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자 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표지자 방법 (tracer method) 은 안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방수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전방으로부터 표지자의 출현 또는 소실의 정도...)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표지자 방법 (tracer method) 은 안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방수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전방으로부터 표지자의 출현 또는 소실의 정도를 측정한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방수의 생산률보다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수의 흐름을 측정항는 것이며 후방에서 유리체가 있는 후측부로 빠져 나가는 양은 검출되지 않는다.
'''표지자 방법 (tracer method)'''{{녹내장}} 은 안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방수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전방으로부터 표지자의 출현 또는 소실의 정도를 측정한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방수의 생산률보다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수의 흐름을 측정항는 것이며 후방에서 유리체가 있는 후측부로 빠져 나가는 양은 검출되지 않는다.
== 분류 ==
== 분류 ==
* 사진 측정법 (photogrammetry) : 이온 도입법(iontophoresis)을 이용하여 [[플루레신]]을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플루레신을 [[전방]] 내로 점적 주입한 후 후방으로부터 [[플루레신]]에 염색되어 전방으로 들어오는 새로 형성된 방수의 흐림을 연속적인 사진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 사진 측정법 (photogrammetry) : 이온 이동법 (iontophoresis) 을 이용하여 국소적으로 점안한 [[플루레신]]이 각막을 통해 전방내로 들어가게 한 후,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들어오는 새로 형성된 방수의 흐름을 연속적인 사진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 형광 측정법 (fluorophotometry) : 새로 형성된 방수에 의해 변화되는 전방 내 [[플루레신[/
* 형광 광도 측정법 (fluorophotometry) : 플루레신을 국소 점안하거나 경구 투여<ref>Araie M et al. AH dynamics in man as studied by oral fluorescein. ''Jpn J Ophthalmol''. 1980;24:346-62.</ref>한 후, 새로 형성된 방수에 의해 변화되는 전방 내 [[플루레신]]의 농도를 측정하여 계산한다<ref>Jones RF et al. New methods of measuring the rate of aqueous flow in man w fluorescein. ''Exp Eye Res''. 1966 Jul;5(3):208-20. [https://pubmed.ncbi.nlm.nih.gov/5914653/ 연결]</ref>.
그 외에 fluoresceinated dextrans, iodide, para-aminohippurate를 정맥내로 주사한 후 측정하는 방법과, 방사성 동위원소를 안구 내 주입 후 전방에 동위원소의 축적이나 동위원소의 붕괴를 측정하여 방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 장점 ==
== 장점 ==
안구와 안압에 영향을 받지 않기 떄문에 [[압력 의존 방법]]보다 더 정확하다.
안구와 안압에 영향을 받지 않기 떄문에 [[압력 의존 방법]]보다 더 정확하다.
{{참고}}

2022년 4월 30일 (토) 12:37 기준 최신판

표지자 방법 (tracer method)[1] 은 안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방수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전방으로부터 표지자의 출현 또는 소실의 정도를 측정한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방수의 생산률보다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수의 흐름을 측정항는 것이며 후방에서 유리체가 있는 후측부로 빠져 나가는 양은 검출되지 않는다.

분류

  • 사진 측정법 (photogrammetry) : 이온 이동법 (iontophoresis) 을 이용하여 국소적으로 점안한 플루레신이 각막을 통해 전방내로 들어가게 한 후,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들어오는 새로 형성된 방수의 흐름을 연속적인 사진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 형광 광도 측정법 (fluorophotometry) : 플루레신을 국소 점안하거나 경구 투여[2]한 후, 새로 형성된 방수에 의해 변화되는 전방 내 플루레신의 농도를 측정하여 계산한다[3].

그 외에 fluoresceinated dextrans, iodide, para-aminohippurate를 정맥내로 주사한 후 측정하는 방법과, 방사성 동위원소를 안구 내 주입 후 전방에 동위원소의 축적이나 동위원소의 붕괴를 측정하여 방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장점

안구와 안압에 영향을 받지 않기 떄문에 압력 의존 방법보다 더 정확하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Araie M et al. AH dynamics in man as studied by oral fluorescein. Jpn J Ophthalmol. 1980;24:346-62.
  3. Jones RF et al. New methods of measuring the rate of aqueous flow in man w fluorescein. Exp Eye Res. 1966 Jul;5(3):208-20. 연결