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박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압박성 시신경병증 (compressive optic neuropathy; CON)</b>
'''압박성 시신경병증 (compressive optic neuropathy; CON)'''{{신경안과}}
== 원인 ==
== 원인 ==
시신경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안와, 시신경관, 두개강 내 병변은 시신경 유두의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시신경 후부의 병변으로는 시신경아교종, 시신경수막종, 시신경과오종, 혈관종, 분리종, 그리고 각종 악성 종양, 시신경초의 거미막 낭종(arachnoid cyst) 등이 있다.
시신경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안와, 시신경관, 두개강 내 병변은 시신경 유두의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시신경 후부의 병변으로는 시신경아교종, 시신경수막종, 시신경과오종, 혈관종, 분리종, 그리고 각종 악성 종양, 시신경초의 거미막 낭종(arachnoid cyst) 등이 있다.
== 증상 ==
== 증상 ==
대개 앞쪽 시신경의 압박성 시신경병증일 때 시신경유두 종창과 안구 돌출을 동반한 점진적 시력 장애를 일으키지만 시력 장애 및 시야 결손은 그리 심하지 않다. 압박 병변으로 인해 눈의 움직임에 따른 시력 장애가 있을 수 있다. 가령 눈을 외전했을 때 일시적으로 시력 장애가 나타나며 동공 반응이 없어지고 망막 중심동맥의 혈류가 감소함을 관찰한 보고가 있다.
대개 앞쪽 시신경의 압박성 시신경병증일 때 시신경유두 종창과 안구 돌출을 동반한 점진적 시력 장애를 일으키지만 시력 장애 및 시야 결손은 그리 심하지 않다. 압박 병변으로 인해 눈의 움직임에 따른 시력 장애가 있을 수 있다. 가령 눈을 외전했을 때 일시적으로 시력 장애가 나타나며 동공 반응이 없어지고 망막 중심동맥의 혈류가 감소함을 관찰한 보고가 있다.
{{참고|신경안과}}
{{참고}}

2022년 7월 18일 (월) 06:30 기준 최신판

압박성 시신경병증 (compressive optic neuropathy; CON)[1]

원인

시신경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안와, 시신경관, 두개강 내 병변은 시신경 유두의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시신경 후부의 병변으로는 시신경아교종, 시신경수막종, 시신경과오종, 혈관종, 분리종, 그리고 각종 악성 종양, 시신경초의 거미막 낭종(arachnoid cyst) 등이 있다.

증상

대개 앞쪽 시신경의 압박성 시신경병증일 때 시신경유두 종창과 안구 돌출을 동반한 점진적 시력 장애를 일으키지만 시력 장애 및 시야 결손은 그리 심하지 않다. 압박 병변으로 인해 눈의 움직임에 따른 시력 장애가 있을 수 있다. 가령 눈을 외전했을 때 일시적으로 시력 장애가 나타나며 동공 반응이 없어지고 망막 중심동맥의 혈류가 감소함을 관찰한 보고가 있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