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태생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후태생환 (posterior embryotoxon) 은 악센펠드-리거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특징적인 이상으로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을 말...) |
잔글 (→관련 질환)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후태생환 (posterior embryotoxon) 은 [[악센펠드-리거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특징적인 이상으로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을 말한다. | <b>후태생환 (posterior embryotoxon)</b> 은 [[악센펠드-리거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특징적인 이상으로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을 말한다. | ||
{{외부 사진 | |||
|주소=https://lh3.googleusercontent.com/proxy/ag3YzjY1fsIURZrb7lViHJgCrvw8ehxJRegNrw8MNIAZ_7kgyBT62CGS1xGfEEjauvjiGOiQFlYOvC4u_u6hsB6MVexPsXigz79cR9LQZBRc5aNGu61zalQdE5Smmse-zzaczPv7nfPVwZYV9KNchRCedB7GOdg1qg | |||
|가로=350 | |||
|제목=알라질 증후군 환자의 코쪽 후태생환 | |||
|출처=Journal of EOS | |||
|링크=http://www.jeos.eg.net/viewimage.asp?img=JEgyptOphthalmolSoc_2016_109_3_98_202257_f2.jpg | |||
}} | |||
== 역학 == | == 역학 == | ||
전인류의 8~15%에서 관찰된다. | 전인류의 8~15%에서 관찰된다. | ||
5번째 줄: | 12번째 줄: | ||
보통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 보통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 ||
== 관련 질환 == | == 관련 질환 == | ||
원발 선천녹내장과 홍채-각막내피 증후군과 같은 안질환과 병합되기도 한며, Alagille 증후군, X염색체 관련 비늘증, 가족성 무홍채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 원발 선천녹내장과 홍채-각막내피 증후군과 같은 안질환과 병합되기도 한며, [[알라질 증후군|Alagille 증후군]], X염색체 관련 비늘증, 가족성 무홍채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윤부 근처의 각막 후부에 백선 또는 고리로 보이는데 경우에 따라 360도 모든 방향에서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선이 불완전하고 귀쪽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위치는 각막 윤부에서 0.5~2.0mm 중심부 쪽으로 위치한다. | 윤부 근처의 각막 후부에 백선 또는 고리로 보이는데 경우에 따라 360도 모든 방향에서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선이 불완전하고 귀쪽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위치는 각막 윤부에서 0.5~2.0mm 중심부 쪽으로 위치한다. | ||
== 조직병리 == | == 조직병리 == | ||
방추형 세포에 둘러싸인 아교질과 기질로 이루어져 있다. | 방추형 세포에 둘러싸인 아교질과 기질로 이루어져 있다. |
2020년 4월 28일 (화) 01:21 기준 최신판
후태생환 (posterior embryotoxon) 은 악센펠드-리거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특징적인 이상으로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을 말한다. 틀:외부 사진
역학
전인류의 8~15%에서 관찰된다.
유전
보통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관련 질환
원발 선천녹내장과 홍채-각막내피 증후군과 같은 안질환과 병합되기도 한며, Alagille 증후군, X염색체 관련 비늘증, 가족성 무홍채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임상 소견
윤부 근처의 각막 후부에 백선 또는 고리로 보이는데 경우에 따라 360도 모든 방향에서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선이 불완전하고 귀쪽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위치는 각막 윤부에서 0.5~2.0mm 중심부 쪽으로 위치한다.
조직병리
방추형 세포에 둘러싸인 아교질과 기질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