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망막}}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망막}}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된 것으로,연구자에 따라 망상 가성 드루젠 (reticular pseudodrusen), 망상 황반병증(reticular macular disease), 망상 드루젠(reticular drusen) 등으로도 불리운다.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 SDD)'''{{망막}}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된 것으로,연구자에 따라 망상 가성 드루젠 (reticular pseudodrusen), 망상 황반병증(reticular macular disease), 망상 드루젠(reticular drusen) 등으로도 불리운다<ref>Arnold JJ et al. Reticular pseudodrusen : A risk factor in AMD. ''Retina''. 1995;15(3):183-91. [https://pubmed.ncbi.nlm.nih.gov/7569344/ 연결]</ref>.
== 발생 기전 ==
명확하지 않으며, 맥락막의 두께가 감소되어 있는 경우들이 많아서 맥락막의 이상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성분 ==
다른 [[연성 드루젠]]과 비슷하여, 막부스러기 (membranous debris), 콜레스테롤,콜레스테롤에스터,보체 (complemen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f>Rudolf M et al. SDD in human retina :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Exp Eye Res''. 2008 Nov;87(5):402-8. [https://pubmed.ncbi.nlm.nih.gov/18721807/ 연결]</ref>.
== 임상 소견 ==
각각이 약 250 ㎛ 의 직경을 가진 창백하게 노랗게 침착물이 그물 모양으로 축적되는 특징으로 하는 병변으로, 황반의 이측 상부에 먼저 나타나며, 천천히 다른 사분면으로 그리고 주변부로 퍼져 나가는데 보통 중심와부위는 피해서 생긴다. 이는 FA에서 형광을 나타내지 않으며, 무적색광 사진이나 근적외선 스캐닝 레이저 검안경 (infrared SLO) 하에서 잘 관찰된다.
 
RPE 위에 편평하게 침착되는 것부터, 내측-외측 시세포층까지 뻗어나가는 경우도 있다<ref>Zweifel SA et al. Prevalence and significance of SDD (reticular pseudodrusen) in AMD. ''Ophthalmology''. 2010 Sep;117(9):1775-81. [https://pubmed.ncbi.nlm.nih.gov/20472293/ 연결]</ref>. 이 침착물들의 위쪽의 시세포들은 외절이 짧아지거나 혹은 소실되나 내절이 구부러지는 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들은 따로 독립되어 존재하거나 혹은 융합된 드루젠 모양의 무더기들 (confluent drusenoid mounds) 에서 보일 수 있다.
== 감별 진단 ==
안저 검사상 융합하는 [[연성 드루젠]] (soft confluent drusen) 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나, 최근 OCT의 발달과 함께 발표된 연구들에 의하면, 일반 드루젠들과는 달리, 침착물이 RPE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f>Zweifel SA et al. Reticular pseudodrusen are SDD. ''Ophthalmology''. 2010 Feb;117(2):303-12.e1. [https://pubmed.ncbi.nlm.nih.gov/19815280/ 연결]</ref>.
== [[나이 관련 황반변성|AMD]]와의 관련성 ==
기존에 AMD의 특징으로 알려진 황반부 색소 이상 (과색소 병변 혹은 저색소 병변) 또는 [[드루젠]] ([[경성 드루젠|경성]] 혹은 [[연성 드루젠]]) 과는 독립적으로, AMD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ref>Pumariega NM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reticular macular disease. ''Ophthalmology''. 2011 Aug;118(8):1619-25. [https://pubmed.ncbi.nlm.nih.gov/21550118/ 연결]</ref>.
{{참고}}

2021년 10월 3일 (일) 02:09 기준 최신판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subretinal drusenoid depostis, SDD)[1] 은 1900년대에 Mimoun 등에 의해 '청색광에서 잘 보이는 가성의 드루젠' 으로 소개된 것으로,연구자에 따라 망상 가성 드루젠 (reticular pseudodrusen), 망상 황반병증(reticular macular disease), 망상 드루젠(reticular drusen) 등으로도 불리운다[2].

발생 기전

명확하지 않으며, 맥락막의 두께가 감소되어 있는 경우들이 많아서 맥락막의 이상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성분

다른 연성 드루젠과 비슷하여, 막부스러기 (membranous debris), 콜레스테롤,콜레스테롤에스터,보체 (complemen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3].

임상 소견

각각이 약 250 ㎛ 의 직경을 가진 창백하게 노랗게 침착물이 그물 모양으로 축적되는 특징으로 하는 병변으로, 황반의 이측 상부에 먼저 나타나며, 천천히 다른 사분면으로 그리고 주변부로 퍼져 나가는데 보통 중심와부위는 피해서 생긴다. 이는 FA에서 형광을 나타내지 않으며, 무적색광 사진이나 근적외선 스캐닝 레이저 검안경 (infrared SLO) 하에서 잘 관찰된다.

RPE 위에 편평하게 침착되는 것부터, 내측-외측 시세포층까지 뻗어나가는 경우도 있다[4]. 이 침착물들의 위쪽의 시세포들은 외절이 짧아지거나 혹은 소실되나 내절이 구부러지는 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들은 따로 독립되어 존재하거나 혹은 융합된 드루젠 모양의 무더기들 (confluent drusenoid mounds) 에서 보일 수 있다.

감별 진단

안저 검사상 융합하는 연성 드루젠 (soft confluent drusen) 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나, 최근 OCT의 발달과 함께 발표된 연구들에 의하면, 일반 드루젠들과는 달리, 침착물이 RPE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5].

AMD와의 관련성

기존에 AMD의 특징으로 알려진 황반부 색소 이상 (과색소 병변 혹은 저색소 병변) 또는 드루젠 (경성 혹은 연성 드루젠) 과는 독립적으로, AMD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6].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Arnold JJ et al. Reticular pseudodrusen : A risk factor in AMD. Retina. 1995;15(3):183-91. 연결
  3. Rudolf M et al. SDD in human retina :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Exp Eye Res. 2008 Nov;87(5):402-8. 연결
  4. Zweifel SA et al. Prevalence and significance of SDD (reticular pseudodrusen) in AMD. Ophthalmology. 2010 Sep;117(9):1775-81. 연결
  5. Zweifel SA et al. Reticular pseudodrusen are SDD. Ophthalmology. 2010 Feb;117(2):303-12.e1. 연결
  6. Pumariega NM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reticular macular disease. Ophthalmology. 2011 Aug;118(8):1619-2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