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세 펄스 공막 경유 레이저 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주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MP3 (micropulse P3™)'''
'''미세 펄스 공막 경유 레이저 치료 (micropulse transscleral laser treatment, MP-TLT)''' 은 [[Cyclo G6]]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오드 레이저 에너지로 반복적인 미세 펄스를 이용하는 비교적 새로운 기술이다. 이 기술은 섬모체 파괴적 (cyclodestructive) 이지 않기 때문에, '응고술' 이라는 말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다.
== 기전 ==
== 역사 ==
미세 펄스 다이오드 기술의 임상적 응용은 1990년대 후반에 처음으로 연구되었으며, BRVO, DR 이후에 발생한 망막 부종을 포함한 망막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ref>Moorman CM et al. Clinical applications of the MP diode laser. ''Eye (Lond)''. 1999 Apr;13 (Pt 2):145-50. [https://pubmed.ncbi.nlm.nih.gov/10450372/ 연결]</ref>. 이후에는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CSC]]에 대한 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ref>Lanzetta P et al. Nonvisible subthreshold MP diode laser (810 nm) treatment of CSC. A pilot study. ''Eur J Ophthalmol''. 2008 Nov-Dec;18(6):934-40. [https://pubmed.ncbi.nlm.nih.gov/18988165/ 연결]</ref>.
 
2010년에 싱가포르의 Tan 등<ref>Tan AM et al. MP transscleral diode laser CPC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glaucoma. ''Clin Exp Ophthalmol''. 2010 Apr;38(3):266-72. [https://pubmed.ncbi.nlm.nih.gov/20447122/ 연결]</ref>은 이 기술을 섬모체에 사용하는 첫 연구를 발표하였다. 이후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MIG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녹내장 관리에 있어 MP-TLT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 원리 ==
지속적인 다이오드 레이저 광선을 반복적인 활성 펄스 (On) 와 사이에 위치한 휴식 주기 (Off) 로 분할하여 열 상승을 조절한다<ref>Sanchez FG et al. Update on mTSCPC. ''J Glaucoma''. 2020 Jul;29(7):598-603. [https://pubmed.ncbi.nlm.nih.gov/32398591/ 연결]</ref>.
 
열 휴식 시간 (OFF 주기) 은 열 상승을 방지해서 CW-TSCPC 에서 발생하는 섬모체 돌기에 대한 탈색 (bleaching), 응고 괴사 등의 열 효과는 없다. 따라서, 에너지는 응고 역치에 도달하지 않고 색소 섬모체 상피에 축적될 수 있고, 주변 조직에 대한 부수적 손상을 줄여준다.
== 작용 기전 ==
=== 역치하 세포 손상 : 방수 생성 억제 ===
=== 역치하 세포 손상 : 방수 생성 억제 ===
임상 및 실험 연구는 mTSCPC 가 색소, 비색소 상피에 역치하 세포 손상을 일으킨다고 하며, 이것은 방수의 생산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off 시간은 색소 상피에 인접한 조직에 열 에어지가 축적되는 것을 막아서, 응고 온도를 피하고 부수적인 손상을 줄인다. Maslin 등은 CW-TSCPC와 비교했을 때 섬모체에 응고 손상이 최소화한다고 밝혔다.
임상 및 실험 연구는 mTSCPC 가 색소, 비색소 상피에 역치하 세포 손상을 일으킨다고 하며, 이것은 방수의 생산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off 시간은 색소 상피에 인접한 조직에 열 에어지가 축적되는 것을 막아서, 응고 온도를 피하고 부수적인 손상을 줄인다. Maslin 등<ref>Maslin J et al. Comparison of acut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human cadaver eyes after mTSCPC and CW-TSCPC. Poster presented at: The 26th Annual AGS Meeting; March 3, 2016; Ft. Lauderdale, FL.</ref>은 CW-TSCPC와 비교했을 때 섬모체에 응고 손상이 최소화한다고 밝혔다.
=== 포도막-공막 유출 증가 ===
=== 포도막-공막 유출 증가 ===
Barac 등은 녹내장 22안에서 mTSCPC 치료를 하였고, OCT를 이용하여 맥락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mTSCPC 치료를 성공적으로 받은 환자들은 치료 후 6개월째에 맥락막 두께가 16 ㎛ (369→385)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치료에 반응이 없던 환자들은 맥락막 두께에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발견 이후, 저자들은 맥락막 두께의 변화가 포도막-공막 유출이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Barac 등은 녹내장 22안에서 mTSCPC 치료를 하였고, OCT를 이용하여 맥락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mTSCPC 치료를 성공적으로 받은 환자들은 치료 후 6개월째에 맥락막 두께가 16 ㎛ (369→385)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치료에 반응이 없던 환자들은 맥락막 두께에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발견 이후, 저자들은 맥락막 두께의 변화가 포도막-공막 유출이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 [[필로카르핀]] 같은 효과 ===
=== [[필로카르핀]] 같은 효과 ===
John-stone 등이 원숭이에 대한 실시간 안구내 촬영 실험 후 필로카르핀 같은 효과 (섬유주 공간 및 방수 유출을 촉진하는 쉴렘관 공간의 확장) 를 제시했다. MP-TLT는 전방각 구조에 측정 가능한 변화를 유도했는데, 섬모체 근육의 세로 방향 섬유에 작용하여 섬유를 수축시키고 그에 따라 공막 돌기의 뒤쪽, 안쪽 전이를 유발했다. 따라서, 섬유주 형태와 방수의 기존 유출로를 변화시켰다.
이러한 효과는 62J 이하의 낮은 에너지에서는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수록 적게 회복되었으며, 높은 에너지 (150J) 에서는 효과가 영구적으로 지속되었다.


== 적응증 ==
== 적응증 ==
기존의 연속파 모드 섬모체광응고술보다 합병증이 적게 발생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첫번째 녹내장 치료법으로는 고려되지 않고 다른 치료가 여러 번 실패했거나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서 보조적인 방법으로 고려되는 경향이 있다<ref>서재신 등, 난치 녹내장에서 MP-TSCPC의 단기 임상 효과, ''한안지'' 2020;61(4):367-37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0195 연결]</ref><ref>김종화 등,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MP-TSCPC의 단기 효과와 안정성, ''한안지'' 2020;61(9):1072-107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1567 연결]</ref>.
== 시술 방법 ==
== 시술 방법 ==
# 탐침을 포장에서 꺼내고 조심스럽게 푼다. 이 기구는 부적절하게 다뤄질 경우 손상될 수 있는 유리 광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탐침을 호환되는 IRIDEX 레이저 장비에 연결한다.
# 탐침을 포장에서 꺼내고 조심스럽게 푼다. 이 기구는 부적절하게 다뤄질 경우 손상될 수 있는 유리 광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탐침을 호환되는 IRIDEX 레이저 장비에 연결한다.
20번째 줄: 33번째 줄:
== 주의 ==
== 주의 ==
이 장비는 일회용이다. 재가공 (소독) 되어서는 안 되고, 어떠한 재사용 과정도 제조사가 검증하지 않았다. 재사용할 경우 환자의 눈에 오염물 또는 미생물이 유입될 위험이 있으며, 환자에게 손상 및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장비는 일회용이다. 재가공 (소독) 되어서는 안 되고, 어떠한 재사용 과정도 제조사가 검증하지 않았다. 재사용할 경우 환자의 눈에 오염물 또는 미생물이 유입될 위험이 있으며, 환자에게 손상 및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 합병증 ==
술 중 레이저 조사로 인한 통증 (69.4%) 과 술 후 전방 염증 (73.9%) 이 가장 흔하며, 그 외에 산동이나 결막하 출혈, 저안압도 발생할 수 있다.또한,섬모체 손상으로 인한 조절 능력 저하와 굴절력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특수 상황 ==
== 특수 상황 ==
=== 각막 이식 후 환자 ===
=== 각막 이식 후 환자 ===
26번째 줄: 42번째 줄:
Varikuti 등은 좋은 중심 시력 (BCVA ≥ 20/60) 을 가진 61안에 치료하였고, 12개월간 경과 관찰하였다. 성공률 (안압 6~21 mmHg 또는 20% 이상의 하강, BCVA 두 단계 이하 하강, 녹내장 재수술 하지 않음) 은 1년째에 75.0% 였고, 10안이 두 줄 이상의 시력 저하가 있었다. 이 중 7안은 수정체안, 7안은 이전에 녹내장 수술을 받았던 눈이었다. 수정체안 중 가장 흔한 합병증은 백내장 (40%) 이었고, 그 외에도 술 후 홍채염 (3.3%), 낭포성 황반 부종 (3%) 가 있었다. 안구 위축, 안내염, 교감 안염, 전방 출혈, 유리체 출혈 은 없었다.
Varikuti 등은 좋은 중심 시력 (BCVA ≥ 20/60) 을 가진 61안에 치료하였고, 12개월간 경과 관찰하였다. 성공률 (안압 6~21 mmHg 또는 20% 이상의 하강, BCVA 두 단계 이하 하강, 녹내장 재수술 하지 않음) 은 1년째에 75.0% 였고, 10안이 두 줄 이상의 시력 저하가 있었다. 이 중 7안은 수정체안, 7안은 이전에 녹내장 수술을 받았던 눈이었다. 수정체안 중 가장 흔한 합병증은 백내장 (40%) 이었고, 그 외에도 술 후 홍채염 (3.3%), 낭포성 황반 부종 (3%) 가 있었다. 안구 위축, 안내염, 교감 안염, 전방 출혈, 유리체 출혈 은 없었다.
{{참고|녹내장}}
{{참고|녹내장}}
[[분류:녹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