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거대세포 동맥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거대세포 동맥염 (giant cell arteritis; GCA) 은 중간 크기 이상의 큰 혈관을 침범하는 전신 혈관염이다. == 역학 == 평균 나이는 70대이며, 나이가...
 
잔글 역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거대세포 동맥염 (giant cell arteritis; GCA) 은 중간 크기 이상의 큰 혈관을 침범하는 전신 혈관염이다.
'''거대세포 동맥염 (giant cell arteritis; GCA)'''{{신경안과}} 측두 동맥, 후두 동맥 등 중간 크기 이상의 큰 표재성 뇌혈관을 침범하는 만성 육아종성 염증으로, 측두 동맥염 (temporal arteritis) 이라고 하기도 한다.
== 역학 ==
== 역학 ==
평균 나이는 70대이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유병률이 증가한다.
주로 50세 이상, 70~80세의 백인 여성에서 호발하며 대부분 편측성이지만 조기에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30% 이상에서 양측으로 진행하고 영구적인 시력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ref>Hayreh SS et al. Occult GCA : ocular manifestations. AJO. 1998 Apr;125(4):521-6. [https://pubmed.ncbi.nlm.nih.gov/9559738/ 연결]</ref>.
 
== 원인 ==
== 원인 ==
원인은 불명이다.
원인은 불명이다.
8번째 줄: 9번째 줄: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다음 5개 중 3개 이상이면 민감도 93.5%, 특이도 91.2%로 진단이 가능하다.
다음 5개 중 3개 이상이면 민감도 93.5%, 특이도 91.2%로 진단이 가능하다.
:- 50세 이상
* 50세 이상
:- 새로 발생한 두통
* 새로 발생한 두통
:- 측두동맥 압통 또는 박동 감소
* 측두동맥 압통 또는 박동 감소
:- ESR 증가
* ESR 증가
:- 측두동맥 생검 양성
* 측두동맥 생검 양성 : 생검 조직의 양이 불충분하거나 단안 침범인 경우 등위 음성이 나올 수 있어 임상적 증상과 연관시켜 진단에 사용해야 한다. 특징적으로 동맥벽의 림프구, 대식세포 그리고 거대세포에 의한 혈관벽의 염증을 조직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Rahman W et al. GCA : an overview and update. Surv Ophthalmol. 2005 Sep-Oct;50(5):415-28. [https://pubmed.ncbi.nlm.nih.gov/16139037/ 연결]</ref>.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전신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로 전체 투여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측두동맥 생검을 해야 한다.
* 전신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로 전체 투여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측두동맥 생검을 해야 한다.
* 스테로이드 용량을 줄이기 위해 methotrexate, infliximab, etanercept가 시도되고 있다.
* 스테로이드 용량을 줄이기 위해 methotrexate, infliximab, etanercept가 시도되고 있다.
* aspirin : 뇌졸중과 시력 소실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 aspirin : 뇌졸중과 시력 소실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