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겔 색각경: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b>나겔 색각검사경 (Nagel's anomaloscope)</b> 은 적색광과 녹색광을 적당히 혼합하면 색채와 명도에 있어서 표준 황색광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나겔 색각검사경 (Nagel's anomaloscope)</b> 은 적색광과 녹색광을 적당히 혼합하면 색채와 명도에 있어서 표준 황색광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선별 검사가 아니며 색각 이상의 유형과 정도를 확진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나겔 색각경 (Nagel's anomaloscope)''' 은 적색광과 녹색광을 적당히 혼합하면 색채와 명도에 있어서 표준 황색광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선별 검사가 아니며 색각 이상의 유형과 정도를 확진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 적응증 ==
== 적응증 ==
* 선천성 색각 이상 중 제1 이상인지 제2 이상인지의 판정
* [[선천 색각 이상]] 중 제1 이상인지 제2 이상인지의 판정
* 2색형 및 3색형 색각 인지 이상의 정도 판정이 필요한 경우
* 2색형 및 3색형 색각 인지 이상의 정도 판정이 필요한 경우
* 거짓 동색표 등의 다른 색각 검사로 색각 이상의 유무가 확실치 않은 경우
* 거짓 동색표 등의 다른 색각 검사로 색각 이상의 유무가 확실치 않은 경우
== 금기 ==
== 금기 ==
* 후천성 색각 이상
* [[후천 색각 이상]]
* 제3 색각 이상 (청황)
* 제3 색각 이상 (청황)
== 과정 또는 용법 ==
== 과정 또는 용법 ==
* 자연광 아래에서 색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두 눈을 따로 검사한다.
# 자연광 아래에서 색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두 눈을 따로 검사한다.
# 환자가 접안경을 보게 하고 환자의 시축과 기구의 광축을 일치시켜 상하 반원으로 구성된 원 모양의 검사 시야가 보이는지 확인한다. 아래쪽 반원색광은 황색으로 단색 나사를 회전시키면 명암이 변화한다. 단색 나사 눈금이 0이면 어두워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며 눈금을 올리면 점차 밝아진다. 위쪽 반원색광은 혼색 나사를 회전시키면 눈금이 0인 경우에는 녹색, 73은 적색이며 그 사이는 눈금에 따라서 2색이 혼합된 색이 나타난다.
# 다른 눈을 가리고 색 적응 (color adaptation) 을 피하기 위해 5~10초간만 명순응판을 보게 하여 명순응 시킨다.
# 검사자가 혼색 나사를 돌려 혼색 눈금치를 0에서 10 단위씩 올려가며 조정해놓고 환자로 하여금 단색 나사를 돌려 상하 시야의 색과 명도가 같게 되는 단색 눈금치를 찾게 한다. 환자가 같다고 느끼는 곳을 찾으면 그곳의 단색 눈금치를 기록하며, 이 때의 혼합 눈금치와 단색 눈금치가 균등점이라고 한다. 같아지는 곳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찾지 못하는 것으로 기록한다.
# 혼색 나사를 10 단위씩 올려가며 위의 검사를 반복한다. 오래 보면 균등 범위가 확대되므로, 1회의 제시 시간은 3초 이내로 하고, 그때마다 명순응판을 5초 이상 보게 하여 명순응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은 경과가 절대 균등으로 보통의 진단에 이용한다. 색각 이상자의 경우도 우선 정상 균등 범위 부근에서 원형 시야를 보게 하여 그 반응에 따라서 혼색 나사와 단색 나사를 조절하여 균등 범위를 구한다.
{{참고}}

2022년 9월 6일 (화) 05:21 기준 최신판

나겔 색각경 (Nagel's anomaloscope) 은 적색광과 녹색광을 적당히 혼합하면 색채와 명도에 있어서 표준 황색광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선별 검사가 아니며 색각 이상의 유형과 정도를 확진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적응증

  • 선천 색각 이상 중 제1 이상인지 제2 이상인지의 판정
  • 2색형 및 3색형 색각 인지 이상의 정도 판정이 필요한 경우
  • 거짓 동색표 등의 다른 색각 검사로 색각 이상의 유무가 확실치 않은 경우

금기

과정 또는 용법

  1. 자연광 아래에서 색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두 눈을 따로 검사한다.
  2. 환자가 접안경을 보게 하고 환자의 시축과 기구의 광축을 일치시켜 상하 반원으로 구성된 원 모양의 검사 시야가 보이는지 확인한다. 아래쪽 반원색광은 황색으로 단색 나사를 회전시키면 명암이 변화한다. 단색 나사 눈금이 0이면 어두워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며 눈금을 올리면 점차 밝아진다. 위쪽 반원색광은 혼색 나사를 회전시키면 눈금이 0인 경우에는 녹색, 73은 적색이며 그 사이는 눈금에 따라서 2색이 혼합된 색이 나타난다.
  3. 다른 눈을 가리고 색 적응 (color adaptation) 을 피하기 위해 5~10초간만 명순응판을 보게 하여 명순응 시킨다.
  4. 검사자가 혼색 나사를 돌려 혼색 눈금치를 0에서 10 단위씩 올려가며 조정해놓고 환자로 하여금 단색 나사를 돌려 상하 시야의 색과 명도가 같게 되는 단색 눈금치를 찾게 한다. 환자가 같다고 느끼는 곳을 찾으면 그곳의 단색 눈금치를 기록하며, 이 때의 혼합 눈금치와 단색 눈금치가 균등점이라고 한다. 같아지는 곳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찾지 못하는 것으로 기록한다.
  5. 혼색 나사를 10 단위씩 올려가며 위의 검사를 반복한다. 오래 보면 균등 범위가 확대되므로, 1회의 제시 시간은 3초 이내로 하고, 그때마다 명순응판을 5초 이상 보게 하여 명순응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은 경과가 절대 균등으로 보통의 진단에 이용한다. 색각 이상자의 경우도 우선 정상 균등 범위 부근에서 원형 시야를 보게 하여 그 반응에 따라서 혼색 나사와 단색 나사를 조절하여 균등 범위를 구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