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교정 렌즈/처방: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조정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K가 너무 가파르거나 편평하지 않을 때에는 시험 세트에 있는 직경 (10.6mm) 로 한다. | K가 너무 가파르거나 편평하지 않을 때에는 시험 세트에 있는 직경 (10.6mm) 로 한다. | ||
그러나 아주 가파를 때 (≥ 46.0 D) 는 10.0mm 로, 그리고 아주 편평할 때 (≤ 40.5 D) 는 11.0 mm 로 할 수 있다. | 그러나 아주 가파를 때 (≥ 46.0 D) 는 10.0mm 로, 그리고 아주 편평할 때 (≤ 40.5 D) 는 11.0 mm 로 할 수 있다. | ||
== | == 조정 == | ||
# 움직임을 보고 끼는 렌즈인지 느슨한 렌즈인지 판단한다. | |||
# 중심 이탈 (decenteration) 은 어느 방향으로 생기며, 그 원인이 렌즈가 끼는 것인지 느슨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 |||
# 교정 시력이 만족스럽지 못할 때 (저교정), 기본적인 원인은 apical touch의 문제이나, 그 원인이 렌즈가 끼는 것인지 느슨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기본 곡률 (BC) 을 편평하게 할 것인지, 도수 (power) 를 올려줄 것인지를 결정한다. | |||
43.00 / -3.00 / .5e | |||
- tight : 편심율을 높게 (43.0 / -3.00 / .6e) 또는 BC를 편평하게 하고 도수를 낮게 (42.50 / -2.50 / .5e) | |||
- loose : 편심율을 낮게 (43.0 / -3.00 / .4e) 또는 BC를 가파르세 하고 도수를 높게 (43.50 / -3.50 / .5e)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꽉 끼는 (tight) 렌즈||느슨한 (loose) 렌즈 | |||
!||꽉 끼는 렌즈||느슨한 렌즈 | |||
|- | |- | ||
|눈 깜빡임 시 움직임||감소||과함 | |눈 깜빡임 시 움직임||감소||과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