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트로핀 (저농도):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처음에는 조절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절을 오랫동안 하게 되면 수정체가 영구적으로 볼록해짐으로 해서 근시가 유발되는 것과 유리체압의 증가가 공막에 성장과 신장을 가져와 안축장이 증가되어 근시가 유발된다는 것이었다<ref>Young FA. The nature and control of myopia. ''J Am Optom Assoc''. 1977 Apr;48(4):451-7. [https://pubmed.ncbi.nlm.nih.gov/406312/ 연결]</ref><ref>Coleman DJ. Unified model for accommodative mechanism. ''AJO''. 1970 Jun;69(6):1063-79. [https://pubmed.ncbi.nlm.nih.gov/5423772/ 연결]</ref>. 그러나 다른 조절마비제인 tropicamide나 근거리 조절 완화를 위한 이중 초점 또는 누진렌즈의 연구에서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없었으며, 사람과 달리 횡문근(striated muscle)로 이루어진 병아리의 모양체근에는 아트로핀의 조절마비 작용이 일어나지 않음에도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있었다<ref>McBrien NA et al. Atropine reduces experimental myopia and eye enlargement via a nonaccommodative mechanism. ''IOVS''. 1993 Jan;34(1):205-15. [https://pubmed.ncbi.nlm.nih.gov/8425826/ 연결]</ref>. 이에 조절이 직접적으로 근시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것으로 생각되어졌으며 이는 동물실험에서 시신경을 절단하여 조절 작용을 억제한 상태에서도 근시진행이 계속 진행한 것으로 뒷받침된다<ref>Troilo D et al. Visual deprivation causes myopia in chicks w optic nerve section. ''Curr Eye Res''. 1987 Aug;6(8):993-9. [https://pubmed.ncbi.nlm.nih.gov/3665562/ 연결]</ref>.
처음에는 조절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절을 오랫동안 하게 되면 수정체가 영구적으로 볼록해짐으로 해서 근시가 유발되는 것과 유리체압의 증가가 공막에 성장과 신장을 가져와 안축장이 증가되어 근시가 유발된다는 것이었다<ref>Young FA. The nature and control of myopia. ''J Am Optom Assoc''. 1977 Apr;48(4):451-7. [https://pubmed.ncbi.nlm.nih.gov/406312/ 연결]</ref><ref>Coleman DJ. Unified model for accommodative mechanism. ''AJO''. 1970 Jun;69(6):1063-79. [https://pubmed.ncbi.nlm.nih.gov/5423772/ 연결]</ref>. 그러나 다른 조절마비제인 tropicamide나 근거리 조절 완화를 위한 이중 초점 또는 누진렌즈의 연구에서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없었으며, 사람과 달리 횡문근(striated muscle)로 이루어진 병아리의 모양체근에는 아트로핀의 조절마비 작용이 일어나지 않음에도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있었다<ref>McBrien NA et al. Atropine reduces experimental myopia and eye enlargement via a nonaccommodative mechanism. ''IOVS''. 1993 Jan;34(1):205-15. [https://pubmed.ncbi.nlm.nih.gov/8425826/ 연결]</ref>. 이에 조절이 직접적으로 근시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것으로 생각되어졌으며 이는 동물실험에서 시신경을 절단하여 조절 작용을 억제한 상태에서도 근시진행이 계속 진행한 것으로 뒷받침된다<ref>Troilo D et al. Visual deprivation causes myopia in chicks w optic nerve section. ''Curr Eye Res''. 1987 Aug;6(8):993-9. [https://pubmed.ncbi.nlm.nih.gov/3665562/ 연결]</ref>.


최근 아트로핀의 작용기전에 대한 여러 동물 실험에서 아트로핀이 안구에 존재하는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들에 대한 비선택적 대항제로 작용하여 공막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f>Wang IJ et al. The effect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atropine on the proliferation of scleral chondrocyte in vivo. ''J Ocul Pharmacol Ther''. 1998 Aug;14(4):337-43. [https://pubmed.ncbi.nlm.nih.gov/9715437/ 연결]</ref><ref>Lind GJ et al.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antagonists inhibit chick scleral chondrocytes. ''IOVS''. 1998 Nov;39(12):2217-31. [https://pubmed.ncbi.nlm.nih.gov/9804129/ 연결]</ref>. 안구내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에는 M1~5가 있으며 M1 수용체를 자극하면 공막의 세포 성장을 통한 안구 성장이 있지만, M2~5 수용체는 자극하더라도 안구 성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안구 성장에 관여하는 수용체는 M1으로 알려졌다<ref>Ashkenazi A et al. Acetylcholine analogue stimulates DNA synthesis in brain-derived cells via specific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Nature''. 1989 Jul 13;340(6229):146-50. [https://pubmed.ncbi.nlm.nih.gov/2739737/ 연결]</ref>.
최근 아트로핀의 작용기전에 대한 여러 동물 실험에서 아트로핀이 안구에 존재하는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들에 대한 비선택적 대항제로 작용하여 공막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f>Wang IJ et al. The effect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atropine on the proliferation of scleral chondrocyte in vivo. ''J Ocul Pharmacol Ther''. 1998 Aug;14(4):337-43. [https://pubmed.ncbi.nlm.nih.gov/9715437/ 연결]</ref><ref>Lind GJ et al.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antagonists inhibit chick scleral chondrocytes. ''IOVS''. 1998 Nov;39(12):2217-31. [https://pubmed.ncbi.nlm.nih.gov/9804129/ 연결]</ref>. 안구내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에는 M1~5가 있으며 M1 수용체를 자극하면 공막의 세포 성장을 통한 안구 성장이 있지만, M2~5 수용체는 자극하더라도 안구 성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안구 성장에 관여하는 수용체는 M1으로 알려졌다<ref>Ashkenazi A et al. Acetylcholine analogue stimulates DNA synthesis in brain-derived cells via specific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Nature''. 1989 Jul 13;340(6229):146-50. [https://pubmed.ncbi.nlm.nih.gov/2739737/ 연결]</ref>.
 
== 효과 ==
== 효과 ==
근시진행 억제효과에 있어, 굴절 변화보다는 검사자의 편견을 배제할 수 있는 안축장 변화에 대해 Shih 등<ref name=r1 />은 아트로핀 치료군은 0.22±
근시진행 억제효과에 있어, 굴절 변화보다는 검사자의 편견을 배제할 수 있는 안축장 변화에 대해 Shih 등<ref name=r1 />은 아트로핀 치료군은 0.22±
0.03 mm/y, 대조군은 0.59±0.04 mm/y 의 변화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최 등<ref>최태호 등, 아트로핀이 소아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JKOS'' 2005;46(7):1189-119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593 연결]</ref>의 연구에서도 치료군은 0.12±0.19 mm/y, 대조군은 0.39±0.21 mm/y의 변화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0.03 mm/y, 대조군은 0.59±0.04 mm/y 의 변화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최 등<ref>최태호 등, 아트로핀이 소아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JKOS'' 2005;46(7):1189-119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593 연결]</ref>의 연구에서도 치료군은 0.12±0.19 mm/y, 대조군은 0.39±0.21 mm/y의 변화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부작용<ref>Wu PC et al. Update in myopia and treatment strategy of atropine use in myopia control. ''Eye (Lond)''. 2019 Jan;33(1):3-13. [https://pubmed.ncbi.nlm.nih.gov/29891900/ 연결]</ref> ==
* 동공 확대로 인한 눈부심
* 조절 장애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50번째 줄: 55번째 줄:


=== LAMP<ref>Yam JC et al. Low-Concentration Atropine for Myopia Progression (LAMP) Study :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0.05, 0.025, 0.01% Atropine Eye Drops in Myopia Control. ''Ophthalmology''. 2019 Jan;126(1):113-124. [https://pubmed.ncbi.nlm.nih.gov/30514630/연결]</ref> (2019, 홍콩) ===
=== LAMP<ref>Yam JC et al. Low-Concentration Atropine for Myopia Progression (LAMP) Study :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0.05, 0.025, 0.01% Atropine Eye Drops in Myopia Control. ''Ophthalmology''. 2019 Jan;126(1):113-124. [https://pubmed.ncbi.nlm.nih.gov/30514630/연결]</ref> (2019, 홍콩) ===
4~12세, 근시 ≥ 1.0 D, 난시 ≤ 2.5 D 인 43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아트로핀 0.05, 0.025, 0.01%, 위약으로 1:1:1:1 으로 무작위 배정되었으며 양안에 1년간 밤에 1회 점안하였다. 조절 마비 굴절 검사 (CR), 안축장, 조절 정도, 동공 크기, 최대 교정 시력 (BCVA) 을 2주, 4, 8, 12개월에 측정하였고, 1년째에는 시력 기능 설문을 시행하였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colspan=2|
|0.05%||0.025%||0.01%||위약
|-
|colspan=2|근시 진행 (D)
| -0.27±0.61||-0.46±0.45||-0.59±0.61||-0.81±0.53
|-
|colspan=2|안축장 증가 (mm)
|0.20±0.25||0.29±0.20||0.36±0.29||0.41±0.22
|-
|colspan=2|조절력 감소
|1.98±2.82||1.61±2.61||0.26±3.04||0.32±2.91
|-
|rowspan=2|동공 크기 증가
|명순응||1.03±1.02||0.76±0.90||0.49±0.80||0.13±1.07
|-
|암순응||0.58±0.63||0.43±0.61||0.23±0.46||0.02±0.55
|}
결론적으로, 0.05, 0.025, 0.01% 아트로핀 점안액은 농도에 비례해서 근시 진행을 감소시켰으며, 모든 농도에서 QoL에 불편 없이 내약성이 우수했다. 사용된 세 가지 농도 중, 0.05%는 1년 동안 SE 진행과 안축장 길어짐을 조절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 [[LAMP (P2) (2020)|LAMP P2]]<ref>Yam JC et al. 2y Clinical Trial of the LAMP Study : P2 Report. ''Ophthalmology''. 2020 Jul;127(7):910-919. [https://pubmed.ncbi.nlm.nih.gov/32019700/ 연결]</ref> (2020, 홍콩) ===
2년 동안, 0.05% 아트로핀의 효과는 0.01%의 두 배에 달했으며, 근시 진행을 늦추는 데 있어 연구된 아트로핀 농도 중 최선으로 생각되었다.
=== [[LAMP (P3) (2022)|LAMP P3]]<ref>Yam JC et al. 3y Clinical Trial of LAMP Study : Continued vs Washout : P3 Report. ''Ophthalmology''. 2022 Mar;129(3):308-321. [https://pubmed.ncbi.nlm.nih.gov/34627809/ 연결]</ref> (2022, 홍콩) ===
3년 동안 아트로핀 치료를 지속하면 모든 농도에서 중단 요법에 비해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0.05%는 최선의 농도로 유지되었다.


=== LAMP P2<ref>Yam JC et al. 2y Clinical Trial of the LAMP Study : P2 Report. ''Ophthalmology''. 2020 Jul;127(7):910-919. [https://pubmed.ncbi.nlm.nih.gov/32019700/ 연결]</ref> (2020) ===
연구된 세 가지 농도 모두 반동 효과는 적었으며, 나이가 많거나 농도가 낮을 때 치료를 중단하면 반동이 더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LAMP P3<ref>Yam JC et al. 3y Clinical Trial of LAMP Study : Continued vs Washout : P3 Report. ''Ophthalmology''. 2022 Mar;129(3):308-321. [https://pubmed.ncbi.nlm.nih.gov/34627809/ 연결]</ref> (2022) ===
=== [[STAMP]] (한국) ===
=== STAMP (한국) ===
STudy of Atropine therapeutics effect on Myopic Progression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