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력 분리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수력 분리술 (hydrodissection)</b> 은 수정체 외핵과 피질을 한꺼번에 수정체 낭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술기이다.
<b>수력 분리술 (hydrodissection)</b> 은 수정체 외핵과 피질을 한꺼번에 수정체 낭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술기이다.
{{https://morancore.utah.edu/wp-content/uploads/2018/08/hydrodissection-1.png?200x50}}
<center>
{|
|<img src="https://morancore.utah.edu/wp-content/uploads/2018/08/hydrodissection-1.png" width="375px">
|-
|<center><small>출처 : MORAN CORE ([http://morancore.utah.edu/section-14-ophthalmic-surgery/hydrodissection-and-hydrodelineation/ 링크])</small></center>
|}
</center>
== 방법 ==
== 방법 ==
# 수력 분리술은 5~5.5mm 크기의 전낭 절개가 시행되었을 때 가장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26G의 뭉툭한 cannula를 이용하여 전낭을 피질로부터 분리시키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정체 적도부까지 진입시킨다. 만약 전낭을 충분히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수액을 주입하기 시작하면, 수액이 피질층에 스며들게 되고, 피질층 내부의 저항이 가장 적은 쪽으로 수액이 파고들게 되어 수정체 낭으로부터 피질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 수력 분리술은 5~5.5mm 크기의 전낭 절개가 시행되었을 때 가장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26G의 뭉툭한 cannula를 이용하여 전낭을 피질로부터 분리시키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정체 적도부까지 진입시킨다. 만약 전낭을 충분히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수액을 주입하기 시작하면, 수액이 피질층에 스며들게 되고, 피질층 내부의 저항이 가장 적은 쪽으로 수액이 파고들게 되어 수정체 낭으로부터 피질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2020년 4월 27일 (월) 14:49 기준 최신판

수력 분리술 (hydrodissection) 은 수정체 외핵과 피질을 한꺼번에 수정체 낭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술기이다.

<img src="hydrodissection-1.png" width="375px">
출처 : MORAN CORE (링크)

방법

  1. 수력 분리술은 5~5.5mm 크기의 전낭 절개가 시행되었을 때 가장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26G의 뭉툭한 cannula를 이용하여 전낭을 피질로부터 분리시키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정체 적도부까지 진입시킨다. 만약 전낭을 충분히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수액을 주입하기 시작하면, 수액이 피질층에 스며들게 되고, 피질층 내부의 저항이 가장 적은 쪽으로 수액이 파고들게 되어 수정체 낭으로부터 피질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2. cannula가 적절한 위치까지 진입하고, 전낭을 들어올린 상태라면 부드럽고, 연속적인 수액 주입을 통해 수정체 낭으로부터 피질이 분리되면서, 수액이 주변부로 퍼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3. 수액이 수정체 뒤쪽으로 가면서 적도부의 피질-낭 연결 부위에 걸리게 되면 수정체 전체가 약간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일시적인 낭폐쇄 증후군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4. 만약 수액의 주입을 지속한다면 수정체가 전낭 절개 부위로 돌출될 수 있지만, 그 전에 주입을 멈추고 수정체의 중심부를 눌러주면, 뒤쪽에 고여 있던 수액이 수정체 적도부를 통하여 앞으로 수정체를 둘러싸는 양상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앞쪽의 수정체 낭과 피질이 분리되면서 낭내에서 수정체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정체 뒷부분에 정체된 수액을 제거할 수 있다.
  5. 수력 분리술이 잘 안 되는 경우, 시작한 곳의 반대쪽에서 같은 술기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정체 핵-피질 복합체가 수정체 낭에서 분리되어 잘 돌아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장점

수정체 낭으로부터 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후낭 파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부작용 및 합병증

거짓 비늘 증후군이나 축성 근시와 같이 섬모체 소대가 약한 사람들은 위험성이 커진다. 이런 경우에는 수압을 과하지 않도록 하여 수정체 낭이 과하게 부푸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brunescent cataract처럼 낭내 압력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에 과도한 수력 분리술은 핵과 전낭 절개부를 맞닿게 하여 낭 폐쇄를 유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후낭 파열이 발생하거나 핵이 유리체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수력 분리술 도중 갑자기 전방이 깊어지면서 동공이 작아지면(pupil snap sign) 이러한 후낭 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 후낭하 혼탁형 백내장처럼 후낭이 약한 경우에도 이러한 위험이 증가한다. 수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여러 군데에서 조금씩 주의하여 수력 분리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