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수막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시신경 수막종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신경안과}} 은 대부분은 두개 내에서 발생하며 보통 전이가 드물고 주위 조직으로도 잘 침투하지 않는 비교적 양성 종양의 성격을 가진다. | |||
== 역학 == | == 역학 == | ||
전체 수막종의 1~2% 이다. | 전체 수막종의 1~2% 이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원발 시신경 수막종|원발 (primary) 시신경 수막종]] : 안와내 시신경막에서 발생 | * [[원발 시신경 수막종|원발 (primary) 시신경 수막종]] : 안와내 시신경막에서 발생 | ||
* [[이차 시신경 수막종|이차 (secondary) 시신경 수막종]] : 두개 내에서 발생하여 안와 내로 침투 | * [[이차 시신경 수막종|이차 (secondary) 시신경 수막종]] : 두개 내에서 발생하여 안와 내로 침투 | ||
{{참고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
2022년 6월 5일 (일) 03:32 기준 최신판
시신경 수막종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1] 은 대부분은 두개 내에서 발생하며 보통 전이가 드물고 주위 조직으로도 잘 침투하지 않는 비교적 양성 종양의 성격을 가진다.
역학
전체 수막종의 1~2% 이다.
분류
- 원발 (primary) 시신경 수막종 : 안와내 시신경막에서 발생
- 이차 (secondary) 시신경 수막종 : 두개 내에서 발생하여 안와 내로 침투
참고
- ↑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