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색소상피 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망막 색소상피 박리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b> == 분류 == === 섬유혈관성 (fibrovascular) === 잠복 맥락막 신생혈관의 한 종류이다. FA 검...)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망막 색소상피 박리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b>
'''망막 색소상피 박리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망막}}
== 분류 ==
== 분류 ==
=== 섬유혈관성 (fibrovascular) ===
=== 섬유혈관성 (fibrovascular) ===
잠복 맥락막 신생혈관의 한 종류이다. FA 검사 상 초기에서 중기에 걸쳐 망막 색소상피의 표면을 따라 점상의 과형광을 보이며, 후기로 갈수록 과형광이 퍼지면서 감각 신경 망막하에 고이게 된다.
PED의 내부에 불규칙한 융기로 관찰되는 섬유혈관막이 있는 것으로 FA 초기~중기에 걸쳐 망막 색소상피의 표면을 따라 점상의 과형광을 보이며, 후기로 갈수록 과형광이 퍼져 감각신경망막하에 고이게 된다. FA에서 제1형 잠복 CNV에 동반되는 형태이다<ref>Subfoveal NV lesions in AMD. 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in the macular photocoagulation study. Macular Photocoagulation Study Group. ''Arch Ophthalmol''. 1991 Sep;109(9):1242-57. [https://pubmed.ncbi.nlm.nih.gov/1718252/ 연결]</ref>.
=== 장액성 (serous) ===
=== 장액성 (serous) ===
초기에서부터 매끈한 원형의 박리 부위 내에 균일하고 밝은 과형광이 나타나며, 후기에 과형광이 진해지지만 박리 부위 경계를 넘어가는 누출은 거의 없다. 이런 부위 안에 전형 또는 잠복 맥락막 신생혈관이 존재하는지 확인이 힘든 경우가 많다.
OCT에서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PED 내부에 균질한 저반사 음영을 보이며, FA에서도 초기부터 매끈한 원형의 박리 부위 내에 균일하고 밝은 과형광이 나타나 후기에 과형광이 진해지지만 박리 부위 경계를 넘어가는 누출은 거의 없다<ref>Hyman LG et al. Senile macular degeneration : a case-control study. ''Am J Epidemiol''. 1983 Aug;118(2):213-27. [https://pubmed.ncbi.nlm.nih.gov/6881127/ 연결]</ref>. 안저에서 망막하 출혈, 삼출물이 관찰되거나 OCT에서 절흔 증후 (notch sign) 를 보이거나 감각망막 박리를 동반한 경우, 초기부터 박리 부위 내에 더 진한 과형광이 관찰되면 이 부위에 신생혈관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출혈성 (hemorrhagic) ===
=== 출혈성 (hemorrhagic) ===
박리 부위 안에 출혈이 관찰되어 맥락막 형광을 차단하며, 혈관 신생이 동반된 경우이다. 간혹 맥락막 흑색종으로 오인될 수 있으나 보통 맥락막 흑색종의 특징적인 소견인 초음파상 낮은 내측 반향이 관찰되지 않는다.
박리 부위 안에 출혈이 동반되어 맥락막 형광을 차단하며, 혈관 신생이 동반된 경우이다. 간혹 [[맥락막 흑색종]]으로 오인될 수 있으나 보통 맥락막 흑색종의 특징적인 소견인 초음파상 낮은 내측 반향이 관찰되지 않는다.
=== 드루젠과 연관된 (drusenoid) ===
=== 드루젠과 연관된 (drusenoid) ===
많은 양의 연성 드루젠이 합쳐져서 생기며, 서양인에 흔하다. 장액성과는 달리FA에서 약한 과형광을 보이며 후기에서 밝은 과형광으로 진행하지는 않는다. 또한 그 모양이 작고 낮으며 경계가 들쑥날쑥한 경향이 있다.
드루젠이 있는 경우에 나타나므로 서양인에서 흔하다<ref>Bird AC et al. Retinal PEDs in the elderly. ''Trans Ophthalmol Soc U K''. 1986;105 (Pt 6):674-82. [https://pubmed.ncbi.nlm.nih.gov/3310342/ 연결]</ref>. OCT에서 주로 황반부에 노란색 또는 흰색의 경계가 명확한 PED로 나타나며, 그 모양이 작고 낮으며 경계가 들쑥날쑥한 경향이 있다. FA에서 약한 과형광을 보이며 후기에서 밝은 과형광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참고}}

2021년 10월 10일 (일) 16:00 기준 최신판

망막 색소상피 박리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1]

분류

섬유혈관성 (fibrovascular)

PED의 내부에 불규칙한 융기로 관찰되는 섬유혈관막이 있는 것으로 FA 초기~중기에 걸쳐 망막 색소상피의 표면을 따라 점상의 과형광을 보이며, 후기로 갈수록 과형광이 퍼져 감각신경망막하에 고이게 된다. FA에서 제1형 잠복 CNV에 동반되는 형태이다[2].

장액성 (serous)

OCT에서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PED 내부에 균질한 저반사 음영을 보이며, FA에서도 초기부터 매끈한 원형의 박리 부위 내에 균일하고 밝은 과형광이 나타나 후기에 과형광이 진해지지만 박리 부위 경계를 넘어가는 누출은 거의 없다[3]. 안저에서 망막하 출혈, 삼출물이 관찰되거나 OCT에서 절흔 증후 (notch sign) 를 보이거나 감각망막 박리를 동반한 경우, 초기부터 박리 부위 내에 더 진한 과형광이 관찰되면 이 부위에 신생혈관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출혈성 (hemorrhagic)

박리 부위 안에 출혈이 동반되어 맥락막 형광을 차단하며, 혈관 신생이 동반된 경우이다. 간혹 맥락막 흑색종으로 오인될 수 있으나 보통 맥락막 흑색종의 특징적인 소견인 초음파상 낮은 내측 반향이 관찰되지 않는다.

드루젠과 연관된 (drusenoid)

드루젠이 있는 경우에 나타나므로 서양인에서 흔하다[4]. OCT에서 주로 황반부에 노란색 또는 흰색의 경계가 명확한 PED로 나타나며, 그 모양이 작고 낮으며 경계가 들쑥날쑥한 경향이 있다. FA에서 약한 과형광을 보이며 후기에서 밝은 과형광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Subfoveal NV lesions in AMD. 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in the macular photocoagulation study. Macular Photocoagulation Study Group. Arch Ophthalmol. 1991 Sep;109(9):1242-57. 연결
  3. Hyman LG et al. Senile macular degeneration : a case-control study. Am J Epidemiol. 1983 Aug;118(2):213-27. 연결
  4. Bird AC et al. Retinal PEDs in the elderly. Trans Ophthalmol Soc U K. 1986;105 (Pt 6):674-8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