐러근의 제거가 필요하다. |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위눈꺼풀을 약 2mm 정도 올려준다. 따라서 교감 신경의 지배 이상인 [[호르너 증후군]]에서 경도의 눈꺼풀 처짐이 발생한다. 갑상샘 눈병증에서는 뮐러근에 염증과 반흔, 수축이 일어나 [[눈꺼풀 뒤당김]]이 발생한다. 교정을 위해서는 위눈꺼풀 올림근의 후전과 뮐러근의 제거가 필요하다. | ||
{{참고}} |
2023년 5월 28일 (일) 15:50 기준 최신판
뮐러근 (Müller's muscle)[1]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윗눈꺼풀 올림근 밑에서 기시하여 올림근과 결막 사이를 지나 위눈꺼풀판의 위 경계에 부착되는 평활 근육이다. 윗눈꺼풀 올림근과는 느슨하게 유착되어 잘 분리되지만 결막과는 단단하게 유착되어 있다.
기능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위눈꺼풀을 약 2mm 정도 올려준다. 따라서 교감 신경의 지배 이상인 호르너 증후군에서 경도의 눈꺼풀 처짐이 발생한다. 갑상샘 눈병증에서는 뮐러근에 염증과 반흔, 수축이 일어나 눈꺼풀 뒤당김이 발생한다. 교정을 위해서는 위눈꺼풀 올림근의 후전과 뮐러근의 제거가 필요하다.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