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르코이드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르코이드증 (sarcoidosis)'''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비건락성 육아종성 질환으로<ref>Statement on sarcoidosis. Joint Statement of the ATS, the ERS and the WASOG adopted by the ATS Board of Directors and by the ERS Executive Committee, Feb 1999.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 Aug;160(2):736-55. [https://pubmed.ncbi.nlm.nih.gov/10430755/ 연결]</ref>, 1869년에 Jonathan Hutchinso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1909년에 Schumaker와 1910년 Bering이 각각 사르코이드증의 합병증으로 홍채염을 보고하였다.
'''사르코이드증 (sarcoidosis)''' 1869년에 Jonathan Hutchinso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비건락성 육아종 (noncaseating granuloma) 의 형성이 특징인 염증성 질환이다<ref>Statement on sarcoidosis. Joint Statement of the ATS, the ERS and the WASOG adopted by the ATS Board of Directors and by the ERS Executive Committee, Feb 1999.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 Aug;160(2):736-55. [https://pubmed.ncbi.nlm.nih.gov/10430755/ 연결]</ref>.
== 역학 ==
== 역학 ==
일반적으로 만 50세 이전에 발병하며, 전세계적 분포 양상을 보이나 백인에 비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북유럽인에서 더 발생 빈도가 높으며, 주로 젊은 사람에게 호발한다. 남성과 여성이 비슷하거나 여성에서 약간 더 흔하다(60%)<ref>Arkema EV et al. Sarcoidosis epidemiology: recent estimates of incidenc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Curr Opin Pulm Med''. 2020 Sep;26(5):527-534. [https://pubmed.ncbi.nlm.nih.gov/32701677/ 연결]</ref><ref>Arkema EV et al. Epidemiology of sarcoidosis: curr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Ther Adv Chronic Dis''. 2018 Aug 24;9(11):227-240. [https://pubmed.ncbi.nlm.nih.gov/30364496/ 연결]</ref>. 눈을 침범하는 빈도는 15~25%이다.
북유럽계의 인종이나 흑인에서 다른 인종보다 많이 발병한다.
== 유전 ==
== 유전 ==
유전적인 원인과의 관련성도 제기되고 있다.
유전적인 원인과의 관련성도 제기되고 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 치료 ==
== 치료 ==
스테로이드 투여가 일반적이며, 아직까지 가장 적합한 용량과 지속 기간에 대한 무작위 전향적 연구는 시행된 바 없어 개인별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매일 경구 Prednisone 20-40 mg을 1개월에서 3개월간 유지한 후 반응이 있으면 하루 5-10 mg으로 감량하여 총 6개월 이상 복용 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추천된다<ref>Beegle SH et al. Current and emerging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sarcoidosis: a review. ''Drug Des Devel Ther''. 2013 Apr 12;7:325-38. [https://pubmed.ncbi.nlm.nih.gov/23596348/ 연결]</ref>. 국소 안구 병변의 경우 안구 주위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기도 한다. 9 급성 혹은 아급성 사르코이드증은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 투여가 일반적이며, 아직까지 가장 적합한 용량과 지속 기간에 대한 무작위 전향적 연구는 시행된 바 없어 개인별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매일 경구 Prednisone 20-40 mg을 1개월에서 3개월간 유지한 후 반응이 있으면 하루 5-10 mg으로 감량하여 총 6개월 이상 복용 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추천된다<ref>Beegle SH et al. Current and emerging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sarcoidosis: a review. ''Drug Des Devel Ther''. 2013 Apr 12;7:325-38. [https://pubmed.ncbi.nlm.nih.gov/23596348/ 연결]</ref>. 국소 안구 병변의 경우 안구 주위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기도 한다<ref>Mavrikakis I et al. Diverse clinical presentations of orbital sarcoid. ''AJO''. 2007 Nov;144(5):769-775. [https://pubmed.ncbi.nlm.nih.gov/17869205/ 연결]</ref>. 급성 혹은 아급성 사르코이드증은 스테로이드 치료에 빠르게 반응하며, 만성 사르코이드증에서는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기도 한다<ref>Graham EM et al. Optic neuropathy in sarcoidosi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6 Jul;49(7):756-63. [https://pubmed.ncbi.nlm.nih.gov/3746306/ 연결]</ref>.  
치료에 빠르게 반응하며, 만성 사르코이드증에서는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기도 한다.10


스테로이드가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제제, 항종양괴사인자 제제 등이 대체제로 쓰일 수 있다.
스테로이드가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제제, 항종양괴사인자 제제 등이 대체제로 쓰일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