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아리모양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반데타닙 (vandetanib)<ref>Ahn J et al. Vortex keratopathy in a patient receiving vandetanib for NSCLC. ''KJO''. 2011 Oct;25(5):355-7. [https://pubmed.ncbi.nlm.nih.gov/21976946/ 연결]</ref> | * 반데타닙 (vandetanib)<ref>Ahn J et al. Vortex keratopathy in a patient receiving vandetanib for NSCLC. ''KJO''. 2011 Oct;25(5):355-7. [https://pubmed.ncbi.nlm.nih.gov/21976946/ 연결]</ref> | ||
== 기전 == | == 기전 == | ||
양극성의 약제들은 세포의 리소좀 내에 축적되어 세포 봉입체를 생성하게 되고, 침전물이 포함된 윤부의 각막 상피세포들이 각막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윤생 각막병증의 특징적인 구심성의 소용돌이 모양의 각막 혼탁을 형성하게 된다<ref>Dua HS et al. Vortex or whorl formation of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nduced by magnetic fields. ''Eye (Lond)''. 1996;10 (Pt 4):447-50. [https://pubmed.ncbi.nlm.nih.gov/8944095/ 연결]</ref>. | 약제의 직접적인 축적과 약물 대사 활성체들의 각막 상피 축적이다<ref>Erdurmus M et al. Amiodarone-induced keratopathy : full-thickness corneal involvement. ''Eye Contact Lens''. 2008 Mar;34(2):131-2. [https://pubmed.ncbi.nlm.nih.gov/18327053/ 연결]</ref>. 양극성의 약제들은 세포의 리소좀 내에 축적되어 세포 봉입체를 생성하게 되고, 침전물이 포함된 윤부의 각막 상피세포들이 각막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윤생 각막병증의 특징적인 구심성의 소용돌이 모양의 각막 혼탁을 형성하게 된다<ref>Dua HS et al. Vortex or whorl formation of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nduced by magnetic fields. ''Eye (Lond)''. 1996;10 (Pt 4):447-50. [https://pubmed.ncbi.nlm.nih.gov/8944095/ 연결]</ref>. | ||
== 증상 == | == 증상 == | ||
각막 침착물은 시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눈부심이나 난시 등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 각막 침착물은 시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눈부심이나 난시 등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 ||
| 23번째 줄: | 24번째 줄: | ||
일반적으로 약제를 중단하면 20개월 이내에는 병변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Ingram DV et al. Ocular changes resulting from therapy w amiodarone. ''BJO''. 1982 Oct;66(10):676-9. [https://pubmed.ncbi.nlm.nih.gov/7115651/ 연결]</ref>. | 일반적으로 약제를 중단하면 20개월 이내에는 병변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Ingram DV et al. Ocular changes resulting from therapy w amiodarone. ''BJO''. 1982 Oct;66(10):676-9. [https://pubmed.ncbi.nlm.nih.gov/7115651/ 연결]</ref>. | ||
{{참고}} | {{참고}} | ||
[[분류:각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