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체 소대 견인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모양체 소대 견인술 (zonular traction tuft) 은 주변부 망막 조직이 앞쪽의 모양체소대 섬유(zonular fiber)에 유착되는 병변이다. == 역학 == Foos는...)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섬모체 소대 견인술 (zonular traction tuft)'''{{망막}} 은 주변부 망막 조직이 앞쪽의 섬모체 소대 섬유 (zonular fiber) 에 유착되는 병변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Foos<ref name=r2>Foos R. Zonular traction tufts o the peripheral retina in cadaver eyes. ''Arch Ophthalmol''. 1969 Nov;82(5):620-32. [https://pubmed.ncbi.nlm.nih.gov/5348832/ 연결]</ref>는 이 벙변이 출생 시 부터 존재하며, 사체안의 15% 정도에서 나타나며 양측성이 15%라고 보고하였다. 81%에서 비측에 존재하며, 특히 하비측에 많이 존재한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발달상의 이상으로 모양체 소대의 부착 부위가 | 발달상의 이상으로 모양체 소대의 부착 부위가 후방으로 전위되어 주변부 망막에 붙음으로 해서 비정상적인 술조직이 주변 망막 표면에서부터 모양체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망막 둘레돌기에서 0.5mm 이내에 발생하며, 유리체 기저 뒤쪽 경계부에 발생하는 것은 드물다. 급격히 앞쪽으로 꺾여 돌출되는 각도, 유리체 기저가 아닌 망막 톱니둘레 (ora serrata) 에 인접하여 빌생한다는 접이 다른 망막술과 구별할 수 있는 점이다. | ||
== | == 임상적 의미 == | ||
영양성 | 아래의 병변들이 소수에서 유리체 기저부 내에 발견되기도 한다. | ||
* 영양성 변화 (trophic change) : 병변부 기저에 작용하여 망막 원공이 발생 | |||
* 견인성 변화 (tractional change) : 병변부 돌출 끝 부위에 작용하여 망막 열공이 발생 | |||
하지만 임상적으로는 망막 박리 발생의 가능성이 낮으며 예방적 치료가 필요하진 않다고 보고된다<ref name=r2 />. | |||
{{참고}} | |||
[[분류:망막]] |
2022년 4월 16일 (토) 15:22 기준 최신판
섬모체 소대 견인술 (zonular traction tuft)[1] 은 주변부 망막 조직이 앞쪽의 섬모체 소대 섬유 (zonular fiber) 에 유착되는 병변이다.
역학
Foos[2]는 이 벙변이 출생 시 부터 존재하며, 사체안의 15% 정도에서 나타나며 양측성이 15%라고 보고하였다. 81%에서 비측에 존재하며, 특히 하비측에 많이 존재한다.
임상 소견
발달상의 이상으로 모양체 소대의 부착 부위가 후방으로 전위되어 주변부 망막에 붙음으로 해서 비정상적인 술조직이 주변 망막 표면에서부터 모양체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망막 둘레돌기에서 0.5mm 이내에 발생하며, 유리체 기저 뒤쪽 경계부에 발생하는 것은 드물다. 급격히 앞쪽으로 꺾여 돌출되는 각도, 유리체 기저가 아닌 망막 톱니둘레 (ora serrata) 에 인접하여 빌생한다는 접이 다른 망막술과 구별할 수 있는 점이다.
임상적 의미
아래의 병변들이 소수에서 유리체 기저부 내에 발견되기도 한다.
- 영양성 변화 (trophic change) : 병변부 기저에 작용하여 망막 원공이 발생
- 견인성 변화 (tractional change) : 병변부 돌출 끝 부위에 작용하여 망막 열공이 발생
하지만 임상적으로는 망막 박리 발생의 가능성이 낮으며 예방적 치료가 필요하진 않다고 보고된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