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출혈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급성 출혈 결막염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AHC)</b> == 원인 == RNA 바이러스인 <span style='color:blue;'><i>picornavirus</i></span>가 가장 흔한 원인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증상 == | == 증상 == | ||
갑작스런 통증, 이물감, 결막 충혈, 결막하 출혈, 눈꺼풀 부종이 나타나고 1~2일 내로 반대편 눈도 이환된다. | 갑작스런 통증, 이물감, 결막 충혈, 결막하 출혈, 눈꺼풀 부종이 나타나고 1~2일 내로 반대편 눈도 이환된다. | ||
{{외부 사진 | |||
|주소=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b/Acute_hemorrhagic_conjunctivitis.jpg | |||
|세로=150 | |||
|제목=급성 출혈 결막염 | |||
|출처=위키백과 | |||
|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Acute_hemorrhagic_conjunctivitis.jpg | |||
}}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i>adenovirus</i> 감염보다 각막 침범이 드물고, 짧은 잠복기와 빠른 진행, 빠른 관해가 특징이다. | <i>adenovirus</i> 감염보다 각막 침범이 드물고, 짧은 잠복기와 빠른 진행, 빠른 관해가 특징이다. |
2020년 5월 12일 (화) 01:47 기준 최신판
급성 출혈 결막염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AHC)
원인
RNA 바이러스인 picornavirus가 가장 흔한 원인으로, enterovirus 70형과 coxsackievirus 24형이 있다.
증상
갑작스런 통증, 이물감, 결막 충혈, 결막하 출혈, 눈꺼풀 부종이 나타나고 1~2일 내로 반대편 눈도 이환된다. 틀:외부 사진
임상 소견
adenovirus 감염보다 각막 침범이 드물고, 짧은 잠복기와 빠른 진행, 빠른 관해가 특징이다.
검사 및 진단
진단은 임상적으로 가능하나, 확진을 위해서는 배양과 PCR을 시행한다.
비수술적 치료
특별한 치료 없이도 치유되고, 증상 완화를 위해 냉찜질, 인공 눈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염 방지에 신경써야 한다. 점안 스테로이드는 각막 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