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막 정맥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방수는 정맥계로 들어가며 이 정맥들의 압력을 <b>상공막 정맥압 (episcleral venous pressure;...)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방수는 정맥계로 들어가며 이 정맥들의 압력을 <b>상공막 정맥압 (episcleral venous pressure; EVP)</b>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상공막 정맥압은 안압에 영향을 주는 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상공막 정맥압이 1mmHg 높아짐에 따라 안압이 0.8~1mmHg 증가한다고 한다.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방수는 정맥계로 들어가며 이 정맥들의 압력을 '''상공막 정맥압 (episcleral venous pressure; EVP)'''{{녹내장}}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상공막 정맥압은 안압에 영향을 주는 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상공막 정맥압이 1 mmHg 높아짐에 따라 안압이 0.8~1mmHg 증가한다고 한다.
== 역학 ==
== 정상 범위 ==
사람에서 정상 상공막정맥압은 7~14mmHg 정도이며 대부분 9~10 mmHg라고 알려져 있고 나이에 따른 변화는 없다고 보고되었다.
사람에서 정상 EVP는 7~14 mmHg 정도이며 대부분 9~10 mmHg라고 알려져 있고 나이에 따른 변화는 없다고 보고되었다<ref>Sultan M et al. EVP in younger and older subjects in the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J Glaucoma''. 2003 Aug;12(4):370-3. [https://pubmed.ncbi.nlm.nih.gov/12897584 연결]</ref>.
== 상공맥 정맥압과 녹내장의 관계 ==
 
상공맥 정맥압의 상승에 의한 이차 녹내장을 제외한 다른 녹내장에서 상공맥 정맥압의 변화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되는 의견들이 있다. 일부 보고서에서는 정상안과 녹내장안에서 상공맥 정맥압이 비슷하다고 하였고, 다른 보고들은 정상안보다 녹내장 환자와 [[고안압증]]에서 더 낮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에서도 상공맥 정맥압의 차이가 작고,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보고에서도 그 차이는 2 mmHg 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공맥 정맥압이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발생의 한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녹내장의 관계 ==
EVP 상승에 의한 이차 녹내장을 제외한 다른 녹내장에서 EVP의 변화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되는 의견들이 있다. 일부 보고서에서는 정상안과 녹내장안에서 EVP가 비슷하다고 하였고, 다른 보고들은 정상안보다 녹내장 환자와 [[고안압증]]에서 더 낮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에서도 상공맥 정맥압의 차이가 작고,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보고에서도 그 차이는 2 mmHg 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공맥 정맥압이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발생의 한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측정 ==
== 측정 ==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혈관을 부분적으로 찌그러뜨려 혈류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압력을 잰다. 압력 방법(pressure chamber method)은 공기 또는 식염수로 채워진 압평부의 끝을 얇은 막으로 덮은 기구를 이용한다. 이런 장치들은 보통 세극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접촉된 혈관에 원하는 변화가 생길 때까지 방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비슷한 원리로 투명한 플라스틱 압평 장치에 연결된 torsion balance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그 외에도 공기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압착시키는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혈관을 부분적으로 찌그러뜨려 혈류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압력을 잰다. 압력 방법 (pressure chamber method) 은 공기 또는 식염수로 채워진 압평부의 끝을 얇은 막으로 덮은 기구를 이용한다. 이런 장치들은 보통 세극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접촉된 혈관에 원하는 변화가 생길 때까지 방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비슷한 원리로 투명한 플라스틱 압평 장치에 연결된 torsion balance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그 외에도 공기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압착시키는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ref>Zeimer RC et al. A practical venomanometer. Measurement of EVP and assessment of the normal range. ''Arch Ophthalmol''. 1983 Sep;101(9):1447-9. [https://pubmed.ncbi.nlm.nih.gov/6615314/ 연결]</ref>.
{{참고}}

2022년 4월 25일 (월) 03:36 기준 최신판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방수는 정맥계로 들어가며 이 정맥들의 압력을 상공막 정맥압 (episcleral venous pressure; EVP)[1]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상공막 정맥압은 안압에 영향을 주는 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상공막 정맥압이 1 mmHg 높아짐에 따라 안압이 0.8~1mmHg 증가한다고 한다.

정상 범위

사람에서 정상 EVP는 7~14 mmHg 정도이며 대부분 9~10 mmHg라고 알려져 있고 나이에 따른 변화는 없다고 보고되었다[2].

녹내장의 관계

EVP 상승에 의한 이차 녹내장을 제외한 다른 녹내장에서 EVP의 변화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되는 의견들이 있다. 일부 보고서에서는 정상안과 녹내장안에서 EVP가 비슷하다고 하였고, 다른 보고들은 정상안보다 녹내장 환자와 고안압증에서 더 낮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에서도 상공맥 정맥압의 차이가 작고,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보고에서도 그 차이는 2 mmHg 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공맥 정맥압이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발생의 한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측정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혈관을 부분적으로 찌그러뜨려 혈류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압력을 잰다. 압력 방법 (pressure chamber method) 은 공기 또는 식염수로 채워진 압평부의 끝을 얇은 막으로 덮은 기구를 이용한다. 이런 장치들은 보통 세극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접촉된 혈관에 원하는 변화가 생길 때까지 방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비슷한 원리로 투명한 플라스틱 압평 장치에 연결된 torsion balance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그 외에도 공기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압착시키는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3].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Sultan M et al. EVP in younger and older subjects in the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J Glaucoma. 2003 Aug;12(4):370-3. 연결
  3. Zeimer RC et al. A practical venomanometer. Measurement of EVP and assessment of the normal range. Arch Ophthalmol. 1983 Sep;101(9):1447-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