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망막 층간 분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근시 망막 층간 분리 (myopic retinoschisis)'''{{망막}} == 역학 == 병적 근시로 진단된 환자의 8~34%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자연 경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근시 망막 층간 분리 (myopic retinoschisis)'''{{망막}}
'''근시 망막 층간 분리 (myopic retinoschisis)'''{{망막}}
== 역학 ==
== 역학 ==
병적 근시로 진단된 환자의 8~34%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병적 근시로 진단된 환자의 8~34%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ref>Baba T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foveal RD without MH in high myopia. ''AJO''. 2003 Mar;135(3):338-42. [https://pubmed.ncbi.nlm.nih.gov/12614751/ 연결]</ref>.
== 자연 경과 ==
== 자연 경과 ==
2년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호전되는 경우는 3.9%, 악화되는 경우는 11.6%~100% 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8.
2년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호전되는 경우는 3.9%, 악화되는 경우는 11.6%~100% 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ref>Shimada N et al. Natural course of MTM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r resolution. ''AJO''. 2013 Nov;156(5):948-957.e1 [https://pubmed.ncbi.nlm.nih.gov/23972301/ 연결]</ref>.
{{참고}}
{{참고}}

2021년 6월 9일 (수) 06:37 기준 최신판

근시 망막 층간 분리 (myopic retinoschisis)[1]

역학

병적 근시로 진단된 환자의 8~34%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2].

자연 경과

2년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호전되는 경우는 3.9%, 악화되는 경우는 11.6%~100% 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3].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Baba T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foveal RD without MH in high myopia. AJO. 2003 Mar;135(3):338-42. 연결
  3. Shimada N et al. Natural course of MTM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r resolution. AJO. 2013 Nov;156(5):948-957.e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