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주위 마취: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눈주위 마취 (peribulbar anesthesia)</b> 에서 국소 마취제는 안와 내에 주입되지만, 근원추 밖에 위치한다. == 장점 == 구후 마취에 비해 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눈주위 마취 (peribulbar anesthesia, PBA)'''{{백내장}} 는 근원뿔 바깥에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는 것이다. | |||
{{외부사진 | |||
|1=https://media.sciencephoto.com/image/c0214585/800wm | |||
|2=눈주위 마취 | |||
|3=Science Photo Library | |||
}} | |||
== 장점 == | == 장점 == | ||
[[ | [[눈뒤 마취]]에 비해 심각한 합병증은 적다. | ||
== 단점 == | == 단점 == | ||
* 안구 무운동이 유도되는 시간은 [[ | * 안구 무운동이 유도되는 시간은 [[눈뒤 마취]]에 비해 느리다. | ||
* 많은 양의 마취제가 | * 많은 양의 마취제가 필요하여 주입 후 안와 내 압력이 크게 상승한다. | ||
* 눈주위 출혈과 결막 부종이 발생하기 쉽다. | |||
* 눈주위 출혈과 결막 | |||
== 과정 또는 용법 == | == 과정 또는 용법 == | ||
# 환자의 정면 주시 및 주사바늘의 삽입 위치 등은 [[눈뒤 마취]]와 동일하다. 안와의 하이측과 비측 두 군데에 주로 주입한다. 상비측은 혈관이 많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 |||
# 주사바늘 또한 동일하게 27G의 뾰족한 것을 사용하는 데,길이는 25mm 짜리를 사용한다. 이때 바늘의 경사면은 안와벽을 향하도록 하고 수평면에 대해서는 안구와 평행하게 진행한다. 안와의 하벽에 닿지 않게 수직면에 10˚ 각도를 기울이는 것은 [[눈뒤 마취]]와 동일하다. 이 방법 역시 피부 또는 결막을 통과해서 할 수 있다. | |||
# [[안와]]의 하이측과 비측 두 군데에 흡입 테스트한 후 각각 5ml씩 마취제를 주사한다. | |||
# 바늘을 제거한 후 적당한 압박을 가해 출혈을 막고 마취제의 확산을 돕는다. | |||
{{참고}} |
2022년 10월 10일 (월) 23:47 기준 최신판
눈주위 마취 (peribulbar anesthesia, PBA)[1] 는 근원뿔 바깥에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는 것이다.
장점
눈뒤 마취에 비해 심각한 합병증은 적다.
단점
- 안구 무운동이 유도되는 시간은 눈뒤 마취에 비해 느리다.
- 많은 양의 마취제가 필요하여 주입 후 안와 내 압력이 크게 상승한다.
- 눈주위 출혈과 결막 부종이 발생하기 쉽다.
과정 또는 용법
- 환자의 정면 주시 및 주사바늘의 삽입 위치 등은 눈뒤 마취와 동일하다. 안와의 하이측과 비측 두 군데에 주로 주입한다. 상비측은 혈관이 많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 주사바늘 또한 동일하게 27G의 뾰족한 것을 사용하는 데,길이는 25mm 짜리를 사용한다. 이때 바늘의 경사면은 안와벽을 향하도록 하고 수평면에 대해서는 안구와 평행하게 진행한다. 안와의 하벽에 닿지 않게 수직면에 10˚ 각도를 기울이는 것은 눈뒤 마취와 동일하다. 이 방법 역시 피부 또는 결막을 통과해서 할 수 있다.
- 안와의 하이측과 비측 두 군데에 흡입 테스트한 후 각각 5ml씩 마취제를 주사한다.
- 바늘을 제거한 후 적당한 압박을 가해 출혈을 막고 마취제의 확산을 돕는다.
참고
- ↑ 백내장 4판, 2022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