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다시증 (polyopia) 은 뇌 외상이나 뇌혈관 사고 후 두 개 이상의 상을 한 눈에서 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약시 치료 도중에도 생길 수 있고,...)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시증 (polyopia) 은 뇌 외상이나 뇌혈관 사고 후 두 개 이상의 상을 한 눈에서 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약시 치료 도중에도 생길 수 있고, 심한 약시 환자가 건강한 눈을 잃은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시증 (polyopia)'''{{신경안과}} 은 뇌 외상이나 뇌혈관 사고 후 두 개 이상의 상을 한 눈에서 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약시 치료 도중에도 생길 수 있고, 심한 약시 환자가 건강한 눈을 잃은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원인 ==
편두통<ref>Sinoff SE et al. Permanent cerebral diplopia in a migraineur. ''Neurology''. 1990 Jul;40(7):1138-9. [https://pubmed.ncbi.nlm.nih.gov/2356017/ 연결]</ref>, 뇌경색, 측두-두정엽 부위 뇌종양이 있는 환자에서 보고되었다<ref>Meadows JC. Observations on a case of monocular diplopia of cerebral origin. ''J Neurol Sci''. 1973 Feb;18(2):249-53. [https://pubmed.ncbi.nlm.nih.gov/4690643/ 연결]</ref>. 대뇌 다시증 (cerebral polyopia) 을 가진 환자의 경우 대개 상이 겹친다고 하지는 않고 동일하게 선명한 상이 여러개로 보인다고 하며 상의 크기나 모양이 각각 다르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대개 뚜렷한 중추신경계 질환이 있다.
{{참고}}

2022년 6월 11일 (토) 15:23 기준 최신판

다시증 (polyopia)[1] 은 뇌 외상이나 뇌혈관 사고 후 두 개 이상의 상을 한 눈에서 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약시 치료 도중에도 생길 수 있고, 심한 약시 환자가 건강한 눈을 잃은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

편두통[2], 뇌경색, 측두-두정엽 부위 뇌종양이 있는 환자에서 보고되었다[3]. 대뇌 다시증 (cerebral polyopia) 을 가진 환자의 경우 대개 상이 겹친다고 하지는 않고 동일하게 선명한 상이 여러개로 보인다고 하며 상의 크기나 모양이 각각 다르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대개 뚜렷한 중추신경계 질환이 있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Sinoff SE et al. Permanent cerebral diplopia in a migraineur. Neurology. 1990 Jul;40(7):1138-9. 연결
  3. Meadows JC. Observations on a case of monocular diplopia of cerebral origin. J Neurol Sci. 1973 Feb;18(2):249-5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