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rhinostomy, DCR)'''{{성형안과}}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rhinostomy, DCR)'''{{성형안과}}
== 역사 ==
== 역사 ==
Tsirbas, Wormald<ref>Tsirbas A et al. Mechanical endonasal DCR with mucosal flaps. ''BJO''. 2003 Jan;87(1):43-7. [https://pubmed.ncbi.nlm.nih.gov/12488261/ 연결]</ref> 가 최초로 피부경유 DCR 을 설명하였다. 이후 1989년 McDonogh, Meiring<ref>McDonogh M et al. Endoscopic transnasal DCR. ''J Laryngol Otol''. 1989 Jun;103(6):585-7. [https://pubmed.ncbi.nlm.nih.gov/2769026/ 연결]</ref> 은 최초로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 DCR 의 임상연구를 처음 발표하였다.
Tsirbas, Wormald<ref>Tsirbas A et al. Mechanical endonasal DCR with mucosal flaps. ''BJO''. 2003 Jan;87(1):43-7. [https://pubmed.ncbi.nlm.nih.gov/12488261/ 연결]</ref> 가 최초로 피부경유 DCR 을 설명하였다. 이후 1989년 McDonogh, Meiring<ref>McDonogh M et al. Endoscopic transnasal DCR. ''J Laryngol Otol''. 1989 Jun;103(6):585-7. [https://pubmed.ncbi.nlm.nih.gov/2769026/ 연결]</ref> 은 최초로 코 점막의 보존 없이 눈물주머니와 코 안 사이에 골공을 만드는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 DCR 의 임상연구를 처음 발표하였다.


초기에는 코경유 수술이 피부경유보다 성공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지난 30년 동안 내시경 자체의
초기에는 코경유 수술이 피부경유보다 성공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지난 30년 동안 내시경 자체의
발전과 레이저, 드릴 등의 수술기구의 발전은 코경유의 수술 성공률을 향상시켰다<ref>Beshay N et al. Anatomical and subjective success rates of endonasal DCR over a 7-year period. Eye (Lond). 2016 Nov;30(11):1458-1461. [https://pubmed.ncbi.nlm.nih.gov/27419832/ 연결]</ref>. 현재에는 피부경유 수술 방법과 유사하거나 더 나은 성공률을 보인다<ref>Tsirbas A et al. Mechanical endonasal DCR vs. external DCR.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4 Jan;20(1):50-6. [https://pubmed.ncbi.nlm.nih.gov/14752311/ 연결]</ref>.
발전과 레이저, 드릴 등의 수술기구의 발전은 코경유의 수술 성공률을 향상시켰다<ref>Beshay N et al. Anatomical and subjective success rates of endonasal DCR over a 7-year period. Eye (Lond). 2016 Nov;30(11):1458-1461. [https://pubmed.ncbi.nlm.nih.gov/27419832/ 연결]</ref>. 현재에는 피부경유 수술 방법과 유사하거나 더 나은 성공률을 보인다<ref>Tsirbas A et al. Mechanical endonasal DCR vs. external DCR.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4 Jan;20(1):50-6. [https://pubmed.ncbi.nlm.nih.gov/14752311/ 연결]</ref>.
{{참고}}
{{참고}}

2021년 7월 21일 (수) 00:50 기준 최신판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rhinostomy, DCR)[1]

역사

Tsirbas, Wormald[2] 가 최초로 피부경유 DCR 을 설명하였다. 이후 1989년 McDonogh, Meiring[3] 은 최초로 코 점막의 보존 없이 눈물주머니와 코 안 사이에 골공을 만드는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 DCR 의 임상연구를 처음 발표하였다.

초기에는 코경유 수술이 피부경유보다 성공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지난 30년 동안 내시경 자체의 발전과 레이저, 드릴 등의 수술기구의 발전은 코경유의 수술 성공률을 향상시켰다[4]. 현재에는 피부경유 수술 방법과 유사하거나 더 나은 성공률을 보인다[5].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Tsirbas A et al. Mechanical endonasal DCR with mucosal flaps. BJO. 2003 Jan;87(1):43-7. 연결
  3. McDonogh M et al. Endoscopic transnasal DCR. J Laryngol Otol. 1989 Jun;103(6):585-7. 연결
  4. Beshay N et al. Anatomical and subjective success rates of endonasal DCR over a 7-year period. Eye (Lond). 2016 Nov;30(11):1458-1461. 연결
  5. Tsirbas A et al. Mechanical endonasal DCR vs. external DCR.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4 Jan;20(1):50-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