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포스포네이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는 전세계의 골다공증 환자에게 널리 처방되고 있는 약이다. == 기전 ==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서 골흡수를 감소시켜 골절 예방 효과를 보인다<ref>Russell RG et al. Mechanisms of action of bisphosphonates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ir potential influence on clinical efficacy. ''Osteoporos Int''. 2008 Jun;19(6):733-59. [https://pubmed.ncbi.nlm.nih.gov/18214569/ 연...)
 
잔글 (→‎장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순응도 ==
== 순응도 ==
3년에서 10년 이상까지 장기적인 사용을 해야하는 약이지만<ref>Diab DL et al. Bisphosphonate drug holiday : who, when and how long. ''Ther Adv Musculoskelet Dis''. 2013 Jun;5(3):107-11. [https://pubmed.ncbi.nlm.nih.gov/23858334/ 연결]</ref>, 6개월간 지속적인 약 복용 비율은 34.8~71.3% 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 원인으로 부작용에 의한 것이 큰 비율로 차지한다<ref>Fatoye F et al. Real-world persistence and adherence w oral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 a systematic review. ''BMJ Open''. 2019 Apr 14;9(4):e027049. [https://pubmed.ncbi.nlm.nih.gov/30987990/ 연결]</ref>.
3년에서 10년 이상까지 장기적인 사용을 해야하는 약이지만<ref>Diab DL et al. Bisphosphonate drug holiday : who, when and how long. ''Ther Adv Musculoskelet Dis''. 2013 Jun;5(3):107-11. [https://pubmed.ncbi.nlm.nih.gov/23858334/ 연결]</ref>, 6개월간 지속적인 약 복용 비율은 34.8~71.3% 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 원인으로 부작용에 의한 것이 큰 비율로 차지한다<ref>Fatoye F et al. Real-world persistence and adherence w oral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 a systematic review. ''BMJ Open''. 2019 Apr 14;9(4):e027049. [https://pubmed.ncbi.nlm.nih.gov/30987990/ 연결]</ref>.
== 부작용 ==
=== 단기 ===
* 근육통
* 저칼슘혈증
* 위장관 장애
* 안구 염증 : 경구 또는 주사제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은 IL-6,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일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활성화하여 안구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ref>Diel IJ et al. Adverse effects of bisphosphonates : current issues. ''J Support Oncol''. 2007 Nov-Dec;5(10):475-82. [https://pubmed.ncbi.nlm.nih.gov/18240669/ 연결]</ref>, 해외에서는 안구 염증과 관련하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경구 또는 주사제로 사용 후 결막염, 공막염, 포도막염의 안구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ref>Gendelman O et al. Bisphosphonates Related Ocular Side Effects : A Case Series and Review of Literature. ''Ocul Immunol Inflamm''. 2022 Oct-Nov;30(7-8):1995-1999. [https://pubmed.ncbi.nlm.nih.gov/34014797/ 연결]</ref><ref>Gómez Escobar LG et al. Possible ocular adverse
effects attributable to bisphosphonate therapy : 2 case reports. ''Rev Colomb Reumatol''. 2017;24:54-9.</ref>.
=== 장기<ref>McClung M et al. Bisphosphonate therapy for osteoporosis : benefits, risks, and drug holiday. ''Am J Med''. 2013 Jan;126(1):13-20. [https://pubmed.ncbi.nlm.nih.gov/23177553/ 연결]</ref> ===
* 비정형 대퇴부 골절 : 골재건의 과억제로 인함
* 악골 괴사
* 심방 세동
* 식도암
{{참고}}

2025년 7월 23일 (수) 09:00 기준 최신판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는 전세계의 골다공증 환자에게 널리 처방되고 있는 약이다.

기전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서 골흡수를 감소시켜 골절 예방 효과를 보인다[1].

순응도

3년에서 10년 이상까지 장기적인 사용을 해야하는 약이지만[2], 6개월간 지속적인 약 복용 비율은 34.8~71.3% 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 원인으로 부작용에 의한 것이 큰 비율로 차지한다[3].

부작용

단기

  • 근육통
  • 저칼슘혈증
  • 위장관 장애
  • 안구 염증 : 경구 또는 주사제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은 IL-6,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일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활성화하여 안구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4], 해외에서는 안구 염증과 관련하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경구 또는 주사제로 사용 후 결막염, 공막염, 포도막염의 안구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5][6].

장기[7]

  • 비정형 대퇴부 골절 : 골재건의 과억제로 인함
  • 악골 괴사
  • 심방 세동
  • 식도암

참고

  1. Russell RG et al. Mechanisms of action of bisphosphonates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ir potential influence on clinical efficacy. Osteoporos Int. 2008 Jun;19(6):733-59. 연결
  2. Diab DL et al. Bisphosphonate drug holiday : who, when and how long. Ther Adv Musculoskelet Dis. 2013 Jun;5(3):107-11. 연결
  3. Fatoye F et al. Real-world persistence and adherence w oral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 a systematic review. BMJ Open. 2019 Apr 14;9(4):e027049. 연결
  4. Diel IJ et al. Adverse effects of bisphosphonates : current issues. J Support Oncol. 2007 Nov-Dec;5(10):475-82. 연결
  5. Gendelman O et al. Bisphosphonates Related Ocular Side Effects : A Case Series and Review of Literature. Ocul Immunol Inflamm. 2022 Oct-Nov;30(7-8):1995-1999. 연결
  6. Gómez Escobar LG et al. Possible ocular adverse effects attributable to bisphosphonate therapy : 2 case reports. Rev Colomb Reumatol. 2017;24:54-9.
  7. McClung M et al. Bisphosphonate therapy for osteoporosis : benefits, risks, and drug holiday. Am J Med. 2013 Jan;126(1):13-2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