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각 후퇴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 == 역학 == 비교적 외상 후기에 발생하며, 외상 수년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 병태 생리 == 섬유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 | <b>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b> | ||
== 역학 == | == 역학 == | ||
비교적 외상 후기에 발생하며, 외상 수년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 비교적 외상 후기에 발생하며, 외상 수년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여과 수술 및 방수 유출 장치 수술 등이 있지만, 우너발 개방각 녹내장에 비해 실패율이 높다. | 여과 수술 및 방수 유출 장치 수술 등이 있지만, 우너발 개방각 녹내장에 비해 실패율이 높다. | ||
{{참고|녹내장}} |
2020년 6월 16일 (화) 14:48 기준 최신판
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
역학
비교적 외상 후기에 발생하며, 외상 수년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병태 생리
섬유주 파열이나 섬모체 해리 부위가 폐쇄되면서 안압이 올라간다고 할 수 있다. 섬유주 파열은 쉬발베선 뒤에서 섬유주가 매달려 늘어져 있는 모양으로 보이며 치유될 때 주변 홍채앞 유착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임상 소견
대부분의 환자는 한쪽 눈의 안압 상승과 방수 유출률의 감소 소견을 보인다. 전방각경 검사에서 섬모체 띠의 폭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데, 전방각 후퇴가 매우 경미한 경우에는 양안 비교나 단안 중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야 한다. 전방각 후퇴가 있다는 다른 증거는 홍채 돌기가 없어지거나 찢어진 것, 홍채 뿌리가 뒷쪽에 붙어있는 것, 반대쪽 눈보다 전방이 깊은 것, 공막 돌기의 폭이 넓어졌거나 잘 보이는 것 등이다. 만약에 전방각 후퇴가 1/2 이상이면 녹내장 발생이 많아진다. 그러나 1/12 정도의 전방각 후퇴에서도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전방각 후퇴는 녹내장의 원인이 아니라 다만 외상이 있었다는 흔적이다. 외상 후 안압 상승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으로 발전 가능성이 많은 환자에서 잘 나타난다. 많은 경우에서 외상이 없었던 눈에도 안압 상승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외상이 없었던 정상안의 국소 스테로이드 반응이 녹내장안의 경우와 비슷하다고 한다.
조직병리
외상 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가 각질의 막으로 덮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녹내장의 원인인지는 확실치 않다.
검사 및 진단
- 과거력 : 외상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방각 후퇴가 있는 녹내장의 경우 외상에 관한 질문이 꼭 필요하다.
비수술적 치료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포함한 약물 치료를 해볼 수 있고, 축동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타박상으로 인한 녹내장 환자의 반대쪽 눈도 안압 상승 유무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시술 및 레이저 치료
실패할 확률이 높지만 여과 수술 전에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등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
수술적 치료
여과 수술 및 방수 유출 장치 수술 등이 있지만, 우너발 개방각 녹내장에 비해 실패율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